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법, 구조문법, 변형문법의 차이와 각 문법 이론의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동주의 심리학의 사고 과정에서 출발했었다. 이 말은 언어습득이 란 '반복된 훈련'을 통해서만 습득이 가능하였음을 말한다.( 이것이 큰 약점이었다. 변형 생성문법은 창조성을 기초로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해 낼 수 있고, 생성해 낸 문장은 모어화자(母語話者)라면 누구든 이해 가능하다는 것에 기초한다.)
또 하나의 약점은, 문법은 발견된 갖가지 언어현상의 일람표와 그들 상호관계, 그리고 분 포상의 제약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점이다. (미국의 Sapire, Bloom, 유럽의 Prague학 파 등)
이러한 두 가지 언어 이론의 약점을 지양하고 통합하여 노암 촘스키(N. Chomsky)는 변 형생성문법을 창시했다.(촘스키는 전통문법을 이론적 기초로 삼음)
(2). N. Chomsky 연구의 발단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변형(變形)'의 개념을 처음으로 전개시키고자 한 사람 은 촘스키의 스승이었던 Harris교수였다. 그는 변형의 개념을 '동일 세트의 고유한 환 경을 갖는 두 구조 사이의 형식적 관계'라고 규정했다.
※ 변형의 개념
예, the [ A ] is 의 환경에서는 A에는 N(명사)만 등장하고 V(동사)는 등장하지 못 함. 한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은 두 요소가 동일한 요소로 구성되 어 있을 경우임.
해리스의 영향으로 구조언어학의 발견절차에 대해 공부하면서 촘스키는 회의에 빠지 게 되었다. 펜실베니아 대학원 시절에 구조주의 언어학의 방법을 문장 구성연구에 적 용하려 했으나 잘 되지 않았다. 즉, 각 언어의 목록은 만들 수 있으나(유한하기 때문 에 가능) 문장의 수는 무한하므로 구조주의 가설로서는 설명이 어려웠다.
또 하나, 구조주의 연구의 한계는 통사구조의 중의성(重義性, ambiguity, 모호성)에 있다. 즉 표면구조에서는 보이지 않는 문장의 심층구조(深層構造)에서 이른바 중의성 을 찾아야지 구조주의 언어학처럼 '단어'에서 오지 않음을 알았던 것이다. 즉, 문법적 기능을 수반하는 심층구조가 표면구조와 상이하다는 데서 출발했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고자 한 촘스키는 주제면 뿐만 아니라 목적, 방법론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시작했던 것이다. 이것을 언어학의 혁명이라고 하는데, 그 이론의 대 부분은 [Syntactic Structure]에 드러나 있다.
(3). N. Chomsky 언어학 혁명
①. [통사구조론(統辭構造論, Syntactic Structure)] (1957)
이 책은 학계에 큰 충격을 주며 급속도로 전파되었고, 동시에 대립적인 견해들도 낳 았다. 그런데 이것은 그의 기본적인 이론은 제시하고 있으나 완결된 이론은 1965년 [ Aspect ~ ]에 가서야 볼 수 있다.
문법의 통사, 의미, 음운의 세 부문 중에서 주로 통사부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그의 생성문법은 종래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목적과 방법론은 지양하고 오히려 전통 문법의 체제에 접근하고 있다. 다만 언어에 대한 직관(直觀)을 명시화했다는 데 이 문법을 능가하고 있다.
▲구조주의와 생성문법의 차이를 도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구조주의 문법
변형생성문법
목표면
여러 가지 수집된 언어자료들의 분류 및 기술
한 언어에 대한 우리의 객관적 지식 설명(현상을 지배하는 정신적 원리)
방법론면
자료들의 분류 - 분포주의적, 구조주의적이기에 분석적, 귀납적 방법
종합적이고 연역적인 방법
설명방법
음운 ▷ 형태 ▷ 통사
통사 ▷ 음운(혹은 의미 해석)
한편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구조의 새로운 층위(변형층위)를 발견한 데 있다. 구(句) 구조층위에서는 해결될 수 없는 것이(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러 한 변형층위에서 해결될 수 있었다.
* 변형생성문법의 목적 : 언어능력
ㄱ. 문법적 능력 : 통사, 의미, 음운론적인 적격성이니 구조에 대한 지식
ㄴ. 화용적(話用的) 능력 : 상황, 혹은 사실이나 믿음에 대한 지식
언어능력 중 문법적 능력을 표현하고 발굴함을 목적으로 함
*. 촘스키 1957년 모델의 배경
ㄱ. 구조주의 절차였던 구절구조문법(Phrase-Stracture Grammar)에 대한 비판으로 출 발한다.
ㄴ. 구절구조문법은 자연언어의 생성능력을 충분하게 표현하지 못한다는 판단 아래 제3 의 모델을 제시했던 것이다.
ㄷ. 이것은 구절구조문법과 변형이란 두 생성 기제(메커니즘)를 주축으로 하게 된 것은 위와 같은 배경에 기초한다.
*. 촘스키 1957년 모델의 수정 - Katz & Foder(1963)의 '의미보존의 가설'의 영향
'의미보존의 가설' : "변형은 의미변화를 시키지 못한다."
↓ (반격)
초기이론의 핵문(核文) (Kernel S.) : 구절구조규칙(PSR)과 변형(T)만 적용하여 생 성된 문장

1965년 모델에서는 삭제함.
그 대신 어휘부(Lexical) 보강, 어휘삽입규칙이 정밀화되었음
②. [통사이론의 제 양상(Aspects of Theory of Syntax)](1965) -- 이른바 <표준이론>
소쉬르가 '랑그', '빠롤'을 구별한 것처럼, 촘스키는 제1장 방법론적 서설(序說)에서 언어능력(language competence)과 언어수행(language performance)을 철저히 구분하 고, 언어이론은 주로 전자(前者)를 설명하려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언어능력은 모어화자(native speaker)가 가지고 있는 언어에 대한 지식을 말하고, 언 어수행은 모어화자가 구체적인 발화상황에서 실제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한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문장을 모두 외워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유한 수의 규칙으 로 생성된 무한한 문장의 근본 원리를 습득하는 것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은 한 문장의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는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있는 반 면, 촘스키는 두 구조가 상이하다고 전제하고 심층구조에 문법적인 '변형'을 반복 적 용함으로써 결정된다고 했다. 1957년 발표이론을 수정하여 '문법'을 통사부, 의미부, 음운부의 세 부분으로 정립했다. 의미부는 의미의 해석을 맡고, 음운부는 각 구문소 (構文素)의 음성표시를 한다. 이 두 구성부를 연결하는 것이 통사부이다. 물론 핵심은 통사부이다.
출처 : 변형생성문법-이론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