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프로 문학의 성립
□ 문학을 계급 투쟁의 무기로 파악하다
□ 카프의 활동
□ 프로문학의 주요 작가와 소설들
1. 김남천
2.한설야
♧이기영(李箕永)
-참고자료-
□ 문학을 계급 투쟁의 무기로 파악하다
□ 카프의 활동
□ 프로문학의 주요 작가와 소설들
1. 김남천
2.한설야
♧이기영(李箕永)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니라 식민지적 경제질서까지 중첩된 이중의 수탈구조인 것이다. 이런 이중의 수탈구조 가운데 주인공 김희준이 뛰어든다. 주인공은 세상 이치에 어두운 농민들을 계몽하여 그같은 수탈구조를 무너뜨려야 한다는 인식으로 이끌고자 한다. 이러한 계몽구조는 다른 한편으로는 작가 - 작품 - 독자의 계몽구조와 겹쳐지는데, 여기서 소설을 현실 타개의 수단으로 인식했던 우리 사회의 오랜 전통의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공부와 외부세계 체험을 통해 세상 이치에 눈뜬 인물의 귀향과 실천적 삶은 최서해의 <고국>, 이기영의 <민촌>, <농부 정도룡>, <홍수>, <돌쇠>, 조명희의 <낙동강>, 한설야의 <과도기> 등에서 나타난 바 있거니와, 주인공 김희준은 우리 소설의 특이한 한 형식을 실현하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러한 모티프는 이 시기 크게 고양되었던 현실 변혁의 지향성과 실천적 투쟁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다.
2.봄
1940년 6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던 중 신문 폐간으로 중단되었다가 1940년 10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인문평론>>에 이어서 연재되었던 이기영의 장편소설. 1942년 박문서관에서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작가의 유년시절을 그린 자전적 작품으로, 격동의 구한말을 어린 소년의 눈을 통해 재구성하고 있다. 아직 일제의 침탈이 본격화되기 전이라 가난하지만 고유한 공동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적극적으로 삶을 열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잃어버린 시골 양반들의 정신적 무기력과 타락상 등이 잘 그려져 있다. <봄>은 비록 어린 소년의 눈을 통해서 보았다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구한말 격동기의 핵심을 동적으로 포착해내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 또한 한설야의 <탑>, 채만식의 <회> 등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 유행했던 유년의 회고물이라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의미는 크게 약화된다. 현실에 대한 진지한 탐구라는 산문정신이 약화됨으로써 생겨난 유년으로의 퇴행적 귀향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효석의 자연 귀의, 김동인의 모성 귀의 등도 이와 동질적어서 이를 통해 일제 말기의 지적 분위기를 그 일단이나마 엿볼 수 있다.
▷연구서지 목록
1 민촌 이기영 문학 연구 (김상선, 國學資料院, 1999)
*2 民村 李箕永 小說硏究 (신우현, 건국대학교, 1990)
3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권유, 국학자료원, 2002)
4 이기영 (정호웅, 새미, 1995)
*5 이기영 농민소설 연구 : [민촌],[원보],[고향]에 나타난 인물유형분석을 중심으로
(박윤재, 충북대학교, 1991)
*6 李箕永 小說 硏究 (김성수, 成均館大學校, 1991)
7 李箕永 小說硏究 : 李範宣 小說論 (권유, 太學社, 1993)
*8 이기영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이상경, 서울대학교, 1992)
9 이기영-시대와 문학 (이상경, 풀빛, 1994)
*10 李箕永의 農民小說 考察 (김민규, 조선대학교, 1988)
*11 이기영의 장편소설 연구 (박홍배, 동아대학교, 1993)
*12 李箕永長篇小說硏究 (이미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참고자료-
김남천문학 (이재인. 문학아카데미. p.279. 1996)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권유. 국학자료원. p.336. 2002)
청춘기 (한설야. 풀빛. p.표지의 작가연보. 1989)
두만강 (이기영. 풀빛. p.표지의 작가연보. 1989)
솔빛문학교실 http://solbit.net/cgi-bin/ezb.oard/ezboard.cgi
서주홍의 문학속으로 http://myhome.naver.com/qseo/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search.naver?mode
2.봄
1940년 6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던 중 신문 폐간으로 중단되었다가 1940년 10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인문평론>>에 이어서 연재되었던 이기영의 장편소설. 1942년 박문서관에서 간행되었다. 이 작품은 작가의 유년시절을 그린 자전적 작품으로, 격동의 구한말을 어린 소년의 눈을 통해 재구성하고 있다. 아직 일제의 침탈이 본격화되기 전이라 가난하지만 고유한 공동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적극적으로 삶을 열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잃어버린 시골 양반들의 정신적 무기력과 타락상 등이 잘 그려져 있다. <봄>은 비록 어린 소년의 눈을 통해서 보았다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구한말 격동기의 핵심을 동적으로 포착해내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 또한 한설야의 <탑>, 채만식의 <회> 등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 유행했던 유년의 회고물이라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의미는 크게 약화된다. 현실에 대한 진지한 탐구라는 산문정신이 약화됨으로써 생겨난 유년으로의 퇴행적 귀향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효석의 자연 귀의, 김동인의 모성 귀의 등도 이와 동질적어서 이를 통해 일제 말기의 지적 분위기를 그 일단이나마 엿볼 수 있다.
▷연구서지 목록
1 민촌 이기영 문학 연구 (김상선, 國學資料院, 1999)
*2 民村 李箕永 小說硏究 (신우현, 건국대학교, 1990)
3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권유, 국학자료원, 2002)
4 이기영 (정호웅, 새미, 1995)
*5 이기영 농민소설 연구 : [민촌],[원보],[고향]에 나타난 인물유형분석을 중심으로
(박윤재, 충북대학교, 1991)
*6 李箕永 小說 硏究 (김성수, 成均館大學校, 1991)
7 李箕永 小說硏究 : 李範宣 小說論 (권유, 太學社, 1993)
*8 이기영 소설의 변모과정 연구 (이상경, 서울대학교, 1992)
9 이기영-시대와 문학 (이상경, 풀빛, 1994)
*10 李箕永의 農民小說 考察 (김민규, 조선대학교, 1988)
*11 이기영의 장편소설 연구 (박홍배, 동아대학교, 1993)
*12 李箕永長篇小說硏究 (이미림,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참고자료-
김남천문학 (이재인. 문학아카데미. p.279. 1996)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 (권유. 국학자료원. p.336. 2002)
청춘기 (한설야. 풀빛. p.표지의 작가연보. 1989)
두만강 (이기영. 풀빛. p.표지의 작가연보. 1989)
솔빛문학교실 http://solbit.net/cgi-bin/ezb.oard/ezboard.cgi
서주홍의 문학속으로 http://myhome.naver.com/qseo/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search.naver?mode
추천자료
1930-1940년대 항일무장투쟁
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현대적 죽음의 표상
[레포트]1930년대 불어 닥친 미국의 경제대공황과 미국의 뉴딜정책에 대한 레포트
이광수 '무정'을 통하여 본 1930년대 소설
1910~1930년대 민족운동과 교육운동
1930년대 이후, 세계경제의 흐름은 자유무역을 위한 노력과 자국을 위한 보호무역주의를 보이...
식민지 후기 지주제의 변화양상 -1930,40년대 일제의 농업정책을 중심으로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1930년대 산업,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수온, 전라남도(전남) 여수의 ...
[불법연구회, 원불교, 창건사, 회보, 송정산, 불법연구]불법연구회(원불교)의 창립, 불법연구...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 운동 단체 - 조선의용군 _ 조선의용대 성립, 화북으로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운동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만주지역의 항일유격...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의 창립과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