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스키 이론과 피아제 이론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는 방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비고스키의 관점에서는 문화가 사고의 내용뿐만 아니라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준다. 말하자면 문화는 주의 집중과 기억, 그리고 초인지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둘째, 정보처리 이론에서는 학습의 감성적 측면과 동기적 측면이 무시되지만 비고스키의 이론에서 감성과 동기는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유아들이 감성적으로 학습 활동에 열중하고 있다고 느낄 때 학습 능률이 가장 높다고 하였다.
5. 결론
피아제와 비코츠키의 유사점은 첫째, 아동의 발달은 질적인 성장인 동시에 단계를 거치고 있다. 둘째, 사고는 능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지식 전달은 문화와 관련이 있다. 넷째,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강조했다. 차이점은 첫째, 사고와 언어 부분에서 살펴보면 피아제는 전 조작기 아동의 언어가 자기중심성 이라는 특징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자기 중심적 언어는 자기 중심적 사고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성장해 가면서 점차 감소된다고 보았다. 비코츠키는 자기중심적 언어의 사용이 단순하게 자기만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해결을 위한 사고의 도구라고 생각하였다. 독립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한 사고와 언어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서로 연합되고, 이러한 연합은 아동이 발달해 가는 과정에서 변화하고 성장한다. 즉, 피아제는 행동이 사고로 이어지고, 사고가 언어에 반영된다고 할 수 있다. 비코츠키는 초기능력에 사고와 언어가 서로 결합하여 사고와 언어의 연합 형태로 나타난다고 한다.
둘째, 피아제가 성숙된 형태의 사고 발달을 위해 유아와 물리적 사물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 반면 비고스키는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이 유아의 형식적 사고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피아제가 유아를 세상에 대해 스스로 학습해 가는'독립적 발견자’로 보는 반면 비고스키는 인간 사회에서 자라는 유아들이 완전히 독립적인 발견자와 같은 존재란 될 수 없다고 본다. 등이 있다.
그러나 두 이론은 인간의 발달에 동시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느 한 부분의 이론 갖고서는 설명이 안 되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아동의 발달이 설명되어지기 위해서는 이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아동의 발달에 피아제와 비코츠키는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임규혁(1996) 교육심리학. 학지사
2. 안영진(2001) 교육심리학. 창지사
3. 윤운성(2001) 교육 심리적 이해. 양서원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