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장의 뜻
2. 문장의 성립
3. 문장의 접속
4. 문단
5. 글의 짜임
6. 표현기교
7. 문체(文體)
2. 문장의 성립
3. 문장의 접속
4. 문단
5. 글의 짜임
6. 표현기교
7. 문체(文體)
본문내용
방법
① 도치법 : 문장의 서술 순서를 바꾸어 놓는 방법
<예> 겨울 바다에 나는 가 보았지.
그는 인사를 누구에게나 한다.
② 설의법 : 일부러 독자에게 묻는 형식을 취하는 방법
<예> 어떻게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이냐?
어머님 당신은 저 먼 나라를 아십니까?
③ 문답법 :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예> 그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름아닌 자유와 진리이다.
그 말이 사실이었을까? 유감스럽게도 그 말은 사실이었다.
④ 대구법 : 구절을 맞세워 표현하는 방법
<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⑤ 인용법 :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표현하는 방법
<예> 사람들은 바하를 가리켜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철수는 "이제 집에 갈 시간이야."라고 말했다.
⑥ 거례법 : 예를 들어 표현하는 방법
<예> 독일 국민처럼 우리도 남과 북이 서로를 이해해야 한다.
콜룸부스의 달걀에서 보듯이 맨 처음하는 것은 어렵다.
⑦ 반어법 : 하고자 하는 뜻과 반대되게 표현하는 방법
<예> 얄밉게도 생겼구나.
잘 한다.
⑧ 생략법 : 문장의 끝을 생략하는 방법
<예> 그 처참한 광경이란…….
지갑, 도장, 만년필, 수첩, 시계…….
⑨ 돈호법 : 이름을 불러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법
<예> 영철아!
신사 숙녀 여러분!
⑩ 현재법 : 과거나 미래의 일을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으로 소설이나 일기, 기행문 등에 많이 쓰인다.
⑪ 역설법 : 논리적으로 서로 맞지 않는 이야기를 연결해 표현하는 방법
<예>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
나는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7. 문체(文體)
⑴ 문체의 뜻 : 산문에서 지은이의 독특한 개성이 나타나는 문장의 체제
⑵ 문체의 갈래
① 말투에 따른 갈래
- 구어체 : 실제 말하는 형태로 쓴 문체로 오늘날의 글에 쓰인다.
- 문어체 : 실제 하는 말과는 다른 문체로 옛 글에 많이 쓰였다.
② 문장의 성격에 따른 갈래
- 간결체 : 표현을 적게 하는 짧은 문체로 호흡이 빠르다.
- 만연체 : 많은 표현을 쓰는 문체로 호흡이 느리고 반복이 많다.
- 강건체 : 힘차고 곧은 남성적 문체로 딱딱한 느낌을 준다.
- 우유체 : 우아하고 부드러운 여성적 문체로 멋스러운 느낌을 준다.
- 건조체 : 수식어가 없는 메마른 문체로 지적인 느낌을 준다.
- 화려체 : 수식어를 많이 사용하는 문체로 화려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① 도치법 : 문장의 서술 순서를 바꾸어 놓는 방법
<예> 겨울 바다에 나는 가 보았지.
그는 인사를 누구에게나 한다.
② 설의법 : 일부러 독자에게 묻는 형식을 취하는 방법
<예> 어떻게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이냐?
어머님 당신은 저 먼 나라를 아십니까?
③ 문답법 :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법
<예> 그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름아닌 자유와 진리이다.
그 말이 사실이었을까? 유감스럽게도 그 말은 사실이었다.
④ 대구법 : 구절을 맞세워 표현하는 방법
<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⑤ 인용법 :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여 표현하는 방법
<예> 사람들은 바하를 가리켜 '음악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철수는 "이제 집에 갈 시간이야."라고 말했다.
⑥ 거례법 : 예를 들어 표현하는 방법
<예> 독일 국민처럼 우리도 남과 북이 서로를 이해해야 한다.
콜룸부스의 달걀에서 보듯이 맨 처음하는 것은 어렵다.
⑦ 반어법 : 하고자 하는 뜻과 반대되게 표현하는 방법
<예> 얄밉게도 생겼구나.
잘 한다.
⑧ 생략법 : 문장의 끝을 생략하는 방법
<예> 그 처참한 광경이란…….
지갑, 도장, 만년필, 수첩, 시계…….
⑨ 돈호법 : 이름을 불러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법
<예> 영철아!
신사 숙녀 여러분!
⑩ 현재법 : 과거나 미래의 일을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으로 소설이나 일기, 기행문 등에 많이 쓰인다.
⑪ 역설법 : 논리적으로 서로 맞지 않는 이야기를 연결해 표현하는 방법
<예>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
나는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7. 문체(文體)
⑴ 문체의 뜻 : 산문에서 지은이의 독특한 개성이 나타나는 문장의 체제
⑵ 문체의 갈래
① 말투에 따른 갈래
- 구어체 : 실제 말하는 형태로 쓴 문체로 오늘날의 글에 쓰인다.
- 문어체 : 실제 하는 말과는 다른 문체로 옛 글에 많이 쓰였다.
② 문장의 성격에 따른 갈래
- 간결체 : 표현을 적게 하는 짧은 문체로 호흡이 빠르다.
- 만연체 : 많은 표현을 쓰는 문체로 호흡이 느리고 반복이 많다.
- 강건체 : 힘차고 곧은 남성적 문체로 딱딱한 느낌을 준다.
- 우유체 : 우아하고 부드러운 여성적 문체로 멋스러운 느낌을 준다.
- 건조체 : 수식어가 없는 메마른 문체로 지적인 느낌을 준다.
- 화려체 : 수식어를 많이 사용하는 문체로 화려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추천자료
3학년 (국어과) 연간 지도 계획
2000년 3월 육군 1차 국어
국문학-1930년대 모더니즘
국문학사 만해 한용운
[국문학개론] 국문학사 - 1960년대 소설에 대해서
통사론으로 본 국어 높임법 연구
[국문학] (A+) 1990년대 문학 특징과 은희경의 '타인에게 말걸기' 작품세계 및 작품분석
[국문학개론] -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동유럽 각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국문학개론] -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전략적 능력과 어휘 구사력의 평가,숙달도 평가,성취...
[국문학개론] - 중,한(한중) 언어 문화적 차이 실태와 해결대책, 중한 문화적 차이 실태, 중...
[국문학개론] 그리스 사람과 유교 사상 - 문화간 이해 증진을 위한 한국어교육 -어떤학생들이...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기존 원점수 방식의 문...
[문학교육] 만화 매체와 국어 교육 - 문화 현상에 대한 적극적 탐구와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