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볼 필요가 있다. 즉, 선생님이 학생에게 답을 가르쳐 주는 것은 빨리 이루어지나. 학생이 생각하고 연구하며 조사하는 것은 늦게 이루어진다. 하지만 비록 늦더라도 후자가 더 교육적이라 하겠다. 두 번째로는 사고는 교육적 경험의 하나의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방법의 요소는 학생들의 진정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는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그러한 일을 할 수 있을 때 자긍심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교육적 사고는 그 언어자체보다 그 언어가 내포한 개인적인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PHILOSOPHY AS EDUCATION : 교육&철학 』
듀이는 철학을 교육의 일반이론으로 보았는데, 그는 '교육은 일상생활이어야 한다'라고 정의했다. 즉, 교육이 되었다는 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학을 재구성하는 것이 교육으로 그리고 이 교육이 사회적 이념과 방법을 재구성한다고 말한다.
즉, 교육이나 철학은 사회적인 이념이나 방법에 발 맞춰서 해야한다. 듀이가 살았던 그 당시 교육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었고, 전통적 철학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과학도 발전되고 민주주의도 발전됨에 따라서 교육도 사회도 변화했어야 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사회교육에 부흥하도록 교육을 해야하고, 과거의 생각이나 이념들을 사회변화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결 론
지금까지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나타난 사상들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나는 여기에서 듀이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그의 철학은 기존의 교육사고 체계에의 도전이었다. 즉 기존의 절대적 불변이었던 진리관을 실험적인 탐구과정으로 대치시켜 놓았다. 넓은 의미로 보면 과학적인 방법이 지식 탐구의 방법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듀이는 사회적 지식 또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협동체적인 공동사회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기구로서 인식하고있는 것이다.
듀이의 교육철학에서는 교육과 학교교육을 다시 검토하게 하는 많은 이론을 제기하고 있는데, 그 주요개념은 경험의 재구성과 성장, 직접적 활동과 문제해결 그리고 반항적 사고 등이 있다. 또한 교육목표는 학생의 활동과 요구에 내재된 것이어야 하며 더불어서 개개 아동의 발달수준과 흥미가 잘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에게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게 하는 지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 조건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에서 나타난 그의 사상에 대한 비판점을 생각해보았다. 경험주의는 실제적으로 이성적인 요소가 없으며, 작업과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 방법은 생활 속에서 교육하는 데는 좋으나 기성문화의 전달에는 좋지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가장 많이 지적되고 있는 점 즉, 아동의 흥미와 자유를 강조하기 때문에 교육의 반항감각이 상실되었고 상대적 진리를 주장하여 절대적 진리를 무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성장이라는 것의 개념을 확실히 전하지 못하고 있고 그 개념이 너무 모호한 점을 들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교육적 사고는 그 언어자체보다 그 언어가 내포한 개인적인 가치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 PHILOSOPHY AS EDUCATION : 교육&철학 』
듀이는 철학을 교육의 일반이론으로 보았는데, 그는 '교육은 일상생활이어야 한다'라고 정의했다. 즉, 교육이 되었다는 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학을 재구성하는 것이 교육으로 그리고 이 교육이 사회적 이념과 방법을 재구성한다고 말한다.
즉, 교육이나 철학은 사회적인 이념이나 방법에 발 맞춰서 해야한다. 듀이가 살았던 그 당시 교육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었고, 전통적 철학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과학도 발전되고 민주주의도 발전됨에 따라서 교육도 사회도 변화했어야 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사회교육에 부흥하도록 교육을 해야하고, 과거의 생각이나 이념들을 사회변화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결 론
지금까지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나타난 사상들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나는 여기에서 듀이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
그의 철학은 기존의 교육사고 체계에의 도전이었다. 즉 기존의 절대적 불변이었던 진리관을 실험적인 탐구과정으로 대치시켜 놓았다. 넓은 의미로 보면 과학적인 방법이 지식 탐구의 방법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듀이는 사회적 지식 또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할 것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협동체적인 공동사회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기구로서 인식하고있는 것이다.
듀이의 교육철학에서는 교육과 학교교육을 다시 검토하게 하는 많은 이론을 제기하고 있는데, 그 주요개념은 경험의 재구성과 성장, 직접적 활동과 문제해결 그리고 반항적 사고 등이 있다. 또한 교육목표는 학생의 활동과 요구에 내재된 것이어야 하며 더불어서 개개 아동의 발달수준과 흥미가 잘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에게 생각을 가지고 행동하게 하는 지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수 조건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듀이의 『민주주의 교육』에서 나타난 그의 사상에 대한 비판점을 생각해보았다. 경험주의는 실제적으로 이성적인 요소가 없으며, 작업과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 방법은 생활 속에서 교육하는 데는 좋으나 기성문화의 전달에는 좋지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가장 많이 지적되고 있는 점 즉, 아동의 흥미와 자유를 강조하기 때문에 교육의 반항감각이 상실되었고 상대적 진리를 주장하여 절대적 진리를 무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성장이라는 것의 개념을 확실히 전하지 못하고 있고 그 개념이 너무 모호한 점을 들 수 있겠다.
추천자료
로웬펠드의 생애와 사상과 미술 교육계에의 영향
로웬펠드의 생애와 미술교육사상과 영향 그리고 비판점
미국인의 사상과 철학 (실용주의)
레지오에밀리아 이론과 접근법 조사분석
미국의 아동중심 교육사상
루소의 교육사상
천원 오천석의 교육사상
로웬펠드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재건주의)
문제해결학습
도덕과(학습, 교육) 성격, 도덕과(학습, 교육) 원칙, 도덕과(학습, 교육) 교과서, 도덕과(학...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응용윤리학의 대상과 성격_응용 윤리학
영유아프로그램의 모형인 뱅크스트리트 프로그램 설명하시오, 1. 이론적배경 2. 교육목표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