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설정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신과 인간이 둘로 나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원론은 엄격히 말하여 유대-구약적이라기 보다는 동방-헬라 세계에 기원을 둔 영지주의적인 사고 방식 위에 고착된 이원론적 배경이 깔려있었고, 이것은 요한 신학의 치명적 약점이 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육으로서의 예수의 등장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었다.
추천자료
한국교회에 있어서 민중신학의 적용의 문제
어거스틴 이후의 서방신학
동방 정교회의 역사와 신학
대학의 설립과 스콜라신학
기독교 영성과 영성신학
율법과 복음에 대한 신학적 기여에 관하여
재현의 위기 속에서 기독교적 담론은 가능한가 ― 포스트모던과 신학적인 실천적 담론으로의 ...
허버트 케인의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구원론 - 성경신학 (Biblical theology: old and new Testaments) - 게할더스 보스 (Vos, Gee...
‘신약성서 신학이란 무엇인가?’ 를 읽고
제임스 던의 바울신학
구원받음, 조직신학, 성경 유다서
최초의 성경 신학자 이레니우스(Irenaeus)
구약 성서 신학 발전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