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토론Ⅰ. 가정교육과 학교교육 ----------------p2
토론Ⅱ. 학력(學歷)과 학업성취(學力)------------p14
토론Ⅲ. 교육 평등의 개념과 평등관의 변천 -------p25
토론Ⅳ. 사회변동과 교육------------------p33
토론Ⅴ. 평생 교육 및 사회 교육-------------p45
토론Ⅵ. 사회계층 사회이동과 교육-----------p64
토론Ⅱ. 학력(學歷)과 학업성취(學力)------------p14
토론Ⅲ. 교육 평등의 개념과 평등관의 변천 -------p25
토론Ⅳ. 사회변동과 교육------------------p33
토론Ⅴ. 평생 교육 및 사회 교육-------------p45
토론Ⅵ. 사회계층 사회이동과 교육-----------p64
본문내용
과 사교성이 높다. 우리나라 역시 사회이동에 지능과 성적이 중요하다. 보통지능이 높을수록 학교에서 공부를 잘 하고, 공부를 잘할수록 교육포부수준이 높고, 그 결과 자신이 미래에 선택할 직업 표부 수준이 높은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말하는 사교성은 교사나 동료에 의하여 평가되었을 때 인기가 높고 친절하여 지도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사교성은 사회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개방적인 산업사회에서는 사회이동의 중요한 한 자원이 된다. 즉, 이것은 민주적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이 방면의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있어야 할 것이다.
ㄴ.늦은 결혼 - 경험적인 연구에 의하면 남자와 여자 모두 만혼은 상승이동과 관련이 많고, 조혼은 하강이동과 관련이 많다. 대체로 일찍 결혼한 여자들과 늦게 결혼한 여자들을 비교하여 보면 늦게 결혼한 여자들이 지능과 학업성적이 높고 상승이동을 더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남자와 일찍 결혼하여 상승 이동한 경우가 있는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만혼인 여자가 상승이동과 더 관련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
그것은 대략 결혼을 늦게 한다는 것은 직장이 있거나 학업을 계속 열심히 했기 때문이다. 즉, 장래를 행복을 위하여 오늘의 욕망을 억제하는 심리적 상태가 결혼을 연기시킨다는 것이다.
가정적인 요인
ㄱ.형제 자매의 숫자 - 연구에 의하면 외아들과 형제, 자매가 하나만 있을 경우가 상승이동을 할 수 있는 확률은 감소된다. 외아들이거나 자녀수가 적은 경우에는 똑같은 수준의 수입이라면, 자녀수가 많은 때 보다 후견적인 역할을 더 잘 할 수 있다는데서 이상과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에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 수 보다도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나 재산 정도 자체가 더 깊은 관계를 가질 것이다.
ㄴ.어머니가 지배적인 가정 - 어머니가 지배적인 가정의 자녀들은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가 평등한 가정이나 아버지가 지배적인 가정보다 상승이동을 많이 하고 있다. 또 어머니가 학력이 높고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학력이 높은 가정일수록 상승이동이 많다. 이는 자녀교육에 대하여는 대개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관심이 크고 또 자녀들은 가정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야심 있는 자녀를 만드는데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역할이 더 큰 것이다. 아버지가 지배적인 가정의 자녀들은 자녀들이 자기 자신의 뚜렷한 의견을 표시하거나 어른들의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복종적이고 수동적인 인간이 되기 쉽다. 아버지가 자유로운 아버지라면 아이들은 책임감이 강하고, 능동적인 인간이 될 수 있어 사회이동에 있어서도 상승이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요인
ㄱ.지역사회의 크기 - 상승이동은 사람들이 청소년 시절을 어디서 보냈냐에 따라서 많이 좌우된다. 대도시는 교육의 기회가 많고 직장의 종류가 많아서 시골보다는 상승이동의 기회가 많다. 특히 노동자 자녀들의 상승이동은 도시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노동자 자제들은 사회적인 기회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이다.
ㄴ.산업화 및 도시화의 정도 - 상승이동의 정도는 그 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 사회가 제공할 수 있는 직장의 수효는 그 사회의 산업이 얼마나 발달되어 있느냐에 달려 있다. 공업이 발달하면서부터 기술직과 관리직 및 서비스직이 크게 확장되면서, 그 사회가 사회구성원에게 직업을 제공하고 이것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상승적인 사회이동의 기회가 많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ㄷ.교육의 기회 - 학교는 사회이동과 관계가 깊다. 대개 초등학교 졸업생은 육체노동과 중, 고등학교 졸업생은 하급기술직이나 관리직과 그리고 대학졸업생은 전문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을 졸업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상승적 사회이동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미국을 위시한 몇 나라에서는 사회의 지도자들이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고, 사회는 진보적이어서 교육의 기회도 보수적인 사회보다 많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의 사회이동은 보수적인 사회보다 활발하다.
ㄹ.정치적 안정성 - 정치적으로 불안한 사회에서는 장래의 예측이 어렵고 또 질서가 서 있지 않기 때문에 능력 있는 사람이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워 능력이 있다 해도 상승이동을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사회에서 좋은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은 공정한 능력에 의해서 라기 보다는 관권, 금권, 정실관계 등 비합리적인 수단에 의존하여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당한 사회이동을 방해한다. 정치적으로 안정된 사회에서는 다음 단계로 승진이 가능하다는 예측이 분명하고, 그 기대와 예측에 따라서 사회가 움직이기 때문에 사회의 하층에 있으나 능력 있는 사람이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많아져 사회이동은 증가한다.
ㅁ.사회구성원의 성취동기 - 사회구성원의 성취동기가 높으면 높을수록 사회이동이 활발해진다. 성취동기는 어떠한 업적을 남기고 싶거나 무엇을 이룩해 보려고 하는 인간의 내면적 욕구이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부모의 사회적 배경과 같은 귀속적 요인에 의해서 보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의해서 업적을 이룩하고자 하기 때문에 상승적 사회이동의 확률이 높다.
ㅂ.하강이동의 교육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도 자녀가 이룩한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부모가 속한 사회적 계층보다도 자녀가 속한 사회계층이 낮은 경우나 현재의 지위가 과거의 자신의 지위보다 낮아진 경우 하강이동이 된다. 정서적 불안이나 도덕적 결함 때문에 사회의 경쟁에서 낙오되는 경우도 많으며, 때로는 결혼에 의하여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하강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여자인 경우 대부분 남자의 사회적 지위에 종속되기 때문에 결혼은 여자의 사회이동의 중요한 원인이다.
5)사회이동의 두 관점
ㄱ.미국의 직업구조라는 책으로 발표된 이들의 보고서는 이른바 '직업지위획득모형'으로 보 편화된 연구설계와 함께 대표적 연구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ㄴ.지위 획득의 결정변수를 4가지로 보았는데, 그것은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 의 교육, 본인의 첫 번째 직업으로, 앞의 둘은 사회적 배경요인을 뒤의 둘은 자신의 훈 련과 경험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사교성은 교사나 동료에 의하여 평가되었을 때 인기가 높고 친절하여 지도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사교성은 사회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개방적인 산업사회에서는 사회이동의 중요한 한 자원이 된다. 즉, 이것은 민주적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자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는 이 방면의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있어야 할 것이다.
ㄴ.늦은 결혼 - 경험적인 연구에 의하면 남자와 여자 모두 만혼은 상승이동과 관련이 많고, 조혼은 하강이동과 관련이 많다. 대체로 일찍 결혼한 여자들과 늦게 결혼한 여자들을 비교하여 보면 늦게 결혼한 여자들이 지능과 학업성적이 높고 상승이동을 더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남자와 일찍 결혼하여 상승 이동한 경우가 있는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만혼인 여자가 상승이동과 더 관련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
그것은 대략 결혼을 늦게 한다는 것은 직장이 있거나 학업을 계속 열심히 했기 때문이다. 즉, 장래를 행복을 위하여 오늘의 욕망을 억제하는 심리적 상태가 결혼을 연기시킨다는 것이다.
가정적인 요인
ㄱ.형제 자매의 숫자 - 연구에 의하면 외아들과 형제, 자매가 하나만 있을 경우가 상승이동을 할 수 있는 확률은 감소된다. 외아들이거나 자녀수가 적은 경우에는 똑같은 수준의 수입이라면, 자녀수가 많은 때 보다 후견적인 역할을 더 잘 할 수 있다는데서 이상과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에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 수 보다도 부모의 사회경제적인 지위나 재산 정도 자체가 더 깊은 관계를 가질 것이다.
ㄴ.어머니가 지배적인 가정 - 어머니가 지배적인 가정의 자녀들은 어머니와 아버지 사이가 평등한 가정이나 아버지가 지배적인 가정보다 상승이동을 많이 하고 있다. 또 어머니가 학력이 높고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학력이 높은 가정일수록 상승이동이 많다. 이는 자녀교육에 대하여는 대개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관심이 크고 또 자녀들은 가정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야심 있는 자녀를 만드는데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역할이 더 큰 것이다. 아버지가 지배적인 가정의 자녀들은 자녀들이 자기 자신의 뚜렷한 의견을 표시하거나 어른들의 대화에 참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복종적이고 수동적인 인간이 되기 쉽다. 아버지가 자유로운 아버지라면 아이들은 책임감이 강하고, 능동적인 인간이 될 수 있어 사회이동에 있어서도 상승이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적 요인
ㄱ.지역사회의 크기 - 상승이동은 사람들이 청소년 시절을 어디서 보냈냐에 따라서 많이 좌우된다. 대도시는 교육의 기회가 많고 직장의 종류가 많아서 시골보다는 상승이동의 기회가 많다. 특히 노동자 자녀들의 상승이동은 도시에서 많이 이루어진다. 노동자 자제들은 사회적인 기회에 많이 의존하기 때문이다.
ㄴ.산업화 및 도시화의 정도 - 상승이동의 정도는 그 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 사회가 제공할 수 있는 직장의 수효는 그 사회의 산업이 얼마나 발달되어 있느냐에 달려 있다. 공업이 발달하면서부터 기술직과 관리직 및 서비스직이 크게 확장되면서, 그 사회가 사회구성원에게 직업을 제공하고 이것은 사회구성원들에게 상승적인 사회이동의 기회가 많이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ㄷ.교육의 기회 - 학교는 사회이동과 관계가 깊다. 대개 초등학교 졸업생은 육체노동과 중, 고등학교 졸업생은 하급기술직이나 관리직과 그리고 대학졸업생은 전문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을 졸업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상승적 사회이동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미국을 위시한 몇 나라에서는 사회의 지도자들이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고, 사회는 진보적이어서 교육의 기회도 보수적인 사회보다 많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의 사회이동은 보수적인 사회보다 활발하다.
ㄹ.정치적 안정성 - 정치적으로 불안한 사회에서는 장래의 예측이 어렵고 또 질서가 서 있지 않기 때문에 능력 있는 사람이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워 능력이 있다 해도 상승이동을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사회에서 좋은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은 공정한 능력에 의해서 라기 보다는 관권, 금권, 정실관계 등 비합리적인 수단에 의존하여 사회적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당한 사회이동을 방해한다. 정치적으로 안정된 사회에서는 다음 단계로 승진이 가능하다는 예측이 분명하고, 그 기대와 예측에 따라서 사회가 움직이기 때문에 사회의 하층에 있으나 능력 있는 사람이 능력을 발휘할 기회가 많아져 사회이동은 증가한다.
ㅁ.사회구성원의 성취동기 - 사회구성원의 성취동기가 높으면 높을수록 사회이동이 활발해진다. 성취동기는 어떠한 업적을 남기고 싶거나 무엇을 이룩해 보려고 하는 인간의 내면적 욕구이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부모의 사회적 배경과 같은 귀속적 요인에 의해서 보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의해서 업적을 이룩하고자 하기 때문에 상승적 사회이동의 확률이 높다.
ㅂ.하강이동의 교육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도 자녀가 이룩한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부모가 속한 사회적 계층보다도 자녀가 속한 사회계층이 낮은 경우나 현재의 지위가 과거의 자신의 지위보다 낮아진 경우 하강이동이 된다. 정서적 불안이나 도덕적 결함 때문에 사회의 경쟁에서 낙오되는 경우도 많으며, 때로는 결혼에 의하여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하강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여자인 경우 대부분 남자의 사회적 지위에 종속되기 때문에 결혼은 여자의 사회이동의 중요한 원인이다.
5)사회이동의 두 관점
ㄱ.미국의 직업구조라는 책으로 발표된 이들의 보고서는 이른바 '직업지위획득모형'으로 보 편화된 연구설계와 함께 대표적 연구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ㄴ.지위 획득의 결정변수를 4가지로 보았는데, 그것은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 의 교육, 본인의 첫 번째 직업으로, 앞의 둘은 사회적 배경요인을 뒤의 둘은 자신의 훈 련과 경험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추천자료
[실업계고등학교교육과정][실업계학교][실업계]실업계 고등학교의 현황, 문제점에 따른 실업...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초등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와 원리, 초등학교...
[진로교육][진로지도][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중요성, 초등학교진로교육...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정의와 유형,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교육참여)의 필요성과...
[특수교육]미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독일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뉴...
[공교육][학교교육 내실화]학교교육의 실상, 학교교육의 부실원인, 학교교육의 부실현상, 학...
[경험중심교육과정][선택중심교육과정][상황중심][기능적생활중심][학교중심][학문중심]경험...
[제7차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 개요, 제...
공교육(학교교육) 정의, 공교육(학교교육) 주체, 공교육(학교교육) 법적 의미, 공교육(학교교...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
[교육문제연구론] 학교교육과 관련된 문제를 교육관의 개념으로 분석적으로 논의하시오-학교...
[제7차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 개정, 제7차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제7...
[재구조화, 초등교육과정, 중등교육과정, 고등교육과정]학교교육의 재구조화, 초등교육과정의...
학교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재생산도구,평등한 교육기회,학교교육에 대한 비판,학교교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