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콘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1. 도덕성 발달이론
1)사회학습이론
2)정신분석학적 관점
3)인지발달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인습이전 수준
2) 인습 수준
3) 인습이후 수준

3. 콜버그 이론의 특징과 비평
1) 이론의 특징
2) 이론의 비평

< 결 론 >
4. 교육적 제안
1) 아동에 대한 실천적 도덕교육
2) 돌봄과 대함의 교육
3) 지속적 도덕 발달을 위한 평생교육

본문내용

이는 발달이론의 근본인 '퇴행은 불가하다'는 원칙을 거스르는 것이다. 하지만 발달의 진행에 대한 인지 구조적 측면과 행위의 측면을 면밀하게 분리해서 보면, 퇴행은 갑자기 사라지는 덕으로서가 아닌 '악에 대한 주의'로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도덕 교육이 학령기에 있는 교육과정으로 끝나고 더 이상의 계속적인 훈련이나 배움이 필요없는 것이 아니다. 사회에 진출하여 각양의 문화와 초자아적 - 사회 도덕적 - 요구에 부응하기 시작하는 이후의 과정에 오히려 새로운 도덕 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되는 것이라 하겠다. 인지적 훈련이나 정서적 경험도 그러하지만 무엇보다도 의지적이며 실천적인 도덕교육은 보다 더 확고한 평생교육적 개념으로 받아 들여져야 한다.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을 통해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더 중요함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고, 발달단계가 높다고 해서 좀더 도덕적으로 성숙했다고 확신할 수 없었지만,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적절한 도덕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갈등을 경험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오늘날의 지능발달에 의한 성적위주의 교육보다는 올바른 선한 심성을 가진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5.03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