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어법의 시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어법의 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어법

●시제

1. 시제의 갈래

본문내용

보고의 기능은 문장 진술 방식의 일종으로 화자의 태도 곧 양태의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③미래 시제
<앞의 (8)~(10) 문장 참고> 위의 문장에서는 말하는 시간보다 사건이 일어난 시간이 나중입니다. 이처럼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뒤에 오는 시간임을 나타내는 시제를 미래 시제라고 합니다.
위의 문장에서 미래 시제는 선어말 어미'-겠-'으로 실현되었는데, 관형사형 어미와 의존 명사가 결합된 형태인 '- 것이-'와 어미 '-는-'이나 '-리'에 의해서도 미래 시제가 실현될 수 있습니다. '내일,다음에' 등의 말이 사용되면 미래 시제의 뜻이 더욱 분명해집니다.
'-겠-'은 단순히 시간의 뜻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9)와 (10)에서 보듯이 추측, 안내, 가능, 의지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 때, '-겠-'은 미래와만 관련되지 않습니다.
④동작상의 표현
<앞의 (11),(12)문장 참고>
(11)은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고, (12)는 완료된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문법 기능을 동작상이라 합니다. 동작상은 '-어', '-고' 등의 연결 어미와 '있-' 같은 보조 용언의 결합으로 실현됩니다. 동작상의 의미는 시제와 차이가 있습니다.
동작상의 의미는 시제와 차이가 있습니다. 시제는 기준시에 대한 사건시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이고, 동작상은 기준시는 무관한 동작 자체의 실현 양상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입니다.
국어에서 동작상은 이상의 방법 이외에 '-게 되다(예정), -곤 하다(습관), -어 가다(진행)' 등에 의해서도 실현됩니다.
⑤관형절의 시제
<앞의 (13) 문장 참고>
위에서-는은, 토끼가 도망친 시점이, 여우가 토끼를 쫓은 시점과 일치함을 나타냅니다. 시간 표현은 용언의 관형사형에서도 일정한 형태로 실현됩니다. 관형사형의 시제에서는 발화시도 기준 시점이 되고, 안은 문장의 사건시도 기준 시점이 됩니다.
*현재 시제: 동사에는 '-는'이,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는 '-'이 쓰입니다.
*과거 시제: 동사에는 '-'이,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는 '-던'이 쓰입니다.
*미래 시제: '-'이 쓰입니다.
-관형절에서 현재,과거,미래라 함은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말입니다. 발화시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는 다른 의미가 파악될 수 있습니다. 관형절의 시제에서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시간을 절대 시제라 하고, 안은 문장의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시제를 상대 시제라고 합니다.

키워드

  • 가격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