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외과 케이스) artery rupture 봉합술 (neurorrhaphy, myorrhaphy, tenorrhaphy), 수술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흉부외과 케이스) artery rupture 봉합술 (neurorrhaphy, myorrhaphy, tenorrhaphy), 수술 간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과정
1.개인정보
2.병리검사
3.I&O CHECK
4.MEDICATION
⍟수술 전 대상자 간호
⍟operation 과정
⍟수술 후 대상자 간호
5.간호진단
⍟수술절개부위와 관련된 통증
⍟개방적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Ⅲ. 결론

본문내용

아라’
O.
-RR 24회/min
-BP 80/60mmHg
-P 97회/min
-Rt. arm OP wound
-10/6일 OP 시행 (angiorrhapy, neurorrhapy, tenorrhapy)
-OP 후 통증점수10점
-진통제 투여 중
-오른쪽 손을 건드리지 못하게 한다. 만지면 아파서 소리를 지른다.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진단)
-통증 정도를 사정한다.
(10점 척도 이용)
-통증의 부위, 빈도, 지속시간을 사정한다.
치료)
-PCA pump를 유지한다.
-통증을 호소할 경우, Pethidine 25mg을 IV로 투여한다.
-pethidin 투여 후에도 심한 통증을 호소할 경우 의사에게 notify하고 처방에 따른 마약성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이 심한 부위에 ice pack을 제공한다.
-활동 시 통증이 심해지므로 신체선열을 유지시키고 침상안정 시킨다.
-환자로 하여금 통증부위, 정도에 대해 말로 표현하게 한다.
교육)
-pain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이전보다 훨씬 심한 통증양상이 나타날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48-72시간 이내 compartment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음)
Evaluation
10/6일 수술 직 후 pethidin과 응급처방을 통해 dicknol을 투여하였다.
10/8일 대상자가 pain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10/8일 PCA pump를 유지하고 있다.
10/8일 침상안정을 하고 있다.
10/8일 RR 20회, BP 110/90mmHg, P 72회
진단2. 개방적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assesment
nursing goals
Planning
O.
-Rt. arm OP wound
-Lt. C-line keep
-Fever 37.1℃
-WBC
10/3) 13.74
10/5) 18.33
10/6) 15.27
-Seg. Neutrophil 10/6) 80.5
-Lymphocyte
10/6) 13.4
-ESR
10/6) 65
-CRP
10/6) 0.72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이 없다.
진단)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발열, 오한, 발적, 동통 등 감염의 징후를 사정한다.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사정한다.
치료)
-meicelin 1.5g을 하루 두 번 IV로 투여한다.
-CVC line과 OP wound는 하루 1번 멸균적 dressing을 실시한다.
-dressing 후 sodium fusidate 2% oint를 상처부위에 바른다.
-간호를 제공하기 전후 손 씻기를 실시한다.
-필요 시 혈액검사, 미생물 배양검사, 대변검사, 효소면역검사를 실시한다.
교육)
-감염의 징후가 있으면 의사나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손을 자주 씻도록 하고, 상처부위는 만지지 않도록 교육한다.
Evaluation
10/6일 culture에서 미생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10/7일 WBC 수치가 11.18로 감소
10/7일 ESR 수치가 32로 감소
10/7일 Seg. Neutrophil 65.8, Lymphocyte 26.4로 감소하여 정상범위에 있음
10/8일 감염의 증상이 없다.
진단3.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assesment
nursing goals
Planning
S.
‘아파서 밤에 잠을 못 잤소’
O.
-10월 6일 OP 시행
-OP 후 통증점수10점
-RR 24회/min
-BP 80/60mmHg
-P 97회/min
(angiorrhapy, neurorrhapy, tenorrhapy)
-진통제 투여
-낮잠을 많이 잠
대상자는 통증 없이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진단)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통증의 양상, 부위, 정도, 지속시간을 사정한다.
-수면양상, 시간을 사정한다.
치료)
-PCA pump를 유지한다.
-통증을 호소할 경우, Pethidine 25mg을 IV로 투여한다.
-pethidin 투여 후에도 심한 통증을 호소할 경우 의사에게 notify하고 처방에 따른 마약성진통제를 투여한다.
-통증이 심한 부위에 ice pack을 제공한다.
-활동 시 통증이 심해지므로 신체선열을 유지시키고 침상안정 시킨다.
-환자로 하여금 통증부위, 정도에 대해 말로 표현하게 한다.
-편안함을 느끼는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수면 시 대상자가 있는 곳의 형광등을 끄고 커튼을 쳐준다).
교육)
-ABR teaching 한다.
-통증이 심한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Evaluation
10/8일 대상자가 pain을 호소할 때와 잠들기 전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10/8일 PCA pump를 유지하고 있다.
10/8일 침상안정을 하고 있다.
10/8일 RR 20회, BP 110/90mmHg, P 72회
Ⅲ. 결론
외과실습은 1학기 실습 이후로 세 번째이다. 외과병동은 수술환자가 많고, medication도 많기 때문에 항상 분주한 분위기이다. 그래서 첫 날에는 왠지 모르게 그 분위기에 따라 내 마음도 분주했지만, 그래도 외과실습 경험이 있어서 수술환자가 나오면 혈압계와 청진기를 가지고 환자에게 달려가는 센스를 발휘했다. 나의 case대상자는 10월 1일 brachial artery rupture로 심각한 동·정맥 파손으로 출혈이 많아서 emergency OP를 통해 angiorrhapy를 시행하여 출혈을 막았다. 이 후 신경과 근육의 손상이 함께 발견되어 1,2,3번째 손가락은 motor와 sensory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4,5번째 손가락은 motor가 거의 안되었고 sensory 감각은 남아있어 10월 6일 neurorrhaphy, myorrhaphy, tenorrhaphy를 하였다. 수술 후에는 큰 소리로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는데 마약성 진통제를 맞고서야 괜찮아지셨다. 전신마취를 하였기 때문에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드렸고, 수술 직후에 오른팔 부근에 ice bag도 apply하였다. 흉부외과에서 많이 있는 주요 질병은 아니었지만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키워드

통증,   감염 위험성,   수면장애,   동맥,   artery,   rupture,   수술,   흉부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4.2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