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 과정
ꊱ 사회과 교육의 탄생배경과 성장 배경
2) 교육이론의 발달
: J.DEWEY 의 경험주의 교육이론 전개
3) 사회과학의 분화와 발달
★ 최초의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 ★
ꊲ 1920-1930년대의 발달
?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 ?
1)배경
2)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3)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정의
4) 진보주의 교육의 본질
5) 한국 교육에 미친 영향
? 중핵교육과정 ?
1) 중핵교육과정이란 ?
2)특징
ꊳ 1960-1970년대의 사회과 모형과 신사회과 운동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의 영향을 받고 있다.
1) 특징
? 사회과학 ?
2) 교육목표와 내용
? 신사회과 운동 ?
? 브루너 지식의 구조 ?
1) 지식의 구조 :
2) 지식의 구조가 가지는 이점
4. 교육방법
정리!!!!!
ꊱ 사회과 교육의 탄생배경과 성장 배경
2) 교육이론의 발달
: J.DEWEY 의 경험주의 교육이론 전개
3) 사회과학의 분화와 발달
★ 최초의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 ★
ꊲ 1920-1930년대의 발달
?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 ?
1)배경
2) 진보주의의 교육원리
3)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정의
4) 진보주의 교육의 본질
5) 한국 교육에 미친 영향
? 중핵교육과정 ?
1) 중핵교육과정이란 ?
2)특징
ꊳ 1960-1970년대의 사회과 모형과 신사회과 운동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의 영향을 받고 있다.
1) 특징
? 사회과학 ?
2) 교육목표와 내용
? 신사회과 운동 ?
? 브루너 지식의 구조 ?
1) 지식의 구조 :
2) 지식의 구조가 가지는 이점
4. 교육방법
정리!!!!!
본문내용
서 브루너를 들 수 있는데, 그에 의하면 교육과정은 곧 각 교과의 전문가들이 각 교과가 나타내고 있는 지식의 본질을 명백히 표현할 수 있도록 그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직해 놓은 것을 가리킨다. 이 교육과정은 '지식의 구조'를 핵심으로 교과내용을 조직하며, 나선형 교육과정을 원칙으로 하며, 탐구과정을 중시하여 전이가를 높이려하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해당교과의 기본 개념을 잘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
둘째, 개념의 논리적 순서에 입각하여 개념을 도입하였다.
셋째, 개념 중에서 과학의 바탕이 되는 기본 개념을 정선하여 강조하였다.
넷째,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과학의 탐구과정과 문제해결력을 강조했다.
브루너는 "교육의 과정"에서 '지식의 구조'를 강조 하였는데 지식의 구조란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일반적 아이디어, 기본 개념, 일반적 원리' 등의 말로 표현한다. 지식의 구조를 가르친다는 것은 그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 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는 의미이다. 결국 지식의 구조를 가르친다는 것은 일반적인 개념과 원리에 의하여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관련되어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문 분야의 지식의 근간이 되는 기본 개념의 정선, 개념적 관계의 정립과 문제해결 과정 혹은 탐구과정을 강조하였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우리 나라 과학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제 3차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취지가 바로 학문중심 교육사조를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이 교육사조는 학문의 구조만 강조했지 사회문제나 인간교육, 가치교육들을 소홀히 하고, 학생 개개인의 필요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4. 1980년대 이후의 사회과 교육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급속한 정보화사회로의 발전과 세계적인 개방화현상으로 사회과교육에는 이론과 실천 면에서 많은 변화가 1980년대 후반부터 일어나고 있다. Oliver를 비롯한 Shaver, Banks 등은 사회과학 지식의 습득과 가치분석, 명료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취할 행동을 결정할 뿐 아니라 명료화시킨 지식과 가치에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자료, 이론 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무엇보다도 먼저 인지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라서 사회과에서의 학습이 인지적 구성주의의 입장에서 학습모형이 개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보처리모형의 발달과 개념학습, 고급사고력학습 등에 관한 관심은 이러한 경향을 말해주는 것이다. 스키머학습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경향에 속하며, 사회과학적 탐구에 의한 지식과 가치탐구에 의한 가치분석을 종합하여 의사결정학습모형이 강조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의사결정모형은 인지적 모형과 정의적 모형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 내용 면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심리학, 지리, 역사 등의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철학, 문학 등의
인문학, 미술, 음악 등의 예술, 대중매체, 미래연구, 생명과학, 환경문제, 대중문화, 여성학, 도시문제등 수
많은 학문적영역과 영역과 생활문제의 영역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
다. 이는 내용의 다양성과 간학문적, 학제적, 종합학문적 관점에서 문제를 학습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
다. 가치교육면에서는 가치분석이나 가치추론과 같은 것이 1970년대에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이었으나, 이
들이 주로 공정성과 정의와 같은 지적 판단력을 기초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서 친사회적 가치나 윤
리, 타인에 대한 사랑과 봉사의 윤리가 강조되고 있다. 1970-80년대에는 사회과에서 지적 영역을 강조했
던 학문 중심 교육 과정 시기와 달리사회 문제 해결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가치교육을 강조했던 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6. 기준운동(Standards Movement)과 사회과(Strand 교육과정)
1980년대 이후 사회과의 가장 큰 변화중 하나는 사회과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하기 바라는
전국적인 수준의 교육 목표 및 내용, 수행 수준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래 미국은 주(州)마다 자율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해 왔으나, 21세기에 들어서 교육
과정 기준운동(Curriculum Standards Movement)을 전개하면서, 사회과의 경우에는 21세기
에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사회과교육을 어떻게 개혁해야 할 것인가
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전국역사교육센터, 전국지리교육협의회, 공민교육센터, 전국경제교육협의회 등 분과기준을
통합하여 사회과에서 다루어야 할 10가지 주제 및 수행 수준을 마련하였다. NCSS에서 제출
한 문서를 보면 21세기 사회과교육은 학생들이 개인적·학문적·다원주의적·지구촌적관점
을 정립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한다.
참고자료
차경수 저, 현대의사회과 교육, 학문사,1996
최충옥외 저. 사회과 교육의 이해, 서원, 1993
한면희저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1
http://rina98.new21.net/edu/report/16.hwp
http://kongjuw2.kongju-e.ac.kr/~kang/lec/some/t.htm
http://my.dreamwiz.com/noah1214/history/amarican.htm
http://w1.hompy.com/hope888/k096.htm
http://user.chollian.net/~kdhkpk/lecture/socialstudy/0orientation.htm
http://www.trueman3.com.ne.kr/data/social-c.HWP
http://myhome.hanafos.com/~hope888/사회과 교육의 본질.HTM
http://w1.hompy.com/hope888/k099.htm
http://myhome.hanafos.com/~hope888/사회과의 성립 배경.htm
http://home.pusan.ac.kr/~nebula99/hwpdata/사회과교육론요약.hw....
http://www.kongju-e.ac.kr/~kang/lec/some/t.htm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해당교과의 기본 개념을 잘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
둘째, 개념의 논리적 순서에 입각하여 개념을 도입하였다.
셋째, 개념 중에서 과학의 바탕이 되는 기본 개념을 정선하여 강조하였다.
넷째,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과학의 탐구과정과 문제해결력을 강조했다.
브루너는 "교육의 과정"에서 '지식의 구조'를 강조 하였는데 지식의 구조란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일반적 아이디어, 기본 개념, 일반적 원리' 등의 말로 표현한다. 지식의 구조를 가르친다는 것은 그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 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는 의미이다. 결국 지식의 구조를 가르친다는 것은 일반적인 개념과 원리에 의하여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관련되어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문 분야의 지식의 근간이 되는 기본 개념의 정선, 개념적 관계의 정립과 문제해결 과정 혹은 탐구과정을 강조하였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우리 나라 과학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제 3차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취지가 바로 학문중심 교육사조를 받아들이는 것이었다.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이 교육사조는 학문의 구조만 강조했지 사회문제나 인간교육, 가치교육들을 소홀히 하고, 학생 개개인의 필요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4. 1980년대 이후의 사회과 교육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급속한 정보화사회로의 발전과 세계적인 개방화현상으로 사회과교육에는 이론과 실천 면에서 많은 변화가 1980년대 후반부터 일어나고 있다. Oliver를 비롯한 Shaver, Banks 등은 사회과학 지식의 습득과 가치분석, 명료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취할 행동을 결정할 뿐 아니라 명료화시킨 지식과 가치에 일치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자료, 이론 등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무엇보다도 먼저 인지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라서 사회과에서의 학습이 인지적 구성주의의 입장에서 학습모형이 개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보처리모형의 발달과 개념학습, 고급사고력학습 등에 관한 관심은 이러한 경향을 말해주는 것이다. 스키머학습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경향에 속하며, 사회과학적 탐구에 의한 지식과 가치탐구에 의한 가치분석을 종합하여 의사결정학습모형이 강조되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의사결정모형은 인지적 모형과 정의적 모형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 내용 면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심리학, 지리, 역사 등의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철학, 문학 등의
인문학, 미술, 음악 등의 예술, 대중매체, 미래연구, 생명과학, 환경문제, 대중문화, 여성학, 도시문제등 수
많은 학문적영역과 영역과 생활문제의 영역에서 문제를 발견하여 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
다. 이는 내용의 다양성과 간학문적, 학제적, 종합학문적 관점에서 문제를 학습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
다. 가치교육면에서는 가치분석이나 가치추론과 같은 것이 1970년대에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이었으나, 이
들이 주로 공정성과 정의와 같은 지적 판단력을 기초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에서 친사회적 가치나 윤
리, 타인에 대한 사랑과 봉사의 윤리가 강조되고 있다. 1970-80년대에는 사회과에서 지적 영역을 강조했
던 학문 중심 교육 과정 시기와 달리사회 문제 해결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가치교육을 강조했던 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6. 기준운동(Standards Movement)과 사회과(Strand 교육과정)
1980년대 이후 사회과의 가장 큰 변화중 하나는 사회과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하기 바라는
전국적인 수준의 교육 목표 및 내용, 수행 수준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본래 미국은 주(州)마다 자율성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운영해 왔으나, 21세기에 들어서 교육
과정 기준운동(Curriculum Standards Movement)을 전개하면서, 사회과의 경우에는 21세기
에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사회과교육을 어떻게 개혁해야 할 것인가
의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켰다.
전국역사교육센터, 전국지리교육협의회, 공민교육센터, 전국경제교육협의회 등 분과기준을
통합하여 사회과에서 다루어야 할 10가지 주제 및 수행 수준을 마련하였다. NCSS에서 제출
한 문서를 보면 21세기 사회과교육은 학생들이 개인적·학문적·다원주의적·지구촌적관점
을 정립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한다.
참고자료
차경수 저, 현대의사회과 교육, 학문사,1996
최충옥외 저. 사회과 교육의 이해, 서원, 1993
한면희저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1
http://rina98.new21.net/edu/report/16.hwp
http://kongjuw2.kongju-e.ac.kr/~kang/lec/some/t.htm
http://my.dreamwiz.com/noah1214/history/amarican.htm
http://w1.hompy.com/hope888/k096.htm
http://user.chollian.net/~kdhkpk/lecture/socialstudy/0orientation.htm
http://www.trueman3.com.ne.kr/data/social-c.HWP
http://myhome.hanafos.com/~hope888/사회과 교육의 본질.HTM
http://w1.hompy.com/hope888/k099.htm
http://myhome.hanafos.com/~hope888/사회과의 성립 배경.htm
http://home.pusan.ac.kr/~nebula99/hwpdata/사회과교육론요약.hw....
http://www.kongju-e.ac.kr/~kang/lec/some/t.htm
추천자료
체육교육과정 모형 (발달교육, 인간중심, 체력중심, 움직임분석모형)
Walker의 모형 - 자연주의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교육과정 개발모형 요약정리
교육과정 개발모형(목표모형)
교육과정 개발모형(내용모형)
체육교육-개별화 학습모형에 대한 총체적 분석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10장 교육평가의 모형 요약
보건교육B형 2017- 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건교육,개인이나 집단을 정하고 인...
[2017년 보건교육B형]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건교육4B-선택대상에 대한 인구 ...
[2017년 보건교육C형]초/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보건교육4C-선택대상에 대한 인...
한국어이해교육론)읽기 교육 모형 세 가지를 정리하고 각 모형의 장점을 기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