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 구축에 있어 비용대 효과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반영하는 가상변수.
LAND = 활용대상이 실행되는 지역, 구역을 반영하는 가상변수.
31개의 관측을 통해서 이 방정식의 결정계수(R2
)는 0.742이고 F 검정통계량의 측정값은 11.531이다. 결정계수를 통해서 수동 작업 비용에 대한 효율이익 비율에서 측정된 변수의 약 75%의 설명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효율을 구하는 방정식은 효과를 구하는 방정식과 다르다. 효율이익의 절대치를 측정하지 않고 GIS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절약되는 비용의 비율을 계산한다.
순수 효율이익의 화폐가치는 측정된 비율과 활용대상을 수동으로 운영하는데 지출되는 비용의 곱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RATIO가 75.0이고 Costnon-GIS
가 $1,000면 화폐로 전환한 가치는 $750이다.
활용대상에서 효과이익과 효율이익 모두 발생했다면 GIS의 이익 측정은 위의 두 방정식에서 계산한 값을 더하면 된다.
제시된 모델을 사용하는 순서도
USGS 연구에서 제시한 GIS 효과 산정 모델은 향상된 GIS의 비용-이익 연구이며, 그 작업과정은 아래의 10단계로 요약된다.
단계 1. 새로이 GIS를 활용하여 운영될 활용대상의 유형을 확인한다.
단계 2. 유형에 따라 주된 이익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익에는 비용절감 등을 의미하는 효율이익, 더 나은 가치의 결과물 생산 등을 의미하는 효과이익이 있고 이 둘을 모두 고려하는 경우가 있다.
단계 3. 활용대상의 운영 빈도를 산정한다.
효율이익의 비중이 중요시되는 활용대상의 경우 :
단계 4. 방정식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산정한다. 효율 방정식에서 사용될 복잡성 변수의 값과 기존의 방법(non-GIS)을 이용하여 지출되는 비용을 파악한다.
단계 5. 방정식에 변수의 값을 대입한다. 결과로 측정된 Costnon-GIS
의 비율은 GIS기법을 활용함으로서 절약되는 비용이다.
단계 6. 화폐단위로 전환하고 이를 모두 더한다. 수동으로 활용대상을 운영할 때 발생하는 비용과 이전 단계에서 계산한 비율을 곱하여 GIS 효율이익의 화폐 가치를 구한다. 계산된 효율이익과 발생 횟수를 곱하면 그 결과는 절약되는 효율의 총 화폐 가치이다. 활용대상에서 절약한 모든 효율이익을 더하여 GIS기법을 활용하여 얻게 되는 효율의 총 화폐가치를 알 수 있다.
효과이익의 비중이 중요시되는 활용대상의 경우 :
단계 7. 방정식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산정한다. 효과 방정식에서 사용될 복잡성 변수의 값을 파악한다. 만약 GIS기법을 활용하여 활용대상을 운영하는 경우의 비용이 더 많다면 CostGIS
는 Costnon-GIS
보다 더 크게 된다.
단계 8. 방정식에 변수의 값을 대입한다. 이 결과는 GIS기법을 활용하여 예상되는 새롭고 향상된 결과물의 화폐가치에 대한 자연로그이다.
단계 9. 화폐단위로 전환하고 이를 모두 더한다. 계산한 자연로그의 진수를 취하여 순수 효과이익을 화폐가치로 산정한다. CostGIS
가 Costnon-GIS
를 초과한다면 산정한 효과이익에서 그 차이만큼을 뺌으로서 순 효과이익의 화폐가치를 구한다. 순 효과이익과 빈도를 곱하여 순 효과이익의 총합계를 구한다. 모든 효과 활용대상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더한다. 이로써 GIS 기법 활용에 대한 효과이익의 화폐가치 총합을 구할 수 있다.
단계 10. 타당성을 검증한다.
실제로 몬타나 지리정보회의(MGIC)에서는 위의 10단계를 통해 분석을 시행했고, (McInnis & Blundell 1998) 이 모델링기법이 GIS의 효과를 산정하는데 훌륭한 모델이라고 보고한바 있다.
III. 결론
국내의 GIS사업은 데이터베이스 구축비용으로 상당한 초기지출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최
초의 비용이 소요된 후에도 시스템 운영비와 유지비가 계속해서 지출되나 시스템구축으로
인한 예산절감의 금액이 서서히 상승하여 구축 후 몇 년이 경과하면 구축투자비용의 회수가
전액 가능하며, 이시기는 GIS시스템의 정확도, 작성한 수치지도의 종류, 효율적인 유지관리,관련 업무에의 활용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5년에서부터 15년간에 나타남이 외국
의 사례에서 규명된 바 있다.
향후의 GIS사업의 투자에 대한 효과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명됨에 따라 지리정보사업의 효율적인 활용이 기대되는 바이다.
미국의 사례의 경우 GIS의 효과를 산정하는 많은 산정방법론 중에서 특히 복잡성 변수를 주 요인으로 선정한 USGS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GIS기법을 활용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초기의 막대한 자본 투자가 이루어진 후에도 지속적인 유지관리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GIS 구축에 사용되는 예산 편성 및 집행에 있어서 정당성을 제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GIS의 비용-이익 분석에 관한 연구는 구축 이전뿐만 아니라 개발 중에도 이루어져야한다.
기존의 GIS 기법을 이용한 비용-이익 연구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산정하기 용이한 효율이익만을 측정하고 효과이익을 측정하는 일은 등한시 하였다. 이러한 경우 효율이익에 집중된 비용-이익 분석에는 효율이익이 높을 때의 투자만이 정당화되는 등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GIS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는 비용절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보다 더 효과적인 작업 처리에 있다.
USGS의 연구는 효과이익의 양적인 산정에 대한 실질적인 기술을 제시함으로서 GIS기법을 활용한 결과물이 이전의 수동 방식의 결과물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그리고 이 둘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시켜준 것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일반화된 표준을 세우기는 어렵지만 앞으로도 GIS 효과 분석에 대한 향상된 연구를 통해서 GIS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향후 GIS사업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무형적 효과를 계량화하기 위한 방안개발이 필요하다.
IV. 참고문헌 및 사이트
▷ 한국지리정보학회 : http://www.kagis.or.kr/kagis
▷ 한국표준협회 : http://www.itsgis.net/
▷ 서울대학교공간정보연구실 : http://spins.snu.ac.kr
▷ 건설교통부 : http://www.moct.go.kr/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