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정치적 변화 및 실학과 국학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정치적 변화 및 실학과 국학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의 정치적 변화와 체제 완비

1.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
 --정치적인 면
 --경제적인 면
 --신분(사회)적인 면

2. 중앙집권체제의 강화 과정

3. 조선의 국가 체제를 경국대전을 통해 살핀다.



실학과 국학의 발달

1. 국학
 (1) 역사
 (2)지리

2. 요동지역에 대한 인식
 1)중국 개념의 변천
 2) 한국 개념--韓

본문내용

로 이해가 되었다고 하겠다.
==>이런 상황에서 신라에서 조선 초기에는 삼한의 지역이 한반도의 북부지역을 배제하였고, 단지 고구려 영토의 남부 일부만이 삼한에 포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요동에서 일어난 발해에 대한 인식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3) 요동 개념의 변천
--명칭의 문제
요동 : 역사적인 명칭으로 전통시대에 중국 동북지역을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칭
만주 : 청초(淸初)부터 여진(女眞)등 이곳 거주민들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지명으로 전환된 것으로, 이 지역의 독립성을 나타내지만,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고의적으로 사용하였고(만주국),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무비판적으로 사용됨
동북 : 중국을 중심으로 한 방위를 표시한 것으로, 중국과 이 지역의 통합성을 나타내는 의미를 갖는다.
==>2번째와 3번째는 근대 이후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사용
--범위의 문제
협의의 지명 : 중국에서 성립된 국가들의 군현이나 군정기관 혹은 그 관할 영역을 의미하여 요하 유역이나 요동반도만을 지칭한 경우가 많음
광의의 지명 : 광범한 지역을 가리키는 경우로 산해관 이동, 한반도 북부 이서와 이북을 지칭하는 개념
전국시대 : 중국의 극동에 위치하여 조선과 인접한 군의 이름
진·한시대 : 특정한 지역을 가리킴과 동시에 특정한 군, 혹은 그 치소
후한말 : 요동군역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광범한 지역을 총칭
남·북조, 수·당시대 : 고구려를 가리켜 곧 요동이라 표현하기도 하고 고구려인도 고구려와 요동을 동일시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요동은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던 대상을 의미이었고, 발해시대의 요동도 발해의 지배 대상을 가리킴. 이 때의 요동은 산해관 이동, 한반도 북부 이서의 지역을 가르키는 말로 사용됨
-- 지리적 특성
: 대흥안령(大興安嶺)과 발해(渤海) 등의 자연적 장벽으로 중국과 격리
: 중원의 한족이나 한반도의 한족과는 다른 별개의 종족이 존재하며 독자적인 문화권 형성
-- 이적(夷狄)의 공간으로 인식
-- 비파형 청동단검 : 산해관에서 한반도 북부 지역
: 독립적인 언어권의 형성
: 중국과 한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국가의 건국과 독자적인 역사체계를 갖춤--(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요·금·원·청·만주국)
==> 현재의 요동 공동체가 남아 있지 않아 중국인이나 한국인에게 전통시대의 요동을 별개로 이해하고 그 역사를 독립된 체계로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0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