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6장 교육과 사회평등
1. 계층과 사회이동
2. 교육의 기능
3. 논의
1. 계층과 사회이동
2. 교육의 기능
3. 논의
본문내용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가정배경, 지적능력, 교육수준, 직업지위를 다 동원하여도 개인 간의 소득의 차이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다. 그는 “학교는 평등화에 관한 한 별 볼일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학교교육의 사회평등에 대한 무효과론을 더 일찍 그리고 체계적으로 제시한 사람은 앤더슨이다. 프랑스의 부동은 교육기회의 분배가 평등하게 이루어지고 교육의 차이가 지위상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설적인 능력주의 상황을 설정하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사회평등화가 얼마나 실현될 수 있는가를 모의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역시 교육은 사회평등화와 무관하다는 것이었다. 그는 “일반적인 조건하에서 교육기회의 확대는 사회적 불평등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이것은 교육기회의 불평등 분배가 호전되어도 마찬가지이다”리고 결론을 내려다. 교육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든다는 주장이나 또는 더 불평등하게 만든다는 주장은 지지하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3. 논의
학교는 사람들의 지적, 인격적 성숙을 목적으로 삼는 교육을 위한 조직이지, 소득분배나 사회적 지위분배 등을 위한 사회평등을 위한 장치는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학교는 사회평등화 기능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관심은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 학교교육이 사회의 평등 또는 불평등에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주장이 사실로 입증된다고 해서, “학교는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이구나!”라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밝히는 것이 더욱 중요한 연구과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3. 논의
학교는 사람들의 지적, 인격적 성숙을 목적으로 삼는 교육을 위한 조직이지, 소득분배나 사회적 지위분배 등을 위한 사회평등을 위한 장치는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학교는 사회평등화 기능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관심은 필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 학교교육이 사회의 평등 또는 불평등에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주장이 사실로 입증된다고 해서, “학교는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이구나!”라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밝히는 것이 더욱 중요한 연구과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교육사회학의 발달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사회불평등은 불가피한 현상인가
교육사회 - 인간자본론 레포트
사회교육의 학문적 기초
교육과정사회학.PPT자료
정보사회론_정보격차와 사회불평등
사회과교육과정 배경과 특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내용선정과 내용조직, 초등학교 ...
중학교 사회교육(지리)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과정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의미,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유형,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필...
사회과교육(학습, 수업)의 목표, 사회과교육(학습, 수업)의 내용, 사회과교육(학습, 수업)의 ...
[남녀평등][양성평등][성평등][평등][평등제도][평등사회]남녀평등(양성평등, 성평등)의 역사...
[사회문제론] 아동, 여성, 노인, 장애인, 소수자 및 북한 이탈주민 등의 사회 불평등 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