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공간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답사 -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공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서울역사박물관의 위치와 건물

3. 서울역사박물관의 내부구조

4. 박물관의 전시공간 분석
4-1. 상설전시실
4-2. 기증유물전시실

5. 마치며

본문내용

어서는 입구에는 시민들이 기증한 유물임을 입증하는 기증자의 이름을 게시하고 있다. 처음 공간을 들어서면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공간이 있고 다음 방으로 넘어가는 입구는 첫 번째 방을 넘어가서 위치하는 것이 아닌 들어오는 입구에서 가장 가까운 벽면에서 다음 방의 입구가 보인다. 때문에 얼핏 보면 동선이 자유로워 보이지만, 실제로 돌아보니 첫 번째 방 다음부터는 세 방이 연속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 어쨌든 모든 전시공간을 돌아봐야하는 강제적인 동선체제다. 때문에 관심 없던 유물도 있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유물을 관람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전시공간 역시 단순히 벽면과 몇 가지 쇼케이스만으로 이루어져있었다. 조도 역시 일정했지만 자연채광이 전시실 내부까지 들어와서 인공조명과는 또 다른 밝은 느낌이었다.
-기증유물전시실 내부
5. 마치며
지금까지 서울역사박물관의 전시내용과 전시공간에 대해서 분석해보았다. 개인적으로는 서울역사박물관은 전시보다는 그이외의 교육문화 프로그램이 돋보이는 박물관이라 생각한다. 경희궁과 함께 어우러지는 휴식공간으로서의 기능 역시도 빼놓을 수 없지만 서울의 중심에서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최고의 장점을 살려 저녁 늦게 까지도 가볍게 발걸음 할 수 있는 야간 프로그램들은 서울역사박물관이 가지는 두드러지는 강점이라 본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지역민의 참여를 위해 야간프로그램들을 많이 만들었고 여타 시립박물관에 비해 참여율도 높다고 한다. 또 이러한 프로그램들에 참가했던 사람들의 90%가 박물관을 관람한다고 하니,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리고 있다. 필자 역시 역사박물관대학에 수강생으로 있는 동안 박물관 관람과 함께 경희궁까지 돌아보고는 했었다.
처음으로 동선과 구조, 전시표현방식 등을 살펴보며 박물관을 관람했다. 이렇게 살펴보니 박물관을 만들고 유지하는 큐레이터들의 역할이 새삼 크게 느껴졌다. 또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보촌처리과나 다른 관리실도 기웃거리게 되었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모션에도 자꾸 눈길이 갔다. 한편 전시공간에 아쉬웠던 점으로는 동선 표시가 있지만 의도된 방향으로 이동하기는 쉽지 않은 동선이라 생각한다. 때문에 필자의 경우 전시실을 지나쳐가 다시 들어갔다 나온 경우도 있었으며 한 공간을 여러 번 들락날락 하기도 했고 거꾸로 관람하기도 했다. 이왕에 스토리라인이 있는 관람이라면 동선을 확실히 표현해 주는 것 또한 혼란스럽지 않은 방법이 될 것 같다.
-보존처리과 앞 문화재 보존방법 게시물 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2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