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농민항쟁의 배경
1.신라 말기의 사회상황
2. 농민항쟁의 원인
Ⅱ.농민항쟁의 전개
1.농민층의 봉기 봉기
2.농민항쟁의 전개
Ⅲ농민항쟁의 의의
1. 지방세력의 성장과 후삼국 성립
2. 농민항쟁의 사회적 의의 및 성격
보충
신라하대의 성립
초적의 발생
후삼국 성립의 시원~김헌창의 난
지방세력 성장에 따른 대응
신라하대 농민의 참상
원종과 애노의 난
1.신라 말기의 사회상황
2. 농민항쟁의 원인
Ⅱ.농민항쟁의 전개
1.농민층의 봉기 봉기
2.농민항쟁의 전개
Ⅲ농민항쟁의 의의
1. 지방세력의 성장과 후삼국 성립
2. 농민항쟁의 사회적 의의 및 성격
보충
신라하대의 성립
초적의 발생
후삼국 성립의 시원~김헌창의 난
지방세력 성장에 따른 대응
신라하대 농민의 참상
원종과 애노의 난
본문내용
중심의 지배체제에서 여러 귀족 세력의 연합하는 형태의 지배체제라는 데서 하대는 그 출발부터 불안하였다.
초적의 발생
~814년(헌덕왕6)국서 지역에 홍수가 났고 815년,820년,821년 계속 기근이 겹치면서 유랑인이 대다수 발생하고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하여 초적등의 농민 봉기가 생김
후삼국 성립의 시원~김헌창의 난
;김헌차의 난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 지방 세력의; 정치 세력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어 중앙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지방세력까지(중앙 정부에 반감을 가진 농민 세력 포함)출현하고 나아가 후삼국이 성립됨.
지방세력 성장에 따른 대응
~1.하대에 들어와 중앙 체제 내부로 끌어 들이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지방세력이 성장하자 834년(흥덕왕9)골품제에 관련한 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지방 유력자인 진촌주와 치촌주가 각각 5두품과 4두품의 대우를 받았다는 사실과 지방민을 대상으로 사찬정위체를 채택한 것들에서 회유하려는 의도가 엿보임
~2.진성 여왕은 즉위 직후 조세를 면제해 주는등의 민심 수습책을 펼쳤으나 자신을 중심으로한 지배층의 기강은 극도로 문란하여 시정ㅇ르 비방하는 벽보가 시가지에 나붙기도 하였고, 이러한 사정으로 말미암아 지방으로부터 공부의 수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국고가비게되고 오히려 농민 봉기를 부추기는 꼴이 되었다.
신라하대 농민의 참상
~ 나라의 서쪽에 가뭄이 들고 황충의 폐가 있었다. 도적이 많이 생겨나니 와이 사신을 보내 이들을 안무하게 하였다.(삼국사기 10, 원성왕 4년)
~ 서쪽 변방의 주군에 흉년이 크게 일어 났다.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나니 군사를 내어서 이들을 토벌하여 평정 시켰다.(동상 10, 헌덕왕 7년8월)
~ 흉년으로 인하여 백성들의 기근이 심해지자당의 절동지방으로 건너가서 먹을 것을 구하는 자가 170명이나 되었다.(동상 헌덕왕 8년1월)
~ 자손을 노비로 팔아서 삶을 영위 / 일본에서 해적질 / 당나라 절동지방으로 건너감 / 도덕이되거나 유랑민이 되다 / 유사종교나 사이비 지도자가 등장
농민봉기의 9세기이전과 이후의 비교
9세기이전: 비교적 소규모 단위로서 산발적인 양상 , 생존권적 성격이 강함
9세기후반: 대규모 조직화된 농민 군이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봉기, 목적의식을 띠고 봉기(반 신라 항쟁)
원종과 애노의 난:
농민이 나라에 저항한 신라 최초의 조직적 혁명 이었으며 이들이 나중에 태봉과 후백제를 건국 하는 세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
초적의 발생
~814년(헌덕왕6)국서 지역에 홍수가 났고 815년,820년,821년 계속 기근이 겹치면서 유랑인이 대다수 발생하고 굶어 죽는 사람이 속출하여 초적등의 농민 봉기가 생김
후삼국 성립의 시원~김헌창의 난
;김헌차의 난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이후 지방 세력의; 정치 세력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어 중앙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지방세력까지(중앙 정부에 반감을 가진 농민 세력 포함)출현하고 나아가 후삼국이 성립됨.
지방세력 성장에 따른 대응
~1.하대에 들어와 중앙 체제 내부로 끌어 들이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지방세력이 성장하자 834년(흥덕왕9)골품제에 관련한 개혁 조치의 일환으로 지방 유력자인 진촌주와 치촌주가 각각 5두품과 4두품의 대우를 받았다는 사실과 지방민을 대상으로 사찬정위체를 채택한 것들에서 회유하려는 의도가 엿보임
~2.진성 여왕은 즉위 직후 조세를 면제해 주는등의 민심 수습책을 펼쳤으나 자신을 중심으로한 지배층의 기강은 극도로 문란하여 시정ㅇ르 비방하는 벽보가 시가지에 나붙기도 하였고, 이러한 사정으로 말미암아 지방으로부터 공부의 수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국고가비게되고 오히려 농민 봉기를 부추기는 꼴이 되었다.
신라하대 농민의 참상
~ 나라의 서쪽에 가뭄이 들고 황충의 폐가 있었다. 도적이 많이 생겨나니 와이 사신을 보내 이들을 안무하게 하였다.(삼국사기 10, 원성왕 4년)
~ 서쪽 변방의 주군에 흉년이 크게 일어 났다.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나니 군사를 내어서 이들을 토벌하여 평정 시켰다.(동상 10, 헌덕왕 7년8월)
~ 흉년으로 인하여 백성들의 기근이 심해지자당의 절동지방으로 건너가서 먹을 것을 구하는 자가 170명이나 되었다.(동상 헌덕왕 8년1월)
~ 자손을 노비로 팔아서 삶을 영위 / 일본에서 해적질 / 당나라 절동지방으로 건너감 / 도덕이되거나 유랑민이 되다 / 유사종교나 사이비 지도자가 등장
농민봉기의 9세기이전과 이후의 비교
9세기이전: 비교적 소규모 단위로서 산발적인 양상 , 생존권적 성격이 강함
9세기후반: 대규모 조직화된 농민 군이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봉기, 목적의식을 띠고 봉기(반 신라 항쟁)
원종과 애노의 난:
농민이 나라에 저항한 신라 최초의 조직적 혁명 이었으며 이들이 나중에 태봉과 후백제를 건국 하는 세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
추천자료
삼국통일기의 역사인식 - 사찬사서를 중심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의 일등공신 김유신과 김춘추☆
신라와 발해 관계의 재조명
518 광주 민중 항쟁의 의의와 역사적 고찰
6월 항쟁의 성격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문무왕
삼국통일
[나말여초][6두품세력][지방호족세력][후삼국][나말여초의 시대적 의미]나말여초 시대적 배경...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장엄구(그림포함)
역사광장 - 백제의 부흥 운동, 만파식적 이야기, 삼국통일이후 신라의 전제 왕권의 확립, 고...
[민족운동][청년운동][3.1운동][민족실력양성운동][민족통일운동]민족운동과 청년운동, 민족...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 가능했던 이유와 민족융합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였나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중항쟁) 배경,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
신라의 혼란 (무열왕계, 농민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