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동아시아 경쟁항만에 비해 나무랄 데 없는 수준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항만의 특성상 신규항만이 세계 선,화주로부터 국제무역거래의 중심지로 인정받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당해 항만의 우수성만으로는 광양항의 조기활성화를 기대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고 하겠다. 더구나 광양항은 개장초기부터 IMF외환위기에 따른 경제난, 이미 세계적 항만으로 성장한 부산항과의 경쟁등 광양항의 운영여건이 좋지만은 않다. 하지만 우리나라 물류체계 개선을 위해 절대 필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광양항의 조기 활성화를 달성하여 현재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 능력 초과로 인한 문제점을 덜고 더불어 동북아 중심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물류산업
동북아지역 도시네트워크화와 항만도시 부산의 대응전략
국내 신도시 유형 및 사례
제18대총선의 후보자에 대해서 쓴글입니다.
[동북아허브]동북아시대 허브국가를 위한 정부역할 및 실천과제
[물류][물류산업][물류체계][물류시스템][물류정보화][물류정책]물류의 개념, 물류산업의 특...
[대북정책][남북관계][북한][김대중][노무현][남북평화]북한의 대외관계 변화, 김대중정부의 ...
[신년사][신년사 사례][신년사 모음집][신년사 예문][신년사 예시][신년사 모음]다양한 신년...
인천광역시 관광사업 제안
[항만][인천항][인천항만][해상물동량][항로][개발계획]항만의 정의, 항만의 경쟁, 인천항(인...
부산신항만
공무원면접- 2014년도 강원도공무원면접대사전 (강원공무원면접)
세계 컨테이너 항만 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