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 공 경 화----------------------------2
(1) 냉간가공 ( cold working )
(2) 열간가공 ( hot working )
2. 담 금 질 ( quenching )-------------------2
3. 풀 림 ( annealing )---------------------3
4. 뜨 임 ( tempering )--------------------3
5. 불림 ( normalizing )---------------------4
6. 시효경화 (석출강화)----------------------4
7.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화----------------5
8. 고용체 강화----------------------------5
(1) 냉간가공 ( cold working )
(2) 열간가공 ( hot working )
2. 담 금 질 ( quenching )-------------------2
3. 풀 림 ( annealing )---------------------3
4. 뜨 임 ( tempering )--------------------3
5. 불림 ( normalizing )---------------------4
6. 시효경화 (석출강화)----------------------4
7. 결정립 미세화에 의한 강화----------------5
8. 고용체 강화----------------------------5
본문내용
라서 슬립에 대한 저항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소성변형 중에도 움직이고 있는 전위와 이종 원자 사이에 나타나는 격자 변형률의 상호작용은 계속 존재한다. 그러므로 고용체 합금에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데에는 더 큰 작용 응력이 요구된다. 즉, 강도와 경도가 증가한다. 용질원자가 격자내에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으면 고용체 강화의 효과가 적고,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면 그 효과가 크다. 그 이유는 전위선이 직선이고 용질원자가 완전한 불규칙도를 갖는다면, 전위선에 가해지는 힘은 전위선에 대한 용질원자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데 직선의 전위선과 완전한 불규칙도를 갖는 용질원자의 분포에서는 전위에 가해지는 힘의 합이 영으로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용질 원자가 완전한 불규칙도를 이루지 못하고, 전위선이 직선을 유지하고 있지 않아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전위에 힘을 작용하여 전위의 이동을 억제한다.
- 금속 기지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의 제2상에 의해 금속이 강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분산된 제2상이 어떤 방법에 의해 도입되었는가에 따라 석출경화와 분산강화로 구별한다. 이러한 제2상에 의한 강화는 제2상 입자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제2상 입 자의 형상, 부피분률, 평균입자지름 및 평균 입자간 거리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
- 같은 부피분율의 제2상입자가 존재한다면 제2상의 평균입자지름이 적을수록, 구상보다 는 판상이나 본상으로 존재 할수록 평균입자간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화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제2상 입자가 전위에 의해 잘려지는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강 화효과가 커지게 된다.
- 금속 기지에 미세하게 분산된 불용성의 제2상에 의해 금속이 강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분산된 제2상이 어떤 방법에 의해 도입되었는가에 따라 석출경화와 분산강화로 구별한다. 이러한 제2상에 의한 강화는 제2상 입자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제2상 입 자의 형상, 부피분률, 평균입자지름 및 평균 입자간 거리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
- 같은 부피분율의 제2상입자가 존재한다면 제2상의 평균입자지름이 적을수록, 구상보다 는 판상이나 본상으로 존재 할수록 평균입자간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강화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제2상 입자가 전위에 의해 잘려지는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강 화효과가 커지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