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 1(김만중의 소설 九雲夢)
1) 김만중의 생애
2) 구운몽의 구성
3) 구운몽의 주제
4) 구운몽의 가치
Ⅱ. 본론 - 2 (김만중의 詩 世界)
1) 김만중과 여성화자의 시
2) 김만중의 自然詩
Ⅲ. 결론
Ⅰ. 서론
Ⅱ. 본론 - 1(김만중의 소설 九雲夢)
1) 김만중의 생애
2) 구운몽의 구성
3) 구운몽의 주제
4) 구운몽의 가치
Ⅱ. 본론 - 2 (김만중의 詩 世界)
1) 김만중과 여성화자의 시
2) 김만중의 自然詩
Ⅲ. 결론
본문내용
할 수 없다. 丁奎福, 『金萬重文學硏究』, 國學資料院, 1993, 112쪽 참조.
<구운몽>의 구성은 꿈 이전의 세계, 꿈의 세계, 그리고 꿈 이후의 세계로 나누어진다. 꿈 이전의 세계에서는 성진이 여덟 선녀들을 만난 후 그들을 그리워하고 세속세계의 부귀를 흠모하는 갈등을 일으킨다. 꿈의 세계에서는 양소유가 여덟 여인들을 만나서 결혼하고 부귀와 영화를 획득한다. 꿈 이후의 세계에서는 성진이 다시 여덟 선녀들을 만나서 그들과의 조화로운 삶을 이룬다.
꿈 이전의 세계와 꿈 이후 세계에서 성진의 삶은 불교 사상에 근거를 두었다. 꿈 세계에서 양소유의 삶은 유학 사상에 근거를 두었다. 이 작품의 구조에서 성진이 꿈 세계에서 양소유로 보낸 부귀와 공명을 일장춘몽이라고 하여 다시 성진으로 회귀한다. 이러한 구조는 성진의 세계가 실상이며, 양소유의 세계가 가상임을 드러내며, 아울러 <구운몽>이 성진의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인 불교 사상으로 형성된 작품임을 알게 한다.
한편 <구운몽>에서는 남녀의 만남이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어진다. 꿈의 세계에서 양소유는 공주에서부터 기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의 여인들과 결연하고 한 가족을 구성한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가족 구성은 사상이 정치와 중첩된 정치집단 사이의 대립 세계를 경험하면서 조화의 세계를 지향했던 김만중의 사상이 나타난다.
다음 양소유가 공주와 결혼하는 과정에 혼례와 군신의 관계 때문에 대립이 전개된다. 예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는 왕조례(王朝禮)와 사서례(士庶禮)의 대립항이, 군신 관계에 있어서는 왕권 강화와 신권강화의 대립항이 각각 설정된다. 이 대립에서 사서례가 왕조례를 부정하고, 신권 강화가 왕권 강화를 부정한다. 사서례와 신권 강화는 기호 학자들을 중심한 서인 집단 정치집단의 예론이며 정치이념이었다. 이러한 작품 구성은 김만중 자신이 소속했던 서인 정치집단의 사상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만중은 <구운몽>에서 서인 정치집단의 사상을 지지하지만은 않았다. 사서례가 적용되고 신권이 강화된 양소유의 세계를 초월하여 성진의 세계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지향이 표면적으로는 부귀 공명자체에 대한 초월사상을 나타내지만, 심층적으로는 계층 사이의 갈등과 대립이 연속되던 당시의 사상적, 정치적 현실에 대한 회의와 초월사상을 나타낸다. 김병권,『한국의 문학사상』, 세종출판사, 1998, 228쪽 참조.
그는 표면적으로 매우 보수적인 인물이었음에 틀림없다. 자신이 속한 정파의 이념을 옹호하고 이를 현실에 관철시키고자 분투하는 김만중의 태도는 경직된 보수 정객의 모습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일한 공인(公人)으로서의 삶 이면에 현실을 보다 객관적으로 투시하면서 진리를 향해 열려 있는 지식인 김만중의 모습이 자리 잡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보수적 정론을 뛰어넘어 주자를 회의하고 불교를 긍정하며, 문학의 민중성과 소설의 효용성을 옹호하는 의식이 바로 그것이다. 현상적으로 <구운몽>은 이처육첩(二妻六妾)을 거느리고 부귀공명을 이룬 이상적인 유교적 남성상을 그려냄으로써 유가적 이상을 드러낸 작품으로 파악하기 쉽다. 그렇지만 <구운몽>은 성진의 삶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추월을 통해 양소유의 이념에 대한 현실의 동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김만중에 의해 소설이 중세를 비판하는 장르로 문학사에 본격적으로 부상하게 되었다면, 소설은 김만중에게 그의 비판적 의식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을 마련해 주었던 것이다. 김만중의 소설 창자ㄱ, 그것은 바로 보수적 사대부의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김만중의 승리이면서 동시에 소설의 승리였던 것이다. 김현양,『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2003, 387~388쪽 참조.
3) 구운몽의 주제
<구운몽>의 주제에 대한 논의는 하게에서 일찍부터 있어왔다. 그런데 초미의 관심이 되었던 것은<구운몽>이 <金剛經>의 空사상을 구현한 것이라는 설 정규복,『구운몽연구』, 고려대출판부, 1974, 231~247.
과 <구운몽>에는 <금강경>의 공사상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하였다는 설 김일렬,「구운몽 신고」,『한국고전산문연구』,동화출판사, 1981.
의 대립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는 <구운몽>의 결미에서 제시되는 ‘육관대사에 의한 세 번째의 부정’의 단계를 看過하고, <구운몽>의 주제를 다만 ‘성진에 의한 두 번째의 부정’의 단계로서 이해한 바탕위에 이루어진 것이다. 丁奎福 교수는 <구운몽>의 주제가 <금강경>의 공사상을 구현한 것이라는 所論을 펴면서, ‘迷 - 幻 - 覺’의 과정을 통해 “인간의 모든 부귀영화가 一場의 幻夢임을 깨닫게”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나, (정규복,『구운몽연구』, 231 ~ 247.)이후 별도의 소론을 통해 이 견해를 수정 보완한다. (정규복,「구운몽의 空觀 시비」, 『水余 成상說박사 환갑기념논총』, 1989.)
이후 ‘육관대사에 의한 세 번째의 부정’의 단계에 주목한 성과가 거듭 나타나면서 정규복, 「구운몽의 空觀 시비」, 위의 책.
安昌壽, 「구운몽 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1990.
柳炳環, 「고전소설 구운몽 연구 - 불교사상의 에 대하여 -」, 동국대박사학위논문, 1990
김태환, 「소설 몽환구조 연구」,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구운몽>의 주제에 대한 논의는 한결 진전된 느낌이 든다. 다만 <구운몽>의 주제와 그 수용사에 대한 설명에 다소의 부족함이 있지 않은가 생각되어, 기존에 이루어진 소중한 성과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면서, 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唐代에 衡山의 연화봉에서 佛法을 가르친 육관대사의 제자인 성진이 스승의 명에 의해 남해 水府로 가 龍王을 뵙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八仙女와 만나게 되는데 神房에 돌아 온 성진은 팔선녀로부터 느끼게 된 情念이 실마리가 되어 俗世의 富貴功名에 대한 迷惑의 번뇌에 빠진다. 성진의 이 번민은 장차 양소유의 일대기를 통해 체험케 되는 속세의 부귀공명의 내용을 그대로 압축해 주고 있다. 그런데 성진은 俗世의 富貴功名에 대한 願望과 佛家의 寂寞枯淡에 대한 회의 “…우리 부텨의 법문은 바리 밥과 병 물과 두어 권경문과 일여 낫염쥬분이라. 도덕이 비록 놉고 아다오나
<구운몽>의 구성은 꿈 이전의 세계, 꿈의 세계, 그리고 꿈 이후의 세계로 나누어진다. 꿈 이전의 세계에서는 성진이 여덟 선녀들을 만난 후 그들을 그리워하고 세속세계의 부귀를 흠모하는 갈등을 일으킨다. 꿈의 세계에서는 양소유가 여덟 여인들을 만나서 결혼하고 부귀와 영화를 획득한다. 꿈 이후의 세계에서는 성진이 다시 여덟 선녀들을 만나서 그들과의 조화로운 삶을 이룬다.
꿈 이전의 세계와 꿈 이후 세계에서 성진의 삶은 불교 사상에 근거를 두었다. 꿈 세계에서 양소유의 삶은 유학 사상에 근거를 두었다. 이 작품의 구조에서 성진이 꿈 세계에서 양소유로 보낸 부귀와 공명을 일장춘몽이라고 하여 다시 성진으로 회귀한다. 이러한 구조는 성진의 세계가 실상이며, 양소유의 세계가 가상임을 드러내며, 아울러 <구운몽>이 성진의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인 불교 사상으로 형성된 작품임을 알게 한다.
한편 <구운몽>에서는 남녀의 만남이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어진다. 꿈의 세계에서 양소유는 공주에서부터 기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의 여인들과 결연하고 한 가족을 구성한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가족 구성은 사상이 정치와 중첩된 정치집단 사이의 대립 세계를 경험하면서 조화의 세계를 지향했던 김만중의 사상이 나타난다.
다음 양소유가 공주와 결혼하는 과정에 혼례와 군신의 관계 때문에 대립이 전개된다. 예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는 왕조례(王朝禮)와 사서례(士庶禮)의 대립항이, 군신 관계에 있어서는 왕권 강화와 신권강화의 대립항이 각각 설정된다. 이 대립에서 사서례가 왕조례를 부정하고, 신권 강화가 왕권 강화를 부정한다. 사서례와 신권 강화는 기호 학자들을 중심한 서인 집단 정치집단의 예론이며 정치이념이었다. 이러한 작품 구성은 김만중 자신이 소속했던 서인 정치집단의 사상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만중은 <구운몽>에서 서인 정치집단의 사상을 지지하지만은 않았다. 사서례가 적용되고 신권이 강화된 양소유의 세계를 초월하여 성진의 세계를 지향하였다. 이러한 지향이 표면적으로는 부귀 공명자체에 대한 초월사상을 나타내지만, 심층적으로는 계층 사이의 갈등과 대립이 연속되던 당시의 사상적, 정치적 현실에 대한 회의와 초월사상을 나타낸다. 김병권,『한국의 문학사상』, 세종출판사, 1998, 228쪽 참조.
그는 표면적으로 매우 보수적인 인물이었음에 틀림없다. 자신이 속한 정파의 이념을 옹호하고 이를 현실에 관철시키고자 분투하는 김만중의 태도는 경직된 보수 정객의 모습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일한 공인(公人)으로서의 삶 이면에 현실을 보다 객관적으로 투시하면서 진리를 향해 열려 있는 지식인 김만중의 모습이 자리 잡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보수적 정론을 뛰어넘어 주자를 회의하고 불교를 긍정하며, 문학의 민중성과 소설의 효용성을 옹호하는 의식이 바로 그것이다. 현상적으로 <구운몽>은 이처육첩(二妻六妾)을 거느리고 부귀공명을 이룬 이상적인 유교적 남성상을 그려냄으로써 유가적 이상을 드러낸 작품으로 파악하기 쉽다. 그렇지만 <구운몽>은 성진의 삶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추월을 통해 양소유의 이념에 대한 현실의 동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김만중에 의해 소설이 중세를 비판하는 장르로 문학사에 본격적으로 부상하게 되었다면, 소설은 김만중에게 그의 비판적 의식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을 마련해 주었던 것이다. 김만중의 소설 창자ㄱ, 그것은 바로 보수적 사대부의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김만중의 승리이면서 동시에 소설의 승리였던 것이다. 김현양,『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2003, 387~388쪽 참조.
3) 구운몽의 주제
<구운몽>의 주제에 대한 논의는 하게에서 일찍부터 있어왔다. 그런데 초미의 관심이 되었던 것은<구운몽>이 <金剛經>의 空사상을 구현한 것이라는 설 정규복,『구운몽연구』, 고려대출판부, 1974, 231~247.
과 <구운몽>에는 <금강경>의 공사상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하였다는 설 김일렬,「구운몽 신고」,『한국고전산문연구』,동화출판사, 1981.
의 대립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는 <구운몽>의 결미에서 제시되는 ‘육관대사에 의한 세 번째의 부정’의 단계를 看過하고, <구운몽>의 주제를 다만 ‘성진에 의한 두 번째의 부정’의 단계로서 이해한 바탕위에 이루어진 것이다. 丁奎福 교수는 <구운몽>의 주제가 <금강경>의 공사상을 구현한 것이라는 所論을 펴면서, ‘迷 - 幻 - 覺’의 과정을 통해 “인간의 모든 부귀영화가 一場의 幻夢임을 깨닫게”한 것으로 이해하였으나, (정규복,『구운몽연구』, 231 ~ 247.)이후 별도의 소론을 통해 이 견해를 수정 보완한다. (정규복,「구운몽의 空觀 시비」, 『水余 成상說박사 환갑기념논총』, 1989.)
이후 ‘육관대사에 의한 세 번째의 부정’의 단계에 주목한 성과가 거듭 나타나면서 정규복, 「구운몽의 空觀 시비」, 위의 책.
安昌壽, 「구운몽 연구」,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1990.
柳炳環, 「고전소설 구운몽 연구 - 불교사상의 에 대하여 -」, 동국대박사학위논문, 1990
김태환, 「소설 몽환구조 연구」,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구운몽>의 주제에 대한 논의는 한결 진전된 느낌이 든다. 다만 <구운몽>의 주제와 그 수용사에 대한 설명에 다소의 부족함이 있지 않은가 생각되어, 기존에 이루어진 소중한 성과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면서, 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唐代에 衡山의 연화봉에서 佛法을 가르친 육관대사의 제자인 성진이 스승의 명에 의해 남해 水府로 가 龍王을 뵙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八仙女와 만나게 되는데 神房에 돌아 온 성진은 팔선녀로부터 느끼게 된 情念이 실마리가 되어 俗世의 富貴功名에 대한 迷惑의 번뇌에 빠진다. 성진의 이 번민은 장차 양소유의 일대기를 통해 체험케 되는 속세의 부귀공명의 내용을 그대로 압축해 주고 있다. 그런데 성진은 俗世의 富貴功名에 대한 願望과 佛家의 寂寞枯淡에 대한 회의 “…우리 부텨의 법문은 바리 밥과 병 물과 두어 권경문과 일여 낫염쥬분이라. 도덕이 비록 놉고 아다오나
추천자료
김동인의 작가론과 소설 [감자]
현진건, &#65378;운수 좋은 날&#65379;; 김동인, &#65378;감자&#65379;; 최...
구운몽(작가, 구조, 사상, 문체, 소설사적 의의, 교육적 의미)
[1950년대 한국 문학][1950년대][한국 문학][문학][모더니즘][실존주의]1950년대 한국 문학(...
[영국문학]윌리엄 새커리의 소설 [허영의 시장]의 집필과정과 작가의 의도
[이상][이상문학][문학][날개][시][단편소설]이상과 이상문학(이상, 이상문학, 문학, 이상의 ...
[신소설][혈의 누][이인직]신소설의 작가, 형식적인 기법, 한계 및 근대문학적 면모 고찰(신...
[신경향파 문학][카프][KAPF][신경향파][카프문학][프로문학]신경향파 문학과 카프(KAPF)에 ...
소설은 구호일 수 있는가, 박영희 작가에 대해
[주생전] 고전소설 주생전의 줄거리, 작가분석, 주생전의 특징, 갈등구조 분석 및 주생전을 ...
[이데올로기소설][광장][작가 최인훈]
[문학] 작가 박범신이 바라본 은교와 장지우 감독이 바라본 은교 - 소설 「은교」와 영화 <은...
흥부전(판소리계 고전소설)의 근원설화, 흥부전(판소리계 고전소설)의 줄거리, 흥부전(판소리...
소설 『토지(土地)』에 나타난 동학농민혁명 고찰 - 작가 박경리와 동학 및 토지에 나타난 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