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션동화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안데르센
III. 안데르센 동화의 특성 - 그림형제의 민담과 비교
III.1. 공간과 인물의 구체성
III.2. 사실적인 서술
III.3. 인물·심리묘사
III.4. 비도식적인 언어
III.5. 전통적이지 않은 가치관
IV. 변형된 수용
IV.1. 선택의 문제
IV.2. 번역상의 문제
IV.3. 묘사의 생략
Ⅴ. 맺는 말

본문내용

도입과 배경설명을 생략하고 "옛날 중국에 사는 한 황제가 책을 읽고 있었어요"로 시작한다. 이 동화에서 궁전과 정원이라는 공간의 묘사는 인공과 자연의 양극을 표현하는 한 수단이 되는데, 이 공간 묘사를 생략함으로써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없어진 것이다. 같은 책에서, 앞에서 보인 <미운 오리 새끼>는 "뿅뿅뿅, 삐약삐약"하고 아기 오리들이 알을 까고 나오는 장면으로 시작하고, 오빠들을 찾는 엘리사는 숲 속에서 잠을 자고 연못에서 얼굴을 씻고 숲에서 사과를 따먹고 노파에게 길을 묻고 강물을 들여다볼 필요가 없이 "열 한 명의 왕자들을 찾아 나섰어요. 숲 속을 혼자서 걷고 있던 엘리사는 새하얀 깃털을 발견했어요." 라고 말한다. 앞에서 인용한 화형 장면에서도 엘리사의 외모 묘사는 사라지고 "마침내 엘리사는 죽음을 당하게 되었어요"라고 되어 있다.
안데르센의 동화는 풍부한 자연, 인물묘사를 담고 있는데, 이런 묘사는 본문을 줄이는 과정에서 탈락된다. 따라서 줄거리만을 뚜렷하게 서술하는 민담을 닮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묘사가 생략되면서 동시에 독창적인 비유도 사라진다.
Ⅴ. 맺는 말
이 논문의 목적은 번안된 번역을 비판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선 밝히고 싶다. 여기서 번안을 원문과 비교한 것은 안데르센 동화의 수용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설명하고자하는 시도일 뿐이다.
이 논문에서는 안데르센 동화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동화들과 민담과의 차이가 번역과 번안 과정에서 중화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안데르센 동화와 그림형제의 민담을 비교해보면, 민담의 성격은 그림형제에서 훨씬 뚜렷하게 드러날 것이고 안데르센 동화는 창작동화다운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어린이들에게 읽힐 만한 동화를 선택하고 자세한 묘사를 삭제하며 번안하는 과정에서 이 동화들도 결과적으로는 민담과 마찬가지로 줄거리 위주의 이야기가 된다. 이런 형태로 변형된 안데르센 동화를 읽는 독자에게는 안데르센 동화와 그림 동화의 문학적인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다. 이런 수용 과정을 생각해 보았을 때 뒤늦게나마 안데르센 동화의 완역본이 출간되었다는 사실은 안데르센의 문학을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된다.
◈ 참고문헌
1. 1차문헌
www.kb.dk/elib/lit/dan/andersen.dsl
Andersen, Hans Christian: Fairy tales [B rnenes H. C. Andersen, Patricia Crampton의 영역]. Copenhagen. Carlsen. 1985.
한스 크리스찬 안데르센: 밤꾀꼬리. 이미림 역. 분도출판사. 1987.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어른을 위한 안데르센 동화전집. 윤후남 역. 현대지성사. 1999.
안데르센: 안데르센 동화. 유아교육연구원 편. 계림닷컴. 2001.
2. 2차문헌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연구. 을유문화사. 1975.
Max Luthi: Das europaische Volksmarchen. Tubingen. A. Francke Verlag. [11947] 81985.
Max Luthi: Es war einmal.... Vom Wesen des Volksmarchens.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62] 81998.
Erling Nielsen: Andersen. Mit Selbstzeugnissen und Bilddokumenten. rororo Bildmonographien. Hamburg. Rowohlt Taschenbuch Verlag. [1958] 1988.
◈ Zusammenfassung
Andersens Marchen und die Volksmarchen
Miran Ahn (Hannam Uni.)
Andersens und Grimms Marchen werden oft in einem Atemzug als Bucher genannt, die man den Kindern vorlesen kann oder ihnen zum lesen geben kann. Und nicht selten erscheinen sie in gleicher Aufmachung als zwei Bande einer Serie.
Dies ist jedoch verwunderlich, wenn man bedenkt, dass Andersens und Grimms Marchen zwei unterschiedlichen Gattungen angehoren: Wahrend die Gebruder Grimm eine Sammlung der Volksmarchen herausgegeben haben, hat Andersen Kunstmarchen geschrieben. Inhaltlich und stilistisch unterscheiden sich die Marchen wesentlich. Charakteristisch fur Andersens Marchen ist die ausfuhrliche Natur- und Personenbeschreibung, sowie ein konkreter Bezug auf Ort und (manchmal) Zeit.
In diesem Aufsatz wurde gezeigt, dass die Besonderheiten der Marchen Andersens im Zuge der bersetzungen und Bearbeitungen verlorengehen. Durch einen Vergleich von drei bersetzungen von Nattergalen konnte gezeigt werden, wie der Stil immer weiter abgeandert wird, insbesondere wenn Kinder als Leser in Betracht kommen.
【주제어】 안데르센, 그림형제, 동화, 민담, 번안, 국내수용
【Schlusselbegriffe】 Andersen, Bruder Grimm, Kunstmarchen, Volksmarchen, Bearbeitungen, Rezeption
【필자 이메일 주소】 miranahn@aol.com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5.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