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의 경기규칙 코트와 용어 기본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의 경기규칙 코트와 용어 기본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배드민턴의 역사

Ⅱ. 경기 규칙

Ⅲ. 반 칙

Ⅳ. 코트와 용구

Ⅴ. 기본 기술

본문내용

브(short serve)
복식 경기에 주요한 서브로 셔틀이 네트 위를 간신히 넘어 상대방의 숏 서비스라인 근처에 낙하하게 되는 서브이다.
숏 서브는 롱하이 서브나 드리븐 서브보다 섬세하고 코스의 선택을 잘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서브이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 은 웨스턴 오버가 되지 않도록 하여 상대방에게 역습 당하지 않도록 신중한 마음가짐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서버 해야 한다.
2. 스토로크 (Stroke)
스트로크란 셔틀을 라켓으로 치는 타구 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날아오는 셔틀의 종류와 자기가 치고자 하는 종류의 방향에 따라 그 타구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스트로크할 때는 스윙(swing)을 하게 되는데 선수가 하는 스윙은 매번의 스트로크마다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스윙을 할 때는 몸 전체를 사용하여야 한다. 급박한 순간에 필요하면 손목의 동작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배드민턴은 셔틀이 가볍기 때문에 정확한 스트로크의 동작이 아니더라도 손목만을 이용하여 리더 할 수 있다. 그러나 손목의 이용은 기술의 정도가 상당한 수준에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기능의 발달과정에서 손목을 사용하면 정확한 폼을 익힐 수 없고 또한 좋지 못한 습관으로 남을 수 있다. 초보자나 중급 자는 자연스런 스윙에 의하여 타구 연습을 하고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을 때 임기응변으로만 사용하도록 한다.
스윙에 의한 분류
1) 오버 헤드 스트로크
배드민턴 경기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적이 스윙으로 머리 위 또는 우측머리위로 떠오르는 셔틀을 타구하는 방법이다.
클리어, 스매시, 드롭샷과 같은 기술은 오버헤드 스트로크로 처리해야 하므로 시간이 걸리더라도 셔틀을 치기 전 라켓 스윙 연습을 해야 한다.
라켓을 잡은 반대편으로 랠리 된 셔틀을 타구하는 것을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라 한다.
2) 사이드 핸드 스트로크
셔틀을 몸의 좌우 측에서 그리고 어깨와 무릎 중간의 높이에서 타구하는 방법이다.
3) 언더 핸드 스트로크
셔틀을 무릎 아래의 낮은 위치에서 위로 올리어 타구하는 방법이다.
4) 라운드 헤드 스트로크
오버 헤드 스트로크의 변형으로서 몸의 좌측에서 머리의 높이 정도로 날아오는 셔틀을 본래는 백핸드로 쳐야 하지만 그것을 포핸드로서 타구하는 배드민턴 특유의 스트로크 방법이다.
플라이트(flight)에 의한 분류
1) 클리어 (clear)
셔틀이 상대방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 높게 그리고 멀리 포물선을 그리고 날아가 수직으로 낙하는 것을 말하며 높고 깊숙이 쳐서 거의 상대방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에 수직으로 낙하하게 하는 하이클리어와 상대방의 라켓이 미치지 못할 정도의 높이로 해서 빠른 속도로 코트의 깊숙이 쳐 넘기는 드리븐 클리어가 있다.
이 타법은 셔틀을 잡아 치는 터치밍이 매우 중요하다. 전정이 8m이상 높고 지름의 거리가 13.4m 대각선으로는 싱 글 경기에서 14.366m 더블 경기에서 14.72m이므로 코너로 높고 길게 비행시키기 위해서 는 리드미컬한 스윙 손목과 어깨의 파워가 요구되는 플라이트다.
2) 스매시 (smash)
높이 떠오는 셔틀을 스피드와 강한 힘으로 화살과 같이 상대방의 코트에 예각으로 쳐 넣는 타구이다. 배구에서의 스파이크와 마찬가지이다.
스매시는 배드민턴의 기술 중 제일 매력 있는 타구이다. 항상 급각도로 낙하시켜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리고 랠리의 결판구가 되는 것이다. 스매시를 실행할 때 주의 할 점은 자기 능력으로 칠 수 있는 최고의 타점에서 네트 가까이에 거의 직각으로 떨어지도록 타구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대방이 홈 포지션을 이탈하여 후드웍에 이상이 있을 때 재빠른 속도로 타구해야 한다.
항상 타구하는 각도와 방향을 잘 잡아서 구사해야 한다.
3) 드롭 샷 (drop short)
백 바운더리 가까이에 랠리 된 셔틀을 네트 상단을 겨우 넘겨 곧 바로 상대방 네트 너머로 떨어지게 하는 플라이트이다. 드롭 tit은 타점은 위치와 낮은 위치에서 타구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능한 한 높은 위치에서 드롭 해야 한다.
드롭 샷은 성질상 3가지의 타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셔틀이 라켓 면에 닿는 순간 힘을 주어 스피드 있게 낙하시키는 타구와 두 번째로 순간적으로 힘을 빼어 속도를 줄이고 네트 가까이에 힘없이 떨어지게 하는 방법. 세 번째는 대각선산으로 셔틀과 라켓 면이 닿는 순간 라켓을 사각으로 비틀어서 깍아치는 타법이다.
드롭샷은 상대가 홈포지션 뒤쪽에 있을 때 사용해야 하며 절묘하지 않으면 역습 당할 수 있으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4) 드라이브 (drive)
셔틀이 네트 상단을 거의 스칠 정도로 강타하여 코트의 방향과 평행으로 비행하게 하는 플라이트다. 상대편 코트에 들어가서는 네트의 높이보다 낮게 날게 하는 거의 효과적이다.
드라이브는 스매시나 푸시와 같이 상대를 기습하기 위한 공격적 타법이므로 어깨 위에서 스피드 있게 상대방의 몸을 향해 타구한다든지 그것이 여의치 않은 때는 상대방 코트 깊숙이 타구해야 한다. 복식 게임에 있어서 상대방의 콤비네이션을 깨 는 데 효과적인 무기가 된다.
5) 푸 시 (push)
네트 상단으로 넘어오는 셔틀을 빠르고 강하게 상대방 코트에 밀 듯이 쳐 넣는 플라이트이다.
상대방의 헤어핀이 높게 떠온다던 지, 상대의 드롭 tit이 네트위로 높게 비행할 때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전진하면서 처리해야 하므로 라켓 스윙을 하지 않고 손목을 이용하거나 스윙을 네트를 따라 빗겨함으로써 라켓이 네트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발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6) 헤어핀 (hair pin)
네트 바로 밑으로 낙하하는 셔틀을 다시 네트 상단을 살짝 넘겨 상대방의 코트로 넘기는 플라이트로 네트를 직각으로 넘기는 헤어핀 숏과 대각선산의 사이드라 인근처에 떨어뜨리는 크로스 코트 숏이 있다.
배드민턴은 힘만 있다고 기술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고 헤어핀과 같이 섬세한 기술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으므로 수련하고 터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 헤어핀을 익숙하게 잘하는 선수는 게임을 이끌어 가는데 주도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클리어의 기술과 함께 매우 중요한 기술이므로 소홀히 생각해서는 안 된다.
  • 가격무료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7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