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經濟的 注文量(EOQ)模型
1. EOQ모형의 가정
2. EOQ와 비용간의 관계
Ⅲ. 經濟的 生産量(EPQ)모형
1. EPQ모형의 가정
2. EPQ와 비용간의 관계
3. EOQ와 EPQ의 槪念的 차이
Ⅳ.EOQ와 EPQ의 數値的 예
1. EOQ의 수치적 예
2. EPQ의 수치적 예
Ⅴ. 結論
※참고문헌※
Ⅱ. 經濟的 注文量(EOQ)模型
1. EOQ모형의 가정
2. EOQ와 비용간의 관계
Ⅲ. 經濟的 生産量(EPQ)모형
1. EPQ모형의 가정
2. EPQ와 비용간의 관계
3. EOQ와 EPQ의 槪念的 차이
Ⅳ.EOQ와 EPQ의 數値的 예
1. EOQ의 수치적 예
2. EPQ의 수치적 예
Ⅴ. 結論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간수요량)
Co = 10(주문당소요비용) 일때,
EOQ = SQRT { {2 { C}_{O } D} over { { C}_{h } } }
이므로,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Image 141.42
이다.
이 값은 연간비용(ATC)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Q) 즉 경제적 주문량 이므로 이를 통해 연간비용을 구할 수 있다.
ATC = { { C}_{O }D } over {Q } + { { C}_{h }Q } over {2 }
이므로
{4 CDOT 141.42} over {2 } + { 10 CDOT 4000} over {141.42 } Image 565.68
이다.
2. EPQ의 수치적 예
{ C}_{h } = 4 (연간 단위 재고비용)
D = 4,000 (연간 수요량)
{ C}_{O } =10 (생산당 소요비용)
일 때,
EPQ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간생산능력(P)을 알아야 한다.
연간생산능력에 따라 EPQ의 값이 달라지는데 연간수요량(D)보다 연간생산능력이 커질수록 EPQ가 작아지는데 이것을 數値的으로 증명하기 위해 P의 값을 10000, 50000, 무한대( )의 세 경우를 설정해 본다.
(1) 연간생산능력(P)가 10000인 경우
EPQ= SQRT { { 2 { C}_{O }D } over { { C}_{h } } } SQRT { { P} over {P-D } }
이므로,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10000} over { 10000-4000} } = 141.42 1.291 Image 182.57
ATC(연간총생산비용)= { { C}_{O }D } over {Q } + { { C}_{h } Q} over {2 } LEFT ( { P-D} over { P} RIGHT )
이므로
ATC= { 10 CDOT 4000} over {182.57 }+ { 4 CDOT 182.57} over {2 } LEFT ( { 10000-4000} over { 10000} RIGHT ) Image 438
이다.
(2) 연간생산능력(P)가 50000인 경우
EPQ=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50000} over {50000-4000 } }= 141.42 1.042 Image 147
ATC= { 10 CDOT 4000} over {147.35 } + { 4 CDOT 147.35} over {2 } LEFT ( { 50000-4000} over { 50000} RIGHT ) Image 542.58
이다.
(3) 연간생산능력(P)가 무한대( )인 경우
EPQ=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INF } over { INF -4000 } }= 141.42 1.111 Image 141
ATC= { 10 CDOT 4000} over {141.42 } + { 4 CDOT 141.42} over {2 } LEFT ( { INF -4000} over { INF } RIGHT ) Image 565.68
위에서 보면 P(연간생산능력)가 D(연간수요량) 보다 커질수록 EPQ는 작아지며, P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일시에 전량이 도착한다는 EOQ의 가정과 일치하므로 EPQ=EOQ 가 된다.
Ⅴ. 結 論
본문에서는 비용최적화를 위한 재고관리 모형인 EOQ와 EPQ에 대해 알아보았다.
EOQ모형은 재고 모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모형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요가 確定的이며 조달 기간이 일정하고 구매 단가가 일정할 뿐만아니라 추후 납품을 고려하지 않는 것 등 많은 가정 중에는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限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수정, 보완한 것이 EPQ모형이다. EPQ모형은 최적 1회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으로, EPQ모형에서 주문량이 일시에 입고된다는 가정을 莞花 시켰다. 그러므로 EPQ에서 생산능력이 무한대가 된다면 연간총주문(생산)비용과 경제적주문(생산)량은 두 모형이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이순룡, 1998,『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법문사.
2. 이상범. 문상원 2001, 『생산계획 및 재고관리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3. 문상원. 최덕원 2002, 『물류관리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4. 정충영, 1993,『생산관리론』, 무역경영사
5. 곽수일, 1995, 『현대생산관리』, 박영사
6.
7.
Co = 10(주문당소요비용) 일때,
EOQ = SQRT { {2 { C}_{O } D} over { { C}_{h } } }
이므로,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Image 141.42
이다.
이 값은 연간비용(ATC)을 최소화하는 1회 주문량(Q) 즉 경제적 주문량 이므로 이를 통해 연간비용을 구할 수 있다.
ATC = { { C}_{O }D } over {Q } + { { C}_{h }Q } over {2 }
이므로
{4 CDOT 141.42} over {2 } + { 10 CDOT 4000} over {141.42 } Image 565.68
이다.
2. EPQ의 수치적 예
{ C}_{h } = 4 (연간 단위 재고비용)
D = 4,000 (연간 수요량)
{ C}_{O } =10 (생산당 소요비용)
일 때,
EPQ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간생산능력(P)을 알아야 한다.
연간생산능력에 따라 EPQ의 값이 달라지는데 연간수요량(D)보다 연간생산능력이 커질수록 EPQ가 작아지는데 이것을 數値的으로 증명하기 위해 P의 값을 10000, 50000, 무한대( )의 세 경우를 설정해 본다.
(1) 연간생산능력(P)가 10000인 경우
EPQ= SQRT { { 2 { C}_{O }D } over { { C}_{h } } } SQRT { { P} over {P-D } }
이므로,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10000} over { 10000-4000} } = 141.42 1.291 Image 182.57
ATC(연간총생산비용)= { { C}_{O }D } over {Q } + { { C}_{h } Q} over {2 } LEFT ( { P-D} over { P} RIGHT )
이므로
ATC= { 10 CDOT 4000} over {182.57 }+ { 4 CDOT 182.57} over {2 } LEFT ( { 10000-4000} over { 10000} RIGHT ) Image 438
이다.
(2) 연간생산능력(P)가 50000인 경우
EPQ=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50000} over {50000-4000 } }= 141.42 1.042 Image 147
ATC= { 10 CDOT 4000} over {147.35 } + { 4 CDOT 147.35} over {2 } LEFT ( { 50000-4000} over { 50000} RIGHT ) Image 542.58
이다.
(3) 연간생산능력(P)가 무한대( )인 경우
EPQ= SQRT { { 2 CDOT 10 CDOT 4000} over {4 } } SQRT { { INF } over { INF -4000 } }= 141.42 1.111 Image 141
ATC= { 10 CDOT 4000} over {141.42 } + { 4 CDOT 141.42} over {2 } LEFT ( { INF -4000} over { INF } RIGHT ) Image 565.68
위에서 보면 P(연간생산능력)가 D(연간수요량) 보다 커질수록 EPQ는 작아지며, P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일시에 전량이 도착한다는 EOQ의 가정과 일치하므로 EPQ=EOQ 가 된다.
Ⅴ. 結 論
본문에서는 비용최적화를 위한 재고관리 모형인 EOQ와 EPQ에 대해 알아보았다.
EOQ모형은 재고 모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모형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요가 確定的이며 조달 기간이 일정하고 구매 단가가 일정할 뿐만아니라 추후 납품을 고려하지 않는 것 등 많은 가정 중에는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限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수정, 보완한 것이 EPQ모형이다. EPQ모형은 최적 1회 생산량을 결정하는 모형으로, EPQ모형에서 주문량이 일시에 입고된다는 가정을 莞花 시켰다. 그러므로 EPQ에서 생산능력이 무한대가 된다면 연간총주문(생산)비용과 경제적주문(생산)량은 두 모형이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1. 이순룡, 1998,『제품 서비스 생산관리론』, 법문사.
2. 이상범. 문상원 2001, 『생산계획 및 재고관리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3. 문상원. 최덕원 2002, 『물류관리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4. 정충영, 1993,『생산관리론』, 무역경영사
5. 곽수일, 1995, 『현대생산관리』, 박영사
6.
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