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8장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조선후기(2)) -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본문내용
제8장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조선후기(2)) 조선조 후기 영? 정조 시대는 문학사의 전환기. 사회적인 변모와 가치관의 변화가 문학작품에 반영되기 시작했고, 시조가 해체되고 사설시조가 등장했으며 사회변화를 반영하는 야담과 한문소설도 나타남. 판소리가 공연되고, 관련소설이 인기를 누렸을 뿐 아니라 탈춤, 민속극 등이 시장경제에 힘입어 활발하게 공연됨 1. 시조의 변이와 사설시조의 등장 (1) 사대부 시조의 변이, 연시조 ? 정치를 비판하며 일정한 주제를 가진 연시조를 많이 짓는 작가군 등장 ? 고응척:‘대학’을 이치별로 풀이한 대학곡 28수 지음 ? 장경세: 강호연군가 13수는 애절한 탄식으로 사설을 늘어 놓음 ? 이신의: 송, 국, 매, 죽을 차례로 읊은 ‘사우가’에서 시련에 굴하지 않는 의연함을 읊음 ? 조존성:‘호아곡’ 4수를 지어 전원생활의 흥취 노래 ? 박선장: 훈민시조 전통이어 ‘오륜가’ 4수 내놓음 ? 김득연:‘산중잡곡’ 49수와 ‘영희잡곡’ 6수 지음 ? 신계영: 사대부 시조 재현한 ‘연군가’ 3수, ‘전원사시가’ 10수, ‘탄로가’ 3수 지음 ? 정광천:‘술회가’ 6수와 임진왜란을 보고 나라 망함을 탄식한 사연 전함 ? 이덕일: 우국가 28수 지음 ? 박인로: 임진왜란 때 무장으로 나섰으며 우국충정 가사인‘태평사’와‘선상탄’을 지음. 이외에‘누항사’,‘오륜가’,‘조흥시가’ 등 ? 강복중: 인조반정시 ‘계해반정가’ 6수를 지어 거사를 찬양하고 만년에는 전원 은거를 자랑한‘수월정청흥가’21수를 남김 - 중략 -
키워드
추천자료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매월당 김시습
박인로(朴仁老) 고찰 레포트 (생애, 작품론, 문학사적 위치...)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정표출의 방법
문학의 통속화와 그 극복
한문학 조사,연구
국어과 교육 과정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고대가요)의 배경설화, 구지가(고대가요)의 작품해제, 구지가(고대...
[고소설]홍길동전 작품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
문학교육과정 역사적 변천
[현대시, 시, 문학, 현대시 형식, 현대시 특징, 현대시 양상, 현대시 전개, 현대시 시론, 시...
[한국고전문학사] 향가
이인로(李仁老)와 이규보(李奎報)의 대비 분석 - 용사(用事)와 신의(新意)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