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르프 소개
2. 아르프의 조각 작품 경향
아르프가 참가했던 다다이즘(Dadaism) 운동
1. 다다이즘의 배경
2. 다다의 성격
3. 현대 미술에의 영향
4. 다다의 종말
2. 아르프의 조각 작품 경향
아르프가 참가했던 다다이즘(Dadaism) 운동
1. 다다이즘의 배경
2. 다다의 성격
3. 현대 미술에의 영향
4. 다다의 종말
본문내용
,이후의 모든 전위적 예술사조에 깊게 침투되어 20세기 미술 전반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게된다.
4. 다다의 종말
이렇듯 다다는 아주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들의 공통점은 오로지 모더니즘의 전통을 이어받았다는 것과 미술이란 어떤것이어야 한다는 기존관념에 도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졌다는 것이다. 즉 미술작품이 성립되는 것은 형태,재료,내용 ,범주,기술 등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술가가 그것을 미술이라고 간주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다다 운동은 모두 부정적인 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운동은 인간정신의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는 예술가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리하여 1924년의 다다 운동에 이어서 초현실주의 운동이 일어난다. 그것의 주요 정신은 의식적。이성적 측면을 무시하고 무의식적 측면을 중요시하여 상상력을 자유롭게 작용시키는 데에 있었다. 다다는 일상세계의 모든 것을 부정하기 때문에 결국은 자기 자신을 부정해야했다. 그리고 이것은 악순환으로 빠져버려 거기로부터탈피해야만 되었다. 결국 새로운 질서에의 요구가 일고 다다이즘은 막을 내리게된다. 그래서 초현실주의는 다다가 남긴 폐허 속에서 건설을 시작하려는 긍정적인 행동의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4. 다다의 종말
이렇듯 다다는 아주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들의 공통점은 오로지 모더니즘의 전통을 이어받았다는 것과 미술이란 어떤것이어야 한다는 기존관념에 도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졌다는 것이다. 즉 미술작품이 성립되는 것은 형태,재료,내용 ,범주,기술 등에 의해서가 아니라 미술가가 그것을 미술이라고 간주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라는 것이다.
다다 운동은 모두 부정적인 면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운동은 인간정신의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는 예술가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리하여 1924년의 다다 운동에 이어서 초현실주의 운동이 일어난다. 그것의 주요 정신은 의식적。이성적 측면을 무시하고 무의식적 측면을 중요시하여 상상력을 자유롭게 작용시키는 데에 있었다. 다다는 일상세계의 모든 것을 부정하기 때문에 결국은 자기 자신을 부정해야했다. 그리고 이것은 악순환으로 빠져버려 거기로부터탈피해야만 되었다. 결국 새로운 질서에의 요구가 일고 다다이즘은 막을 내리게된다. 그래서 초현실주의는 다다가 남긴 폐허 속에서 건설을 시작하려는 긍정적인 행동의 열망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