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쿠르드족의 기원
3. 쿠르드족의 실태
4. 쿠르드족 분쟁의 원인과 과정
5. 쿠르드족의 민족운동과 그 특징
6. 결론
2. 쿠르드족의 기원
3. 쿠르드족의 실태
4. 쿠르드족 분쟁의 원인과 과정
5. 쿠르드족의 민족운동과 그 특징
6. 결론
본문내용
면서 민족주의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KDP의 이라크 내 저항운동은 바르자니의 지도 아래 점차적으로 조직화되었고, 쿠르드족 자치권 획득이라는 저항운동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 후에 이라크 정부군과의 내전에서 바르자니가 패배하고 미국으로 망명하자, 쿠르드족 저항세력 안에서 바르자니의 숙적이었던 탈라바니가 쿠르드애국동맹(PUK)을 창설했다. 이 두 단체는 이라크 정부에 대항하는 연합전선에서 상당부분에 분열 양상을 보이며 효과적인 단결에 어려움을 겪고 사담 후세인의 바아스 정권의 강경 정책 결과 쿠르드족이 몰살당하는 수난의 시기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를 통해 분열하던 쿠르드족 정당들이 다시 연합을 꾀하면서 이라크쿠르디스탄전선(IKF)을 설립하였으며, 이는 1992년 쿠르디스탄 자치정부 수립의 기반이 되었다.
6. 결론
쿠르디스탄은 여러 국가로 나뉘어서 지역별로 이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쿠르드족이 언어상·영토상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어 통일된 모습으로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쿠르드족을 소수민족으로 거느리고 있는 각 국가들이 강력한 동화정책을 취해온 탓에 쿠르드족의 정체성이 점차 희미해져 가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쿠르드족 내부의 문화적 분열과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할 때 쿠르드족은 독특한 동질성, 바로 ‘쿠르디스탄’이라는 동일한 생활 환경과 공동의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 쿠르드족의 독립국가 건설 운동은 페르시아의 샤와 오스만의 술탄에 대한 저항을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쿠르디스탄을 분할한 강대국과 주변 국가에 대한 저항에 이르기까지 100여 건에 달하는 민족봉기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민족 운동이 실패한 데는 외부적인 요인이 있다. 쿠르디스탄은 지리적으로 세계 모든 열강들이 탐내는 곳의 한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쿠르디스탄은 해양으로 통하는 노선도 없으며, 쿠르디스탄을 점령해 온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다. 내부적인 요소도 있다. 1950년대 초반까지도 쿠르디스탄은 부족주의 의식이 지배적으로 자리잡고 있어 중앙 권력도 없었으며, 봉건제도 잔재가 쿠르드족의 단합을 저해했다. 또한 쿠르드족은 근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쿠르드족을 이끌 만한 근대적 의미의 지식인이 부족했다.
쿠르드족은 민족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고 수세기 동안 정착해 온 영토에서 국가를 운영할 권리가 있다. 독립국가로서의 권리를 누리기 위해서 쿠르드족은 자체 내의 세력에 의존해야 하며, 나아가 세계의 민주적·진보적 세력의 정치적·도덕적·물질적 원조에 의존해야 한다. 또한 단합된 쿠르디스탄의 독립투쟁은 중동 지역에서 진보적 변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쿠르드족이 독립을 얻기 위해서는 분열된 쿠르드족을 하나로 묶는 민족 이념이 있어야 하고, 터키·이란·이라크 등 다수의 쿠르드족이 거주하는 국가의 중앙정부를 모두 포섭할 만한 새로운 중동 지역의 국제질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쿠르드족의 투쟁은 자유와 독립을 위한 민주 투쟁의 중요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6. 결론
쿠르디스탄은 여러 국가로 나뉘어서 지역별로 이질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쿠르드족이 언어상·영토상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어 통일된 모습으로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데 커다란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쿠르드족을 소수민족으로 거느리고 있는 각 국가들이 강력한 동화정책을 취해온 탓에 쿠르드족의 정체성이 점차 희미해져 가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쿠르드족 내부의 문화적 분열과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할 때 쿠르드족은 독특한 동질성, 바로 ‘쿠르디스탄’이라는 동일한 생활 환경과 공동의 역사적 경험을 가지고 있다. 쿠르드족의 독립국가 건설 운동은 페르시아의 샤와 오스만의 술탄에 대한 저항을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쿠르디스탄을 분할한 강대국과 주변 국가에 대한 저항에 이르기까지 100여 건에 달하는 민족봉기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민족 운동이 실패한 데는 외부적인 요인이 있다. 쿠르디스탄은 지리적으로 세계 모든 열강들이 탐내는 곳의 한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쿠르디스탄은 해양으로 통하는 노선도 없으며, 쿠르디스탄을 점령해 온 국가들에 둘러싸여 있다. 내부적인 요소도 있다. 1950년대 초반까지도 쿠르디스탄은 부족주의 의식이 지배적으로 자리잡고 있어 중앙 권력도 없었으며, 봉건제도 잔재가 쿠르드족의 단합을 저해했다. 또한 쿠르드족은 근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쿠르드족을 이끌 만한 근대적 의미의 지식인이 부족했다.
쿠르드족은 민족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고 수세기 동안 정착해 온 영토에서 국가를 운영할 권리가 있다. 독립국가로서의 권리를 누리기 위해서 쿠르드족은 자체 내의 세력에 의존해야 하며, 나아가 세계의 민주적·진보적 세력의 정치적·도덕적·물질적 원조에 의존해야 한다. 또한 단합된 쿠르디스탄의 독립투쟁은 중동 지역에서 진보적 변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쿠르드족이 독립을 얻기 위해서는 분열된 쿠르드족을 하나로 묶는 민족 이념이 있어야 하고, 터키·이란·이라크 등 다수의 쿠르드족이 거주하는 국가의 중앙정부를 모두 포섭할 만한 새로운 중동 지역의 국제질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쿠르드족의 투쟁은 자유와 독립을 위한 민주 투쟁의 중요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