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체동학(Kinesiology)의 원리와 운동방법
*체동학이란 무엇인가?
*태권도의 운동생리학적 가치
*차기의 개념
*차기의 명칭
*차기의 원리
*차기 기본기술
*차기의 과정
*체동학이란 무엇인가?
*태권도의 운동생리학적 가치
*차기의 개념
*차기의 명칭
*차기의 원리
*차기 기본기술
*차기의 과정
본문내용
또 발등을 사용하여 앞차기를 찰 수 있으나 이는 낭심에만 사용되며 "앞 올려차기"라고 한다.
2) 옆차기
1
2
3
4
5
6
7
① 차는 다리를 앞차기 때와 같은 요령으로 무릎을 접어 끌어 올리면서 몸을 차는 방향 반대로 틀면서 접었던 무릎을 뻗으며 발 뒤축으로 목표를 가격한다.② 차는 순간 차는 다리 쪽의 반골 쪽이 엎어지는 듯 틀면서 고개는 제키어 차는 목표를 바라본다. 이 때 몸통은 어깨 쪽과 반골 및 다리까지는 나사못 나선과 같이 비틀거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차는 순간 총알의 총의 강선을 따라 회전하듯 발의 뒤축이 회전하면서 목표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목표는 상대의 서기에 ㄷ따라 정면일 경우는 명치 얼굴이 되며 옆으로 서 있을 때는 옆구리나 얼굴 옆 턱이 된다.③ 찬 다리는 반작용에 의하여 끌어들여 원위치나 마음에 정한 곳에 옮겨 놓는다.④ 딛고 있는 다리는 다리를 끌어올릴 때부터 충분히 펴 앞축만 딛고 회전을 빨리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또 무릎도 펴서 차는 방향에 추진력을 주어 가속도를 붙게 한다. 찬다리를 끌어들일 때는 먼저와 같이 발목과 무릎을 낮춘다.⑤ 옆차기를 찬 순간 상체가 차는 방향 반대쪽(뒷방향)으로 눕혀져서는 안된다. 상체를 일으켜 Y자 모양이 되어 차는 방향으로 체중을 민다는 마음으로 추진력을 주어야 한다.
※ 옆차기는 뒤축과 발날을 사용하여 공격하며 앞차기와 같이 차는 발의 움직임의 궤도는 출발점부터 목표까지 일직선으로 옮겨져야 된다.
3) 돌려차기
1
2
3
4
① 앞의 축이되는 발에 체중을 실리면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몸을 돌릴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발이 수평으로 돌아 앞축으로 상대의 목표를 가격한다(사용부위는 발등으로도 찰 수 있다).② 축이 되는 다리는 무릎을 펴며 발목도 펴서 앞축을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 되게한다.③ 찬 다리는 정한 목표에서 멈추어야 한다.④ 돌려차기는 앞차기, 옆차기와 같이 발의 궤도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발을 몸 뒤에서 일단 올려 회전 이동을 한다.⑤ 돌려차기를 많이 수련하면 차는 순간 발이 목표보다 약간 위에서 내려찍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 차기 기술의 기본은 앞차기, 옆차기, 돌려차기 등 세가지 기술이 기본이 된다. 다음의 차기 기술은 변화된 차기 기술이다.
4) 뒤차기
1
2
3
① 내가 서있는 위치에서 차는 다리를 끌러 올려 뒤쪽으로 뻗어찬다. 사용부위는 뒤축.② 차기의 끝모양은 옆차기와 흡사하다.③ 차는 다리는 앞에 있던 발로 찰 수 있으며 뒤에 있는 발을 끌어들였다가 찰 수도 있다. 뒤에 있는 발로 찰 경우 상대가 가까이 있을때이며 앞의 발로 착 경우에는 상대가 멀리 있을 때이다.④ 시선은 차는 방향을 바라보며 축이 되는 다리는 옆차기 때와같이 무릎과 발목을 펴지 않아도 된다.⑤ 상체는 옆차기 때보다 앞으로 눕혀진다.
5) 후려차기
① 차기와 같이 목표를 뚫고 들어가듯 가격하고 멈추어 발을 다시 끌어들이는 것이 아니며 차는 발이 목표를 맞추어 지나치는 방법으로 타격하는 것이다.② 주로 차는 방법이 돌려차기, 몸 돌려차기와 같이 원이동을 하는 차기 방법이 쓰인다.③ 사용부위는 발등, 발바닥, 발날등, 발날, 뒤꿈치이다.
6) 내려차기
1
2
3
① 차는 다리를 머리 위까지 끌어올려 무릎을 편 채로 아래로 내려 차는 것을 말한다.② 상대가 별로 가까이 있지 않을 때는 앞차기 때와 같이 몸 가운데로 무릎을 바싹 접어 끌어올렸다가 내려차기를 한다. 이때를 "내려차기"라 한다.③ 상대가 가까워서 상대를 피하여 다리를 끌어 올릴 때 나의 안쪽으로 끌어올려 내려차기 할때는 바깥쪽으로 내려차므로 이 때를 "바깥내려차기"라 한다. 만일 밖으로부터 끌어올려 안으로 내려 찰 때는 "안내려차기"라 한다.④ 사용부위는 뒤꿈치 발바닥을 사용한다.
*차기의 과정
발차기를 잘하려면 인체 골격의 가동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힘을 가해야 한다.
발차기에서 발은 디딤발과 차는 발로 나눌 수 있으며, 발차기시 디딤발의 바닥이 지면에 닿아 고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발차기가 어려우며 설령 찬다해도 가격거리가 짧고 힘을 제대로 전달하기가 어렵다.
디딤발을 고정한 채 차는 발차기는 상대의 낭심을 올려차는 앞차기 외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1. 중심이동과 체중이용 - 발차기를 할 때는 디딤발의 뒤꿈치를 약간 들어 앞꿈치로 중심을 잡고 안쪽으로 틀어주면서 디딤발쪽의 골반을 넣어주며 중심을 유지하면서 차면 허리의 회전력과 디딤발 쪽의 고관절이 나아가는 힘과 대퇴부의 회전력 그리고 무릎의 스냅을 이용하여 빠르면서도 강한 발차기를 할 수 있다.
야구에서도 손목과 팔꿈치의 스냅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전신을 이용하는 투구는 엄청난 힘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발차기에서도 온 몸을 효과적인 운동 방향과 운동 강도로 이용하면 더욱 강한 힘을 낼 수 있다.
2. 균형 - 발차기를 할 때는 차는 발쪽의 어깨가 나가며 몸의 균형을 잡으며 얼굴과 상체가 앞뒤로 흔들림 없이 곧게 서서 차야 한다.
물론 겨루기 시에는 상황에 맞추어 다르게 응용이 될 수 있다.
3. 관통 - 발차기 연습 시에는 목표를 정확하고 빠르고 강하게 가격을 하며 목표를 약간 관통해서 차도록 한다.
파괴력을 높일 수 있고 옆으로 피하는 경우에도 가격을 할 수 있다.
4. 몸 돌려차기 - 몸을 뒤로 돌려 차는 발차기에서는 디딤발이 돌아갈 때 상체도 같이 따라 돌게되며 차는 발은 디딤발의 무릎 안쪽을 스쳐지나가며 차는 발쪽의 엉덩이가 다리와 함께 나가며 발을 차게 된다.
회전 앞돌려차기처럼 몸을 앞으로 돌려서 차는 발차기는 디딤발이 돌아갈 때 몸을 똑바로 세운 채로 빠르게 약 200도 정도를 돈 후에 몸을 띄워서 차도록 한다.
몸을 돌기도 전에 뛰어서 차는 것은 동작이 크고 느리며 빠르게 몸을 돈 후에 몸을 띄워서 차는 발차기는 빠르고 정확하게 찰 수 있다.
몸을 뒤로 돌려차는 발차기나 몸을 앞으로 돌려차는 발차기 모두 빠르고 정확한 회전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몸을 세우고 발을 돌면서 상체를 돌리는데 이때 도는 쪽으로 어깨를 빠르게 당겨주며 차게 되면 회전이 빠르며 중심이 틀어져 흔들리지 않고 찰 수 있다.
2) 옆차기
1
2
3
4
5
6
7
① 차는 다리를 앞차기 때와 같은 요령으로 무릎을 접어 끌어 올리면서 몸을 차는 방향 반대로 틀면서 접었던 무릎을 뻗으며 발 뒤축으로 목표를 가격한다.② 차는 순간 차는 다리 쪽의 반골 쪽이 엎어지는 듯 틀면서 고개는 제키어 차는 목표를 바라본다. 이 때 몸통은 어깨 쪽과 반골 및 다리까지는 나사못 나선과 같이 비틀거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차는 순간 총알의 총의 강선을 따라 회전하듯 발의 뒤축이 회전하면서 목표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목표는 상대의 서기에 ㄷ따라 정면일 경우는 명치 얼굴이 되며 옆으로 서 있을 때는 옆구리나 얼굴 옆 턱이 된다.③ 찬 다리는 반작용에 의하여 끌어들여 원위치나 마음에 정한 곳에 옮겨 놓는다.④ 딛고 있는 다리는 다리를 끌어올릴 때부터 충분히 펴 앞축만 딛고 회전을 빨리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또 무릎도 펴서 차는 방향에 추진력을 주어 가속도를 붙게 한다. 찬다리를 끌어들일 때는 먼저와 같이 발목과 무릎을 낮춘다.⑤ 옆차기를 찬 순간 상체가 차는 방향 반대쪽(뒷방향)으로 눕혀져서는 안된다. 상체를 일으켜 Y자 모양이 되어 차는 방향으로 체중을 민다는 마음으로 추진력을 주어야 한다.
※ 옆차기는 뒤축과 발날을 사용하여 공격하며 앞차기와 같이 차는 발의 움직임의 궤도는 출발점부터 목표까지 일직선으로 옮겨져야 된다.
3) 돌려차기
1
2
3
4
① 앞의 축이되는 발에 체중을 실리면서 차는 다리의 무릎을 접어 몸을 돌릴 때 접었던 무릎을 펴면서 발이 수평으로 돌아 앞축으로 상대의 목표를 가격한다(사용부위는 발등으로도 찰 수 있다).② 축이 되는 다리는 무릎을 펴며 발목도 펴서 앞축을 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 되게한다.③ 찬 다리는 정한 목표에서 멈추어야 한다.④ 돌려차기는 앞차기, 옆차기와 같이 발의 궤도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발을 몸 뒤에서 일단 올려 회전 이동을 한다.⑤ 돌려차기를 많이 수련하면 차는 순간 발이 목표보다 약간 위에서 내려찍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 차기 기술의 기본은 앞차기, 옆차기, 돌려차기 등 세가지 기술이 기본이 된다. 다음의 차기 기술은 변화된 차기 기술이다.
4) 뒤차기
1
2
3
① 내가 서있는 위치에서 차는 다리를 끌러 올려 뒤쪽으로 뻗어찬다. 사용부위는 뒤축.② 차기의 끝모양은 옆차기와 흡사하다.③ 차는 다리는 앞에 있던 발로 찰 수 있으며 뒤에 있는 발을 끌어들였다가 찰 수도 있다. 뒤에 있는 발로 찰 경우 상대가 가까이 있을때이며 앞의 발로 착 경우에는 상대가 멀리 있을 때이다.④ 시선은 차는 방향을 바라보며 축이 되는 다리는 옆차기 때와같이 무릎과 발목을 펴지 않아도 된다.⑤ 상체는 옆차기 때보다 앞으로 눕혀진다.
5) 후려차기
① 차기와 같이 목표를 뚫고 들어가듯 가격하고 멈추어 발을 다시 끌어들이는 것이 아니며 차는 발이 목표를 맞추어 지나치는 방법으로 타격하는 것이다.② 주로 차는 방법이 돌려차기, 몸 돌려차기와 같이 원이동을 하는 차기 방법이 쓰인다.③ 사용부위는 발등, 발바닥, 발날등, 발날, 뒤꿈치이다.
6) 내려차기
1
2
3
① 차는 다리를 머리 위까지 끌어올려 무릎을 편 채로 아래로 내려 차는 것을 말한다.② 상대가 별로 가까이 있지 않을 때는 앞차기 때와 같이 몸 가운데로 무릎을 바싹 접어 끌어올렸다가 내려차기를 한다. 이때를 "내려차기"라 한다.③ 상대가 가까워서 상대를 피하여 다리를 끌어 올릴 때 나의 안쪽으로 끌어올려 내려차기 할때는 바깥쪽으로 내려차므로 이 때를 "바깥내려차기"라 한다. 만일 밖으로부터 끌어올려 안으로 내려 찰 때는 "안내려차기"라 한다.④ 사용부위는 뒤꿈치 발바닥을 사용한다.
*차기의 과정
발차기를 잘하려면 인체 골격의 가동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며 힘을 가해야 한다.
발차기에서 발은 디딤발과 차는 발로 나눌 수 있으며, 발차기시 디딤발의 바닥이 지면에 닿아 고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발차기가 어려우며 설령 찬다해도 가격거리가 짧고 힘을 제대로 전달하기가 어렵다.
디딤발을 고정한 채 차는 발차기는 상대의 낭심을 올려차는 앞차기 외에는 없다고 할 수 있다.
1. 중심이동과 체중이용 - 발차기를 할 때는 디딤발의 뒤꿈치를 약간 들어 앞꿈치로 중심을 잡고 안쪽으로 틀어주면서 디딤발쪽의 골반을 넣어주며 중심을 유지하면서 차면 허리의 회전력과 디딤발 쪽의 고관절이 나아가는 힘과 대퇴부의 회전력 그리고 무릎의 스냅을 이용하여 빠르면서도 강한 발차기를 할 수 있다.
야구에서도 손목과 팔꿈치의 스냅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전신을 이용하는 투구는 엄청난 힘의 차이가 있는 것처럼 발차기에서도 온 몸을 효과적인 운동 방향과 운동 강도로 이용하면 더욱 강한 힘을 낼 수 있다.
2. 균형 - 발차기를 할 때는 차는 발쪽의 어깨가 나가며 몸의 균형을 잡으며 얼굴과 상체가 앞뒤로 흔들림 없이 곧게 서서 차야 한다.
물론 겨루기 시에는 상황에 맞추어 다르게 응용이 될 수 있다.
3. 관통 - 발차기 연습 시에는 목표를 정확하고 빠르고 강하게 가격을 하며 목표를 약간 관통해서 차도록 한다.
파괴력을 높일 수 있고 옆으로 피하는 경우에도 가격을 할 수 있다.
4. 몸 돌려차기 - 몸을 뒤로 돌려 차는 발차기에서는 디딤발이 돌아갈 때 상체도 같이 따라 돌게되며 차는 발은 디딤발의 무릎 안쪽을 스쳐지나가며 차는 발쪽의 엉덩이가 다리와 함께 나가며 발을 차게 된다.
회전 앞돌려차기처럼 몸을 앞으로 돌려서 차는 발차기는 디딤발이 돌아갈 때 몸을 똑바로 세운 채로 빠르게 약 200도 정도를 돈 후에 몸을 띄워서 차도록 한다.
몸을 돌기도 전에 뛰어서 차는 것은 동작이 크고 느리며 빠르게 몸을 돈 후에 몸을 띄워서 차는 발차기는 빠르고 정확하게 찰 수 있다.
몸을 뒤로 돌려차는 발차기나 몸을 앞으로 돌려차는 발차기 모두 빠르고 정확한 회전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몸을 세우고 발을 돌면서 상체를 돌리는데 이때 도는 쪽으로 어깨를 빠르게 당겨주며 차게 되면 회전이 빠르며 중심이 틀어져 흔들리지 않고 찰 수 있다.
추천자료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정의,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어려움, 논설문(주장하는 글)의 특징과 ...
스키의 역사와 경기방법및 운동효과
월령별로 영아기 소근육 운동발달 기능을 설명하고 양육자가 발달 단계에 따라 발달을 증진시...
교정복지운동 방법과 과제
사회복지 시설에서 모금운동에 대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각자모금 방법을 제시하시오
일반물리학실험 포물체 운동 - 실험목표, 이론, 장비, 실험방법, 실험결과
사회복지시설에서 모금운동에 대해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각자 모금 방법을 제시
노인교육론 4 - 노인 ROM 운동 프로그램]노인교육프로그램을 선정하여 (1) 현황, 내용, 교육...
요추의 다양한 운동 방법 소개
0 & X 다리의 이해 및 운동運動 방법
측만증側彎症 이해 및 운동 방법 소개
[영아 학습방법] 영아학습 - 습관화, 조건화, 모방을 통한 학습, 놀이학습(감각운동적 놀이, ...
[비만 치료 및 개선방법] 비만 개선을 위한 행동수정요법, 운동요법, 수술 및 약물요법
[고혈압의 치료방법] 고혈압 치료의 식이요법(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생활지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