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학문 교육 종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어(학문 교육 종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학 문
1. 학문의 의의
2. 학문하는 방법
3. 학문하는 태도
4. 학문과 취직

제 2 장 敎 育
1. 올바른 스승상
2. 개성 교육
3. 인간 개발
4. 비평정신(인물평)

제 3 장 宗 敎(종교)
1. 실천인의 신앙
2. 사 명 감
3. 현실과 신앙

■ 讀後感

본문내용

본다. 공자의 교육은 그 당시 정치인을 많이 키워냈다. 그 교육을 살펴보면 그는 단지 학문만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덕과 믿음을 가르쳤다. 어떻게 보면 단순히 지식 전달이 아닌 전인 교육을 했다고 보아야 할 것인데 오늘날에도 이러한 교육들이 행해지는 것을 보면서 과거에 이미 이러한 교육들을 실천한 공자의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보게 한다. 시대가 바뀌어도 그 원리는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새삼 느낀다. 제 3 장 宗敎에서 내가 가장 크게 느낀 점은 공자가 정확하게 종교에 대하여 언급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스스로 이야기하기보다 제자들이 물었을 때에야 비로소 대답한 모습에서 공자가 종교에 대하여 말하길 즐겨하지 않았음은 쉽게 눈치 챌 수 있었다.
그 중 사명에 나온 글 중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에 학문에 대한 식견이 확립되었다. 40세에 事理에 밝아 사물에 미혹되지 않게 되었고 50세에 하늘이 자신에게 준 것을 깨닫고 거기에 안주할 수 있었다. 60세에는 무엇을 듣든지 모두 이해가 되어 세속의 칭찬이나 비난에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으며 70세에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도덕규범에 맞아 도리를 어기는 일이 없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글이다. 그의 말을 들으면 내 삶을 반추하게 된다. 또한 나의 앞날에 대하여 다시금 다짐하게 된다. 위대한 성인 공자처럼 아니더라도 부지런히 학문과 소양을 갈고 닦는다면 어느새 성숙한 내 모습을
발견하게 되지 않을까? 유아교육과를 다니며 또한 지금은 유치원 교사로 있는 나로서 공자는『논어』를 통해 나에게 스승이 되어 가르쳐준다. 참다운 스승이 무엇인가를 또한 학문을 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하여. 溫故知新이라 함은 옛 것을 배워 새로운 의미를 발견한다는 것인데 논어는 오늘날을 사는 나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는가? 4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는 나에게 부단히 학문하기를 가르친다. 또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자세에 있어 모든 아이들에게 가능성이 있음을 또한 아이마다의 개성을 따라 가르치기를 말해주고 있다. 말 뿐인 아닌 삶을 통해 가르치고 배우기를 나에게 끊임없이 말한다. 공자는 30세에 학문에 대한 식견이 확립되었다는데 앞으로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이 길고 긴 학문의 여정의 윤곽을 잡을 수 있을까?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부족한 나라는 사실을 옛 성현은 가르쳐주고 있다. 겸손한 마음으로 새로운 한걸음을 내딛기를.

키워드

학문,   교육,   종교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