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생충이란
2. 기생충에 따른 피해
3.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 선충류
4.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 흡충류
5.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 조충류
6.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 편모충류
7. 기생충의 생활사와 감염경로 - 구충류

본문내용

는 말라리아병원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보통 1∼3주간이다. 그러나 때로는 몇 주 후 또는 길게 2∼3년 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방약의 불완전 내복자에게 이런 경향이 나타난다.
해충의 형태
및 특징과 생활사
단세포 기생충인 플라스모디움이 말라리아 원인균이다.
170종의 플라스모디움이 존재하나 4가지만이 사람에게 발병된다.
1. P. falciparum
아프리카에서 우세하며 가장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고 말라리아로 사망하는 대부분의 원인균이 된다.
2. P. vivax
아시아의 열대지방에서 발견되며, 덜 중한 증상을 유발하나 간에 서식하며 3년까지 재발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3. P. malariae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전형적 말라리아 증상을 나타낸다. 드물게 수년 동안 아무 증상 없이 혈액 내에 머물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사람을 문 모기에게 전염되거나 수혈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기도 한다.
4. P. ovale
서부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드물게 재발할 수 있다. *분포도 전 세계적으로 매년 4억~9억 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되며 그 중 1백만~3백만 명이 죽는다. 30초마다 한 명씩 말라리아로 죽는 것이다. 주로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임산부에게 치명적이다. 정확한 통계를 내기는 어려우나, 감염자 수가 매년 증가 추세이고 20년 후에는 말라리아 환자가 지금의 2배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적도를 따라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열대성기후에서 발생하는데, 사망자의 85~90%는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에서 나온다.
치료 및 예방
클로로퀸 저항성이 있는 열대열원충을 제외한 모든 말라리아의 치료
경구약
1.사일열원충 및 열대열원충에 대해서는 Chloroquine phosphate
2.삼일열원충 및 난형열원충에 대해서는 Chloroquine phosphate및 Primaquine phosphate투여
정맥주사(심한 경우)
1.Quininedihydrochloride나Quininegluconate를정맥주사한후 Chlororoquine을 복용합니다. 난형열원충인 경우는 Primaquine도 함께 복용합니다.
2. Artemether 정맥주사 후 Chloroquine을 근육주사한 다음 Chloroquine을 경구 복용합니다. 삼일열원충 또는 난형열원충에 의한 경우는 Primaquine근육주사를 추가하여야 합니다.
Chloroquine 저항성이 있는 열대열원충
1. Quinine sulfate와 함께 다음 약제 중 한 가지를 추가합니다: Doxycycline, Clindamycin, pyrimethamine, Sulfadiazine, Tetracycline, Pyrimethamine & Sulfadoxine
2. Mefloquine
3. Halofantrine
4. Atovaquone/Proguanil
5. Atovaquone/Doxycycline
6. Artesunate이후 Mefloquine
Chloroquine 저항성이 있는 열대열원충의 중증 감염시
1. Quinine dihydrochlorid 나 Quinidine gluconate, 그리고 Doxycycline 이나 Clindamycin 정맥주사. 이후 Quinine sulfate복용
2. Artemether정맥주사 후 Mefloquine복용
● 톡소포자충 (Toxoplasma gondii)
증 상
건강한 사람이 톡소포자충에 걸리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에서 증상이 생긴다 해도 건강한 사람은 그냥 감기증상 정도다. 열나고 춥고, 머리가 아프고 근육통이 생기고, 림프절이 붓는 등이 고작인데, 이러면 사람들은 “독감인가?” 그러고 말지 톡소포자충을 생각하지는 않을 거다. 하지만 극히 일부에서는 피부에 발진이 생길 수 있고, 눈을 침범해서 망막에 염증이 생길 수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이게 임신 중인 태아에게 갈 경우다. 이러면 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뇌수막염, 수두증 등이 생길 수 있으며, 발작을 하는 경우도 있다.
감염경로
식육(食肉) 중에 들어있는 cyst나 외계에 분산하여 흙이나 식품 중에 섞여있는 oocyst의 경구섭취. 식육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불충분하게 조리된 돼지고기. 고양이 분변에서 유래한 oocyst는 외계에서 장기간 생존-토양, 음료수 및 음식물을 매개로 인체에 감염.
선천성 감염 ; 본충에 감염된 임산부에서 태반을 통하여 태아에 감염.
해충의 형태
및 특징과 생활사
톡소포자충은 고양이의 장에 사는데, 고양이의 대변을 통해 나온 난포낭(oocyst)를 사람이 먹으면 감염된다. Oocyst의 크기는 10 x 14 m로 작다.
톡소포자충의 oocyst. 안에 두개의 sprocyst가 있고 그 안에 있는 게 4개의 sporozoite들이다.
종숙주인 고양이의 각종 조직세포와 체액 등에서 발견, schizogony의 생활사 중에 oocyst가 형성. 대변과 함께 외계로 배출된 oocyst는(9∼11μ×1∼14μ) 2개의 sporocyst(6×μ)로 분열, 3∼4일 지나면 sporogony에 의하여 sporocyst 내에 4개의 sporozoites(2×8μ) 가 형성, 감염 가능한 oocyst로 성숙.
이 oocyst를 중간숙주가 섭취, 장관 내에서 sporozoite가 분리된 후 뇌조직 등에 침입하여 cyst(50∼200μ)를 형성.
중간숙주로는 마우스, 개, 돼지, 소, 양, 조류, 사람 등, 인체감염은 고양이 변의 오염과 육류의 생식 등, 모체의 태반을 통한 선천성 감염.
치료 및 예방
돼지고기 등의 생식이나 불완전 조리후의 섭식은 피하도록 한다.
조리 중 칼이나 그릇 등을 매개로 다른 식품에 부착해서 섭취되는 위험을 고려 한다. 고양이 분변 중의 oocyst는 산이나 알칼리에도 저항성이 강하고, 물속이나 습기있는 흙에서 수개월동안 감염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임산부에서 초감염은 태아로 이행할 가능이 있으므로 고양이 사육을 피하는 것이 좋다.
그 외의 동물에 의한 감염은 아직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므로 임산부는 다른 동물과의 접촉도 피하는 것이 좋다.
참 고 : 파라뮤지엄, 인체기생충학(양용석, 대학서림), 질병관리본부(기생충나라)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