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1. 문제제기
2. 문제의 기술
Ⅲ. 문제의 현황과 문제점
1. 통신언어의 유형
2. 통신언어의 사례
3. 통신언어의 문제점
4. 문제의 대책
5. 대책의 문제점
Ⅳ. 해결방안
1. 교육적 방법
2. 통신망 안에서의 방법
Ⅴ. 나오며
1. 문제제기
2. 문제의 기술
Ⅲ. 문제의 현황과 문제점
1. 통신언어의 유형
2. 통신언어의 사례
3. 통신언어의 문제점
4. 문제의 대책
5. 대책의 문제점
Ⅳ. 해결방안
1. 교육적 방법
2. 통신망 안에서의 방법
Ⅴ. 나오며
본문내용
달하는 사이버공간 특유의 언어이다. 컴퓨터 키보드 자판으로 문자기호를 조합하여 간단히 만든 이모티콘을 사용하면 사람의 얼굴표정이나 모습 등은 물론 인종인물직업동물 등을 재치 있게 표현할 수 있다. 인터넷과 PC통신이 확산되면서 사이버시대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그 종류가 2천여가지에 이른다. 대표적인 이모티콘의 예는 다음과 같다.
0.0 놀란 눈 =.= 졸린 눈 T.T 우는 모습 ㅠ.ㅠ 리얼하게 우는 것 >.< 찡그리기
*^.^* 얼굴이 빨개지면서 부끄러워하는 모습 ^O^ 즐거움 ^^ 미소 --+ 노려봄
--; 황당, 난처함 ㅡ.ㅡzzZZ 쿨쿨... $.$ 돈에 정신 팔림 @.@ 놀라움
(^-^) 기분이 좋거나 행복하다. (^.^) 기분이 좋다. (-_-) 심심해
(-.-) 어딘가 얼빠진 표정 (--;;) 내가 생각해도 한심할 때 (*.*) 감격했을 때
(?.?) 모르겠다, 이해안감 (_-_) 뒤집어 누운 모습 (x.x) 너무 아플 때
이런 얼굴 표정 외에도 재미를 위해 \'~(%:> <:%)~(뽀뽀하는 생쥐), [^^](김진수) =:∧B(서세원), d*.*b(엄정화), >^)333<(붕어빵), (*)))))))(김밥), -(:)(ㅁ)=(텔레토비), ~~m^.^m~~(슈퍼맨)\' 등이 있다.
컴퓨터 통신에서 이렇게 글씨가 아닌 그림으로 나타내는 이유는 글로 쓰는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하게 자신의 뜻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라고 하는 것은 겉으로 드러난 뜻도 중요하지만 그 이면에 있는 뜻이 더 중요할 경우도 많다. 직접 얼굴을 마주 대하고 하는 대화는 얼굴 표정이나 분위기 또는 어조나 강세 등에 의하여 이면의 뜻을 알게 되고 그로 인해 서로 오해하는 일이 적다. 그러나 컴퓨터 통신에서는 사람을 보지 않고 글로만 상대방을 접하므로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전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이나 표정 역시 알 수 없다. 이모티콘은 이러한 미묘한 감정이나 상태 등을 솔직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이런 그림을 사용하면 화면의 단조로움을 피할 수도 있다.
⑥ 외국어를 한글화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인사말인 영어의 ‘Hi\' 와 헤어질 때 인사말인 \'Bye\' 이며 이를 다음과 같이 심하게 왜곡하여 변형한다.
Hi -> 하이, 하이여, 하이루, 하여
Bye -> 빠이빠이, 빠이루, 빠빠루, 빠빠시, 빠빠, ㅃㄴㅃㄴ
O.K -> 오케, 오키, ㅇㅋ, 오케바리, ㅇㅋㅂㄹ, 어케바리
그리고 그 외로,독일어가 어원인 ‘Arbeit(아르바이트)\'는 ’알바‘로 쓰이며, 그 쓰임새가 오프라인 까지 확장된 대표적인 경우다.
② 각 연령대 별로의 특성
10대 - 컴퓨터 통신상에서 변형된 단어나 문장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한글이라고 하기엔 기성세대가 보기엔 그 의미를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한글의 왜곡이 가장 심하며 온라인상에서의 언어와 오프라인에서의 언어를 따로 구분하지 않으면서 사용하는 경향이 상당히 강하다. 특히 채팅상에서의 이름인 별명이 단순 명료한 명사의 사용 이 많다.( 특히 기존의 단어중에 한음절만 따와서 신조어를 만들어 자신들 또래의 은어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0대 - 10대 보다는 덜하나, pc를 어릴때부터 접한 pc세대로서 왜곡은 심한 편이며,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오프라인의 언어가 10대 보다는 덜하지만 상당히 심한편이 다. 별명에 외국어나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는 함축어를 많이 사용,
30대 - 한글의 왜곡이 예상 외로 가장 덜한편이지만, 간단한 왜곡 (-여, 인사말, 헤어짐인 사, 간단한 어미의 축약) 정도는 일어남,
2. 통신언어의 사례
㉯㉯납!! 因九月패
0.0 놀란 눈 =.= 졸린 눈 T.T 우는 모습 ㅠ.ㅠ 리얼하게 우는 것 >.< 찡그리기
*^.^* 얼굴이 빨개지면서 부끄러워하는 모습 ^O^ 즐거움 ^^ 미소 --+ 노려봄
--; 황당, 난처함 ㅡ.ㅡzzZZ 쿨쿨... $.$ 돈에 정신 팔림 @.@ 놀라움
(^-^) 기분이 좋거나 행복하다. (^.^) 기분이 좋다. (-_-) 심심해
(-.-) 어딘가 얼빠진 표정 (--;;) 내가 생각해도 한심할 때 (*.*) 감격했을 때
(?.?) 모르겠다, 이해안감 (_-_) 뒤집어 누운 모습 (x.x) 너무 아플 때
이런 얼굴 표정 외에도 재미를 위해 \'~(%:> <:%)~(뽀뽀하는 생쥐), [^^](김진수) =:∧B(서세원), d*.*b(엄정화), >^)333<(붕어빵), (*)))))))(김밥), -(:)(ㅁ)=(텔레토비), ~~m^.^m~~(슈퍼맨)\' 등이 있다.
컴퓨터 통신에서 이렇게 글씨가 아닌 그림으로 나타내는 이유는 글로 쓰는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하게 자신의 뜻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라고 하는 것은 겉으로 드러난 뜻도 중요하지만 그 이면에 있는 뜻이 더 중요할 경우도 많다. 직접 얼굴을 마주 대하고 하는 대화는 얼굴 표정이나 분위기 또는 어조나 강세 등에 의하여 이면의 뜻을 알게 되고 그로 인해 서로 오해하는 일이 적다. 그러나 컴퓨터 통신에서는 사람을 보지 않고 글로만 상대방을 접하므로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전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감정이나 표정 역시 알 수 없다. 이모티콘은 이러한 미묘한 감정이나 상태 등을 솔직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이런 그림을 사용하면 화면의 단조로움을 피할 수도 있다.
⑥ 외국어를 한글화 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인사말인 영어의 ‘Hi\' 와 헤어질 때 인사말인 \'Bye\' 이며 이를 다음과 같이 심하게 왜곡하여 변형한다.
Hi -> 하이, 하이여, 하이루, 하여
Bye -> 빠이빠이, 빠이루, 빠빠루, 빠빠시, 빠빠, ㅃㄴㅃㄴ
O.K -> 오케, 오키, ㅇㅋ, 오케바리, ㅇㅋㅂㄹ, 어케바리
그리고 그 외로,독일어가 어원인 ‘Arbeit(아르바이트)\'는 ’알바‘로 쓰이며, 그 쓰임새가 오프라인 까지 확장된 대표적인 경우다.
② 각 연령대 별로의 특성
10대 - 컴퓨터 통신상에서 변형된 단어나 문장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한글이라고 하기엔 기성세대가 보기엔 그 의미를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한글의 왜곡이 가장 심하며 온라인상에서의 언어와 오프라인에서의 언어를 따로 구분하지 않으면서 사용하는 경향이 상당히 강하다. 특히 채팅상에서의 이름인 별명이 단순 명료한 명사의 사용 이 많다.( 특히 기존의 단어중에 한음절만 따와서 신조어를 만들어 자신들 또래의 은어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0대 - 10대 보다는 덜하나, pc를 어릴때부터 접한 pc세대로서 왜곡은 심한 편이며,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오프라인의 언어가 10대 보다는 덜하지만 상당히 심한편이 다. 별명에 외국어나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는 함축어를 많이 사용,
30대 - 한글의 왜곡이 예상 외로 가장 덜한편이지만, 간단한 왜곡 (-여, 인사말, 헤어짐인 사, 간단한 어미의 축약) 정도는 일어남,
2. 통신언어의 사례
㉯㉯납!! 因九月패
추천자료
도덕교육에 대하여
통신어 '즐'에 대하여
도덕교육
인터넷을 통해 대중이 갖게된 힘과 그로인한 문제점 및 발전방향
(교과교육론)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대하여
귀여니의 '늑대의 유혹' - Abrams의 네가지 문학관에 따른 비평
정보화사회의 역기능과 해결방안
청소년 문화와 휴대전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실태와 해결 방안 레포트
2010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현행 한글맞춤법의 원리)
휴대전화 중독. 무엇이 문제인가?
대학생 국어 맞춤법 실태
이공계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태 및 글쓰기 강좌 개설 추진
인터넷을 통해 대중이 갖게 된 힘과 그로 인한 문제점, 발전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