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질성 폐질환의 정의
1. 발병기전
Ⅱ. 간질성 폐질환의 분류
Ⅲ. 임상 양상
1. 병력 청취시 고려해야 할 사항
2. 이학적 소견
3. 흉부 X선 소견
4. 폐기능 검사
5. 동맥혈가스분석검사
6. 면역학적 소견
7. 폐주사 소견 : gallium-67 citrate
8. 기관지 내시경 검사
9. 외과적 개흉술(open lung biopsy)
Ⅳ. 치료
1. 치료원칙
2. 치료
1. 발병기전
Ⅱ. 간질성 폐질환의 분류
Ⅲ. 임상 양상
1. 병력 청취시 고려해야 할 사항
2. 이학적 소견
3. 흉부 X선 소견
4. 폐기능 검사
5. 동맥혈가스분석검사
6. 면역학적 소견
7. 폐주사 소견 : gallium-67 citrate
8. 기관지 내시경 검사
9. 외과적 개흉술(open lung biopsy)
Ⅳ. 치료
1. 치료원칙
2. 치료
본문내용
veolar lavage fluid)
① 정상 비흡연자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세포분획
Alveolar macrophage ≥85%
Lymphocyte 10-15%
Neutrophil ≤1%
Eosinophil ≤1%
Ciliated columnar epithelial cell ≤2%
② Lymphocyte predominant
berylliosis
drug-induced ILD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lymphocytic interstitial pneumonia
sarcoidosis
lymphoma
③ Eosinophil predominant : eosinophilic pneumonia
④ Birbeck granule of the Langerhans cell by EM : Histiocytosis X
2) 경기관지폐생검술(transbronchial lung biopsy)
sarcoidosis와 같은 diffuse granulomatous disease의 경우 80%까지 진단 가능
그러나 IPF에서는 25% 정도에 불과하여 결국 open lung biopsy가 필요
9. 외과적 개흉술(open lung biopsy)
경기관지폐생검술로 진단이 안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폐생검검사의 적응증이 되고, 이때에는 충분한 크기의 조직을 여러 장소에서 채취하되 보통 2개 이상의 다른 폐엽에서 얻도록 하여야 한다.
상대적 금기증으로는 중대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봉와양 폐나 그 외의 미만성 말기 병변의 방사선학적 증거, 심한 폐기능장애, 특히 고령자들에서 대수술의 중요한 위험인자들이 동반된 경우이다.
Ⅳ. 치료
1. 치료원칙
1) 원인이 되는 물질에 노출을 피한다.
2) 염증을 억제하고 더 이상의 폐손상을 억제한다.
3) 증상을 조절한다.
2. 치료
1) corticosteroid
경구 prednisone를 하루 1 mg/kg 용량으로 8-12주 투여하여
호전을 보인다면 15-20 mg정도의 유지용량으로 서서히 줄여서 1년 정도 지속
2) cyclophosphamide
cyclophosphamide 1-2 mg/kg with oral prednisone 0.25 mg/kg
3) Lung transplantation
4) Vaccination : influenza and pneumococcal vaccine
5) oxygen supplementation
6) infection control
① 정상 비흡연자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액내 세포분획
Alveolar macrophage ≥85%
Lymphocyte 10-15%
Neutrophil ≤1%
Eosinophil ≤1%
Ciliated columnar epithelial cell ≤2%
② Lymphocyte predominant
berylliosis
drug-induced ILD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lymphocytic interstitial pneumonia
sarcoidosis
lymphoma
③ Eosinophil predominant : eosinophilic pneumonia
④ Birbeck granule of the Langerhans cell by EM : Histiocytosis X
2) 경기관지폐생검술(transbronchial lung biopsy)
sarcoidosis와 같은 diffuse granulomatous disease의 경우 80%까지 진단 가능
그러나 IPF에서는 25% 정도에 불과하여 결국 open lung biopsy가 필요
9. 외과적 개흉술(open lung biopsy)
경기관지폐생검술로 진단이 안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폐생검검사의 적응증이 되고, 이때에는 충분한 크기의 조직을 여러 장소에서 채취하되 보통 2개 이상의 다른 폐엽에서 얻도록 하여야 한다.
상대적 금기증으로는 중대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봉와양 폐나 그 외의 미만성 말기 병변의 방사선학적 증거, 심한 폐기능장애, 특히 고령자들에서 대수술의 중요한 위험인자들이 동반된 경우이다.
Ⅳ. 치료
1. 치료원칙
1) 원인이 되는 물질에 노출을 피한다.
2) 염증을 억제하고 더 이상의 폐손상을 억제한다.
3) 증상을 조절한다.
2. 치료
1) corticosteroid
경구 prednisone를 하루 1 mg/kg 용량으로 8-12주 투여하여
호전을 보인다면 15-20 mg정도의 유지용량으로 서서히 줄여서 1년 정도 지속
2) cyclophosphamide
cyclophosphamide 1-2 mg/kg with oral prednisone 0.25 mg/kg
3) Lung transplantation
4) Vaccination : influenza and pneumococcal vaccine
5) oxygen supplementation
6) infection control
키워드
추천자료
폐동맥 협착증 (Pulmonary Stenosis,PS)
폐기능검사
폐아이상 (lung bud anomaly)
만성폐쇠성질환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진단, 근골격계질환(직업병)의 조사사업, 근골격계질환(직업병) 환자...
심장병(심장질환, 심혈관계질환)과 협심증질환, 허혈성질환, 심장병(심장질환, 심혈관계질환)...
심장병(심혈관계질환, 심장질환)과 협심증질환, 판막질환, 심장병(심혈관계질환, 심장질환)과...
[심장][자극전도계][심장 구조][심장 활동][심장 박동][심박출량][심장 순환][심장 질환]심장...
[질환][질병][피부질환]질환(질병)과 피부질환, 질환(질병)과 정신질환, 질환(질병)과 부인과...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의 위험요인과 증상, 심혈관계질환(심장질환, 심장병)과 관상...
[질환(질병), 호흡기질환]질환(질병)과 호흡기질환, 심혈관계질환, 질환(질병)과 심장질환, ...
성인成人간호학 급성폐수종
[감염성 질환] 감염증의 정의, 감염성 질환의 영양 및 치료 식이요법(식사요법), 급성 감염성...
[심장질환] 심장질환의 종류(울혈성 심부전과 허혈성 심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