목차
♠서론
역사속의 우연과 필연이란?
♠본론
1. 우연사관
2. 필연사관
3. 역사의 우연과 필연의 사건들
4. 우연적인 사건속의 필연
♠결론
1. 우연과 필연사관의 연관성
2. 현대의 우연과 필연
역사속의 우연과 필연이란?
♠본론
1. 우연사관
2. 필연사관
3. 역사의 우연과 필연의 사건들
4. 우연적인 사건속의 필연
♠결론
1. 우연과 필연사관의 연관성
2. 현대의 우연과 필연
본문내용
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연적인 요소들이 새로운 역사체계로 변하는 과정에 100%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분명 이러한 사건들이 새로운 역사체제로 가는 길을 제시한 것은 분명하지만, 역사는 이것보다도 훨씬 복잡하고 복합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변하였기 때문이다. 우리가 역사의 우연이라고 말하는 대표적인 사례들은 완전무결한 원인이기보단 그 변화로 빨리 가게 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럼, 우연사관을 역사로 볼 수 있을까? 라는 문제에 다시금 직면하게 된다. 과연 우리는 우연의 역사를 역사라고 말 할 수 있을까? 과연 오로지 클레오파트라의 미모 때문에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에게 패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린 아니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역사가 아니라고 말할 수있을까? 그건 아닐 것이다. 오늘날에 역사에서 만약 ‘그때 그랬더라면 아마 지금은 이러할 텐데...’라는 말은 의미가 없는 말이다. 지나간 세월의 흔적을 밟아 그 시대의 사회상과 시대상을 공부하는 우리들에게 있어서, ‘만약’이라는 단어는 필요하지 않다. 이미 역사적으로 일어난 사건들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우연의 역사와 필연의 역사는 순환하며, 그리하여 우연의 역사 속에서도 필연의 역사가 존재하며, 필연의 역사 속에는 언젠가 우연의 역사가 오는 것이다.
2. 현대의 우연과 필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보는 조간신문. 조간신문의 헤드라인은 연일 같은 내용이다. “성난 민심 언제쯤 숙여지나!” MB정권의 쇠고기협상에 대한 우리국민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조간신문의 헤드라인이다. 날마다 청계천 광장에서는 촛불시위가 일어나고, 10대 학생들부터 나이가 지긋하신 50~60대까지 국민의 살 권리를 두고, 국민을 섬기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던 대통령이 마음대로 권력을 휘둘렀다고 4500백만의 대한민국들은 연일 들끓는다. 과연 이 문제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아마 국민들의 정부불신일 것이다. 정부가 국민을 속였다고 사람들은 생각한다. 그도 그런 것이 날마다 정부 측의 입장은 바뀌고, 말도 바뀐다. 30개월 이상의 소를 먹어도 된다고 하기도하고, 안된다고 하기도하고 한마디로 한나라의 정책에 대한 답변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것이다. 만약 지금의 사태에 대해 진실로 국민들에게 처음부터 사실을 말했으면, 우리 국민들이 이렇게 분노하며, 연일 촛불시위를 하는 일이 생겼을까? 그건 아무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하나 확실한건 쇠고기파동에 대하여 국민들 조금을 속였든, 많이 속였든 국민들 기만했고, 그 점과 자신의 살 권리를 정부에게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현 정부에게 분노한 것은 사실일 것이다. 우연과 필연의 역사 속에서 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 (푸른나무-유시민 지음)
- 역사를 보는 눈 (개마고원-호리고메 요조 지음/박시종 옮김)
- 역사의 이해 (학지사-손영호)
- 역사와 역사관 (서광사-안건훈)
- 역사란 무엇인가 (육문사-E H 카 지음/ 박종국 옮김)
2. 현대의 우연과 필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보는 조간신문. 조간신문의 헤드라인은 연일 같은 내용이다. “성난 민심 언제쯤 숙여지나!” MB정권의 쇠고기협상에 대한 우리국민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조간신문의 헤드라인이다. 날마다 청계천 광장에서는 촛불시위가 일어나고, 10대 학생들부터 나이가 지긋하신 50~60대까지 국민의 살 권리를 두고, 국민을 섬기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던 대통령이 마음대로 권력을 휘둘렀다고 4500백만의 대한민국들은 연일 들끓는다. 과연 이 문제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아마 국민들의 정부불신일 것이다. 정부가 국민을 속였다고 사람들은 생각한다. 그도 그런 것이 날마다 정부 측의 입장은 바뀌고, 말도 바뀐다. 30개월 이상의 소를 먹어도 된다고 하기도하고, 안된다고 하기도하고 한마디로 한나라의 정책에 대한 답변이 이랬다저랬다 하는 것이다. 만약 지금의 사태에 대해 진실로 국민들에게 처음부터 사실을 말했으면, 우리 국민들이 이렇게 분노하며, 연일 촛불시위를 하는 일이 생겼을까? 그건 아무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하나 확실한건 쇠고기파동에 대하여 국민들 조금을 속였든, 많이 속였든 국민들 기만했고, 그 점과 자신의 살 권리를 정부에게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현 정부에게 분노한 것은 사실일 것이다. 우연과 필연의 역사 속에서 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참고문헌>
-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 (푸른나무-유시민 지음)
- 역사를 보는 눈 (개마고원-호리고메 요조 지음/박시종 옮김)
- 역사의 이해 (학지사-손영호)
- 역사와 역사관 (서광사-안건훈)
- 역사란 무엇인가 (육문사-E H 카 지음/ 박종국 옮김)
추천자료
신채호와 마르크 블로크를 통한 역사를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
세계화 시대의 올바른 역사관
[A+]설명식 역사수업
화랑세기를 통해본 신라의 역사와 신라인의 모습
교육학모형 두가지를 택하여 역사교육에 적용하기
한국 아나키즘의 역사
신채호와 이광수의 역사인식
[교육학개론] 교육의 역사
금융조합 그 수탈의 역사(1937년~45년까지를 중심으로)
거시사에서 미시사로 - 일상생활의 역사
대미관계(한미관계) 역사, 필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공화국(윤보선대통령, 장면정부) 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과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설립목적, 대한...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