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탁구의 역사
- 우리나라 탁구의 역사
◎ 본론
- 탁구의 규칙
°코트, 라켓, 네트등의 규격
° 용어의 정의
° 경기 규칙
° 올바른 서비스와 서브 방법
◎ 결론
- 탁구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 탁구의 역사
- 우리나라 탁구의 역사
◎ 본론
- 탁구의 규칙
°코트, 라켓, 네트등의 규격
° 용어의 정의
° 경기 규칙
° 올바른 서비스와 서브 방법
◎ 결론
- 탁구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본문내용
좋은 서브를 구사할 수 있다. 상대는 그만큼 받기 어려워지게 된다.
커트, 전진회전, 좌우의 횡회전, 커트 또는 전진과 횡회전이 결합된 공의 회전을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된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서브의 구질을 조절하는 것이 좀 더 쉬워진다. 무엇보다도 리시브되는 공의 구질을 좀 더 잘 알 수 있어서, 공격하고 수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서비스, 리시브,엔드의 선택
서빙, 리시빙, 엔드의 첫 순서를 선택할 권리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승자가 서브, 리시브를 할 것인가 아니면 특정 엔드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 한 선수 또는 조가 먼저 서브 또는 리시브하기로 선택하였거나 특정 엔드에서 시작하기로 선택한 경우 상대 선수 또는 조는 다른 것을 택하게 된다.
5포인터를 득점할 때마다 리시빙 또는 조가 서비스선수 또는 조가 되며 게임이 끝날 때까지 이방식을 계속한다 양 선수 또는 조가 모두 20포인트를 득점한 경우나 촉진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서 이때는 서비스와 리시빙의 순서는 같은 방식이지만 선수는 1포인터를 얻으면 다음 선수에게 서비스를 넘겨준다 .
복식경기에서 매 게임시 우선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는 누가 서브를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매치의 첫 게임시에 리시브조는 누가 리시브를 먼저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매치 후속 게임에서는 첫 서버를 결정하고 나면 이전 게임에서 그에게 서비스를 한 선수가 첫 리시버가 된다. 복식에서는 서비스가 바뀔 때마다 이전의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이전 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가 된다 .
한게임에서 먼저 서비스한 선수나 조는 후속 게임에서 먼저 리시브를 하게 되며 복식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조가 10포인트를 먼저 획득한 경우 리시브조는 리시브 순서를 한 게임에서 어느 한 쪽 엔드에서 시작한 선수 또는 조는 매치의 후속게임에서는 다른 엔드에서 시작하며 한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선수나 조가 먼저 10포인트를 획득한 경우 서로 엔드를 바꾼다.
°쇼 트
백핸드에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로서, 말 그대로 짧은 스윙으로서 공을 받아 넘김으로 다음 자세를 빠르게 가져갈 수 있고, 또한 상대의 공격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적절한 코스 공략으로) 아주 쓸모 있는 기술중의 하나이다.
펜홀더의 경우 라켓을 배 앞, 일직선으로 옆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체를 숙인 다음 앞으로 일직선이 되게 조금만 뻗어 준다.
이때 타점이 탁구대 안에서 맞을 정도로 앞에 있으면 안 된다. 자신의 얼굴부분 밑이나 가슴 앞에서 맞춰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자칫 손을 뻗어서 막을 경우 미스율이 상당히 높아진다. 쉐이크 핸드전형에서는 상당히 다양한 쇼트의 폼이 나오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숙인 자세에서 팔꿈치를 몸에 거의 붙인 상태에서 배 앞쪽으로 약 30도 정도의 각도로 라켓을 올린 후 손목을 약간 내려서 막는 것이 일반적인데, 라켓을 수직으로 들어서 대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것은 자신의 취향대로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
쇼트는 몸 앞쪽에서(바로 앞에서 몸에다 라켓을 대고) 구사한다. 우선,쇼트를 할 경우 미는 스윙을 할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각도만으로 볼을 대서 넘어가게 하는 연습을 먼저 한다면 상대방의 공격을 그렇게 어렵게 생각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자신의 수준에 맞는 기술을 먼저 선택하여 습득하는 것이 먼저 인데, 우선 초보자나 중급자의 경우도 쇼트를 미는 것보다는 우선 각도로서만(라켓은 제자리에 가만히 있어도 무관함) 그냥 오는 속도로 맞고 넘어가라는 식으로 쇼트를 연습하는 것이 차후에 좀더 공격적인 쇼트로(미는 것, 실제는 푸쉬의 기술임) 가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내가 쇼트를 댔을 때 상대방의 코트에서 2바운드 이상 나오게끔 연습을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4. 탁구의 좋은점과 주의할점
탁구는 남녀노소 구별없이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운동 자체가 과격하지 않으면서도 운동량이 많으며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운동 전에 반드시 충분한 준비운동이 요구되는데 가벼운 맨손체조를 실시한 다음, 목, 어깨, 팔, 손, 허리, 무릎, 다리, 발목 등의 순으로 정적인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합니다.
탁구는 보기에는 기술 위주의 운동 같지만 여느 운동 못지않게 체력소모가 많으며 트레이닝에 의한 체력단련이 필요한 운동입니다. 특히 탁구에서 주로 동원되는 근육은 복근과 배근, 장딴지와 종아리 근육, 그리고 팔과 손목의 근육으로 이러한 근육의 강화를 위해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단련 방법이 효과적이며 주 3∼4회 정도 실시하도록 합니다.
처음부터 탁구를 시합 위주로 하면 정확한 기본기와 폼을 배우기 어려우므로 초기에는 서브, 스매시, 리시브 등의 기초 기본기술을 완숙하게 구사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휴식시간을 이용하여 매일 30분 정도만 규칙적으로 실시해도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장은 큰 구애를 받지 않아도 되며 구두나 하이힐을 신고 운동을 하면 발목이나 무릎의 손상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반드시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탁구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상해는 급격한 동작이나 자세변경, 체중이동으로 인한 손목염좌, 발목염좌, 아킬레스건염, 근육경련, 어깨 건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기 전후 충분한 준비 또는 정리운동이 필수적이며, 운동시 바른 자세의 습득과 정확하고 안정된 기술 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체력수준에 맞게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점진적인 체력향상을 꾀하는 것이 건강과 체력향상에 효과적입니다.
※ 참고 문헌 ※
1. 탁구, [지은이 Larry Hodges, 옮긴이 오윤경], 출판사 대한 미디어
2. http://blog.naver.com/an63347?Redirect=Log&logNo=90001962148 등
목 차
◎ 서론
- 탁구의 역사
- 우리나라 탁구의 역사
◎ 본론
- 탁구의 규칙
°코트, 라켓, 네트등의 규격
° 용어의 정의
° 경기 규칙
° 올바른 서비스와 서브 방법
◎ 결론
- 탁구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커트, 전진회전, 좌우의 횡회전, 커트 또는 전진과 횡회전이 결합된 공의 회전을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된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서브의 구질을 조절하는 것이 좀 더 쉬워진다. 무엇보다도 리시브되는 공의 구질을 좀 더 잘 알 수 있어서, 공격하고 수비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서비스, 리시브,엔드의 선택
서빙, 리시빙, 엔드의 첫 순서를 선택할 권리는 추첨으로 결정하며 승자가 서브, 리시브를 할 것인가 아니면 특정 엔드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 한 선수 또는 조가 먼저 서브 또는 리시브하기로 선택하였거나 특정 엔드에서 시작하기로 선택한 경우 상대 선수 또는 조는 다른 것을 택하게 된다.
5포인터를 득점할 때마다 리시빙 또는 조가 서비스선수 또는 조가 되며 게임이 끝날 때까지 이방식을 계속한다 양 선수 또는 조가 모두 20포인트를 득점한 경우나 촉진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서 이때는 서비스와 리시빙의 순서는 같은 방식이지만 선수는 1포인터를 얻으면 다음 선수에게 서비스를 넘겨준다 .
복식경기에서 매 게임시 우선 서브할 권리를 가진 조는 누가 서브를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매치의 첫 게임시에 리시브조는 누가 리시브를 먼저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매치 후속 게임에서는 첫 서버를 결정하고 나면 이전 게임에서 그에게 서비스를 한 선수가 첫 리시버가 된다. 복식에서는 서비스가 바뀔 때마다 이전의 리시버는 서버가 되며 이전 서버의 파트너는 리시버가 된다 .
한게임에서 먼저 서비스한 선수나 조는 후속 게임에서 먼저 리시브를 하게 되며 복식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조가 10포인트를 먼저 획득한 경우 리시브조는 리시브 순서를 한 게임에서 어느 한 쪽 엔드에서 시작한 선수 또는 조는 매치의 후속게임에서는 다른 엔드에서 시작하며 한 매치의 마지막 게임에서는 어느 선수나 조가 먼저 10포인트를 획득한 경우 서로 엔드를 바꾼다.
°쇼 트
백핸드에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로서, 말 그대로 짧은 스윙으로서 공을 받아 넘김으로 다음 자세를 빠르게 가져갈 수 있고, 또한 상대의 공격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적절한 코스 공략으로) 아주 쓸모 있는 기술중의 하나이다.
펜홀더의 경우 라켓을 배 앞, 일직선으로 옆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체를 숙인 다음 앞으로 일직선이 되게 조금만 뻗어 준다.
이때 타점이 탁구대 안에서 맞을 정도로 앞에 있으면 안 된다. 자신의 얼굴부분 밑이나 가슴 앞에서 맞춰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자칫 손을 뻗어서 막을 경우 미스율이 상당히 높아진다. 쉐이크 핸드전형에서는 상당히 다양한 쇼트의 폼이 나오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숙인 자세에서 팔꿈치를 몸에 거의 붙인 상태에서 배 앞쪽으로 약 30도 정도의 각도로 라켓을 올린 후 손목을 약간 내려서 막는 것이 일반적인데, 라켓을 수직으로 들어서 대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것은 자신의 취향대로 생각하는 것이 좋겠다.
쇼트는 몸 앞쪽에서(바로 앞에서 몸에다 라켓을 대고) 구사한다. 우선,쇼트를 할 경우 미는 스윙을 할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각도만으로 볼을 대서 넘어가게 하는 연습을 먼저 한다면 상대방의 공격을 그렇게 어렵게 생각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자신의 수준에 맞는 기술을 먼저 선택하여 습득하는 것이 먼저 인데, 우선 초보자나 중급자의 경우도 쇼트를 미는 것보다는 우선 각도로서만(라켓은 제자리에 가만히 있어도 무관함) 그냥 오는 속도로 맞고 넘어가라는 식으로 쇼트를 연습하는 것이 차후에 좀더 공격적인 쇼트로(미는 것, 실제는 푸쉬의 기술임) 가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내가 쇼트를 댔을 때 상대방의 코트에서 2바운드 이상 나오게끔 연습을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4. 탁구의 좋은점과 주의할점
탁구는 남녀노소 구별없이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운동 자체가 과격하지 않으면서도 운동량이 많으며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운동 전에 반드시 충분한 준비운동이 요구되는데 가벼운 맨손체조를 실시한 다음, 목, 어깨, 팔, 손, 허리, 무릎, 다리, 발목 등의 순으로 정적인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합니다.
탁구는 보기에는 기술 위주의 운동 같지만 여느 운동 못지않게 체력소모가 많으며 트레이닝에 의한 체력단련이 필요한 운동입니다. 특히 탁구에서 주로 동원되는 근육은 복근과 배근, 장딴지와 종아리 근육, 그리고 팔과 손목의 근육으로 이러한 근육의 강화를 위해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단련 방법이 효과적이며 주 3∼4회 정도 실시하도록 합니다.
처음부터 탁구를 시합 위주로 하면 정확한 기본기와 폼을 배우기 어려우므로 초기에는 서브, 스매시, 리시브 등의 기초 기본기술을 완숙하게 구사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휴식시간을 이용하여 매일 30분 정도만 규칙적으로 실시해도 큰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장은 큰 구애를 받지 않아도 되며 구두나 하이힐을 신고 운동을 하면 발목이나 무릎의 손상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동작이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반드시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탁구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상해는 급격한 동작이나 자세변경, 체중이동으로 인한 손목염좌, 발목염좌, 아킬레스건염, 근육경련, 어깨 건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기 전후 충분한 준비 또는 정리운동이 필수적이며, 운동시 바른 자세의 습득과 정확하고 안정된 기술 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체력수준에 맞게 적절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점진적인 체력향상을 꾀하는 것이 건강과 체력향상에 효과적입니다.
※ 참고 문헌 ※
1. 탁구, [지은이 Larry Hodges, 옮긴이 오윤경], 출판사 대한 미디어
2. http://blog.naver.com/an63347?Redirect=Log&logNo=90001962148 등
목 차
◎ 서론
- 탁구의 역사
- 우리나라 탁구의 역사
◎ 본론
- 탁구의 규칙
°코트, 라켓, 네트등의 규격
° 용어의 정의
° 경기 규칙
° 올바른 서비스와 서브 방법
◎ 결론
- 탁구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추천자료
스쿼시[squash]에 대해서
웰빙, 그리고 배드민턴
포레스트 검프를 보고
육상경기란 무엇인가
[여성차별][남녀평등]여성차별과 남녀평등의 내용과 다양한 사례 분석 및 향후 과제, 조치 고...
[게임산업]한국, 미국, 일본, 유럽(EU) 게임산업의 발전 전망과 과제(게임산업의 중요성, 한...
[장애인스포츠][장애인체육]장애인스포츠(장애인체육) 개념과 장애별 사례 및 발전방안(장애...
여성과 기술에 대하여
뉴스포츠와 이색스포츠
남북 스포츠 교류의 의의와 성과
익산시 장애인 종합 복지관 기관분석
남·북한 스포츠와 문화 비교
신스포츠의 유형과 개념
휠체어 스포츠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