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실험목적
2)실험이론
2. 실험
1)실험기구(실험기구 사진 포함)
2)시약
3)실험방법(플로우 차트형식)
3.결과 및 계산
4. 결과분석 및 고찰
1)실험목적
2)실험이론
2. 실험
1)실험기구(실험기구 사진 포함)
2)시약
3)실험방법(플로우 차트형식)
3.결과 및 계산
4. 결과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그네슘
3. 계산 및 결과
1) 사용된 화합물
화합물
분자량
사용량(g)
몰수
밀도(g/㎖)
염산(HCl)
36.46
104.7
2.87
1.163
2-methyl-2-propanol
74.12
23.5
0.32
0.783
포화 NaCl 수용액
58.44
36.1
-
-
포화 NaHCO3 수용액
84.01
32.5
-
-
Anhydrous MgSO4
120.36
-
-
-
2) 수율
2-chloro-2-methylpropane
이론 생성량(g)
2-chloro-2-methylpropane
실제 생성량 (g)
수율(%)
29.32
19.8
67.53
- 이론생성량 계산식 :
(2-methyl-2-propanol(30㎖)의 무게)
× (2-chloro-2-methylpropane 분자량)
(2-methyl-2-propanol의 분자량)
≫ (23.5g/74.12)×92.5 = 29.32g
4. 결과분석 및 검토
- 이번 친핵성 치환 반응 실험은 염산(HCl)과 2-methyl-2-propanol, 포화 NaCl 수용액, 포화 NaHCO3 수용액을 차례대로 혼합한뒤 두 개의 층이 분리되면 아래의 층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분리된 유기층에 Anhydrous MgSO4을 첨가하여 2-chloro-2-methylpropane를 얻는 실험이었다. 본 실험은 두 개의 연속단계로 진행되는데 먼저 가장 약한 결합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서 카르보 양이온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친핵체가 양전하를 띤 탄소원자와 결합하여 생성물을 형성하는 SN1 반응이다. 실험의 마지막은 SN1 반응을 통해서 얻는 최종생성물 2-chloro-2-methylpropane의 이론생성량과 실제생성량으로 수율을 구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구해진 수율은 67.53%였다. 실험중 아무런 착오 없이 실험을 수행하였고 예측한 대로 2-chloro-2-methylpropane이라는 최종생성물을 얻었지만 수율을 계산하니 다소 큰 오차를 보였다. 실험중 오차를 무시하지 않고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였으나 다소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두 개의 유기층을 분별깔때기로 분리하는데 소량의 착오가 있었고, 솜이 채워진 깔때기를 통해서 분리하였을 때 솜이 흡수한 량과, 용액의 측정이 부정확했던 것으로 고려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친핵성 치환 반응 실험은 SN1 반응과 SN2 반응의 이론적 내용을 이해하며 반응 메커니즘을 알고자 했던 실험이라 생각된다
3. 계산 및 결과
1) 사용된 화합물
화합물
분자량
사용량(g)
몰수
밀도(g/㎖)
염산(HCl)
36.46
104.7
2.87
1.163
2-methyl-2-propanol
74.12
23.5
0.32
0.783
포화 NaCl 수용액
58.44
36.1
-
-
포화 NaHCO3 수용액
84.01
32.5
-
-
Anhydrous MgSO4
120.36
-
-
-
2) 수율
2-chloro-2-methylpropane
이론 생성량(g)
2-chloro-2-methylpropane
실제 생성량 (g)
수율(%)
29.32
19.8
67.53
- 이론생성량 계산식 :
(2-methyl-2-propanol(30㎖)의 무게)
× (2-chloro-2-methylpropane 분자량)
(2-methyl-2-propanol의 분자량)
≫ (23.5g/74.12)×92.5 = 29.32g
4. 결과분석 및 검토
- 이번 친핵성 치환 반응 실험은 염산(HCl)과 2-methyl-2-propanol, 포화 NaCl 수용액, 포화 NaHCO3 수용액을 차례대로 혼합한뒤 두 개의 층이 분리되면 아래의 층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분리된 유기층에 Anhydrous MgSO4을 첨가하여 2-chloro-2-methylpropane를 얻는 실험이었다. 본 실험은 두 개의 연속단계로 진행되는데 먼저 가장 약한 결합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서 카르보 양이온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친핵체가 양전하를 띤 탄소원자와 결합하여 생성물을 형성하는 SN1 반응이다. 실험의 마지막은 SN1 반응을 통해서 얻는 최종생성물 2-chloro-2-methylpropane의 이론생성량과 실제생성량으로 수율을 구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구해진 수율은 67.53%였다. 실험중 아무런 착오 없이 실험을 수행하였고 예측한 대로 2-chloro-2-methylpropane이라는 최종생성물을 얻었지만 수율을 계산하니 다소 큰 오차를 보였다. 실험중 오차를 무시하지 않고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였으나 다소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두 개의 유기층을 분별깔때기로 분리하는데 소량의 착오가 있었고, 솜이 채워진 깔때기를 통해서 분리하였을 때 솜이 흡수한 량과, 용액의 측정이 부정확했던 것으로 고려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친핵성 치환 반응 실험은 SN1 반응과 SN2 반응의 이론적 내용을 이해하며 반응 메커니즘을 알고자 했던 실험이라 생각된다
추천자료
Methyl Orange
행동주의
인지주의와 행동주의 비교
세포융합기술이란
술폰화 실험 결과 고찰
행동주의 이론
[삼성전자 반도체][기술면접]웨이퍼에 구리를 채워 넣는 공정에 대한 문제
OLED & PLED
[효소]효소의 기질, 효소의 활성화 요인, 효소의 억제물질, 효소의 대규모생산, 효소의 고정...
교보문고 유기화학 12판 솔루션, 김성식 외, ch1-11, ch14 ( Organic chemistry )
인간의 행동과정
★ 정밀화학제조실험 - 아스피린의 제조 예비레포트 (최종)
★ 정밀화학제조실험 - 아스피린의 합성 ( 예비, 결과 보고서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