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회복지사의 채용 의무는 사회복지법인이 아닌 사회복지시설에다 부과해야 하고 사회복지법인과 기타 비영리법인, 그리고 사회복지 공행정 분야에는 따로 일정 수 이상의 사회복지사 채용의무를 부과해야 한다. 또 공행정 분야에서는 직급에 따라 행정. 관리직에는 사회복지 행정관, 사회복지 관리관, 사회복지 지도관을 두고 실무부서에서 직접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하는 직책에는 그 업무의 성격과 직급에 따라 사회복지사 또는 보조사회복지사를 두어야 한다. 또 공행정에서의 채용규정은 공행정 전문전달체계에서 따로 정하되 직접 국민과 접촉하며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과 사회복지사업을 지도감독하는 공무원은 반드시 사회복지사로 채용해야 한다. 민간시설에서의 전문화뿐만 아니라 공행정 전달체계의 전문화도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은 오늘날 공적 사회복지 서비스가 현재는 대부분 경제적 급여만이 행해지고 있으나 앞으로 점차 전문적인 사회사업 서비스를 원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3) 사회복지사의 자질 중 인간적 인성교육 필요: 위에서 지적한 전문적인 자격강화 및 사회복지사의 채용의무를 확대하는 것 이상으로 필요한 부분은 실질적인 사회복지사의 인성적 자질을 함양해야 한다. 단순한 직업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아닌 진심으로 클라이언트를 사랑하고 자비와 긍휼을 베풀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먼저 적성검사와 인성검사를 통과한 자가 최종적인 자격증을 가져야 하며 그런 사람들이 현장에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현재 미흡한 제도라 생각하며 앞으로 꼭 이러한 부분이 개선되거나 철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3) 사회복지사의 자질 중 인간적 인성교육 필요: 위에서 지적한 전문적인 자격강화 및 사회복지사의 채용의무를 확대하는 것 이상으로 필요한 부분은 실질적인 사회복지사의 인성적 자질을 함양해야 한다. 단순한 직업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아닌 진심으로 클라이언트를 사랑하고 자비와 긍휼을 베풀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먼저 적성검사와 인성검사를 통과한 자가 최종적인 자격증을 가져야 하며 그런 사람들이 현장에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현재 미흡한 제도라 생각하며 앞으로 꼭 이러한 부분이 개선되거나 철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사회복지사][전문성][사회복지정책][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와 사...
군 사회복지 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군 사회복지사 제도를 중심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격제도, 재활의료, 일반의료, 직무표준화, 병원견학(기관견학) 보고서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2. 노인일자리창출을 위한 아이디어 3. 사회복지사 연구의 의의. 4....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윤리적 딜레마 해결사례
사회복지사의 자세와 자질을 기술하고 바람직한 사회복지사 상(像)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간...
자기 자신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작성한 후 윤리적이고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
가족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설명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가족사회복지사의 ...
내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를 각각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환경을 비교 분석, 평가하고 좋은 점은...
사회복지사에 대해서 -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사의 정의와 자질, 사회복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정책론] 잔여적 모델(Residual Model)과 제도적 모델(Institutional Mod...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제도화에 관련하여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관점을 논하...
사회복지환경변화(법, 제도, 의식 등)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갖추...
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실천체계와 사회복지사 제도의 의의에 대해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