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주의 종말론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현되지 않는 예언으로 만들어 버렸다. 문자적인 해석 원칙이 이러한 문제를 야기한 것이다. 그리고 교회의 휴거를 실제적인 공중에로의 들림으로 해석함으로 많은 이단적인 종말론의 효시가 되고 말았다.
세대주의는 묵시문학의 이미지와 시적인 이미지와 신화적인 이미지를 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려는 오류를 낳았으며, 성경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갖고 있지 못하였다. 묵시문학을 통해 성경은 구체적 종말의 때와 과정을 예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역사 가운데의 개입하심과 성도를 신원하심과, 그의 왕국의 궁극적인 세워짐에 대해 증거하고 계심으로 성도들의 승리를 확신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에서 고난 받는 백성에게 강한 상징으로 위로하시는 것이다.
개혁주의는 역사적 전천년설을 택하건, 무천년설을 택하건, 신약에 대한 구약의 예표적 의미를 살리며, 장르에 따른 적절한 성경해석을 통해 바른 종말관을 제시하고 있다. 종말론을 지나치게 역사에 짜맞추는 것은 문제가 있다. 에릭슨도 종말론이 전적으로 미래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Ibid., p. 43
종말론은 현재를 살아가는 성도들에게 승리에 대한 약속으로도 또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예수님도 마가복음 13장을 통하여서 종말을 가르치시면서 깨어 있으라는 권면으로 말씀을 시작하고 마치고 계신다. 우리는 종말의 시간표와 과정을 제시하는 것으로 종말론을 이끌어 아가면 안될 것이다. 오히려 종말의 필연성을 가르치면서 위로를 받고, 종말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결론
결국 세대주의는 자의적인 해석 원칙에 따라 성경을 해석함으로써 많은 문제를 낳았고, 한국 교회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우리는 개혁주의적인 입장에서 새 시대에 얻게 될 교회의 승리를 바라보며, 역사의 종말을 기대하는 바른 종말론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휴거나 시한부 종말론과 같은 혼란한 종말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말론의 현재적 의미에도 관심을 기울이면서 신구약의 통일성을 가진 성경해석의 원칙에 따라 종말에 대한 신학을 정립해야 한다.
종말론은 논쟁의 주제여서는 안된다. 전천년설과 무천년설이 서로 논쟁하기보다는 같은 해석적 원칙을 가지고 서로 보상하며, 존중하면서, 혼탁한 세대주의적 종말론과 이단적 종말론에 대한 방어를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모두 혼탁한 시대를 살고 있으며 말세를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요즘 기독교 인들은 현세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종말론의 참 의미를 잊고 살고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광적으로 이단적 종말론에 빠지고 있다. 우리는 예수님의 말씀에 집중하여, 분명히 우리에게 다가올 승리의 종말을 기대하면서, 깨어 섬기며, 소망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서적
1. 밀라드 에릭슨, 종말론. (서울:1994, 기독교문서선교회)
2. 김정우, 구약해석학논문집 1, (서울:1990, 총신대학출판부)
3. 김길성, 개혁주의 종말론 강의안
4.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하, (서울:1991,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13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