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도시의 의미 및 살기 좋은 도시의 의미
2. 본론
살기 좋은 도시의 사례
* 대한민국 - 서울
* 캐나다 - 벤쿠버
3. 결론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점
1. 서론
도시의 의미 및 살기 좋은 도시의 의미
2. 본론
살기 좋은 도시의 사례
* 대한민국 - 서울
* 캐나다 - 벤쿠버
3. 결론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점
본문내용
배인데 물위에서 버스역할을 한다.
▲ 왼쪽의 티켓은 Monthly Ticket이라 한다. 요금은 우리나라 전철의 1구간 2구간 같은 Zone(구간)으로 책정한다. 한번 차표를 사면 1시간 30분 동안은 택시를 제외한 3가지 종류(Bus, Seabus, Skytrain)의 대중교통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매일 오후 6시30분 이후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Zone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 즉, 1 Zone Ticket을 가지고서도 2, 3 Zone 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 벤쿠버의 시장
- 벤쿠버의 가장 유명한 시장으로는 퍼플릭시장(Public Market, 공설시장)이 있다. 이곳은 휴일이 없는 시장으로 생선, 야채, 과일, 꽃 등의 다양한 상점들이 모여 있는 시장이다.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이기도 하다.
각 동네에서 주말마다 장을 열어 많은 사람들에게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 벤쿠버의 문화시설 - Vancouver Public Library
콜로세움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외관으로 건물 전체가 탁 트인 외관으로 도서관이라는 고정관념을 벗고 커뮤니티 주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봉사하는 교육의 현장이기도 하다.
120만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자료를 개가식으로 이용할 수 있고, PC와 비디오자료 그리고 마이크로 필름 등이 구비되어 주민들이 언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세미나룸이 따로 마련되어 미리 예약을 하면 학생들이 모여 세미나를 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각국의 신문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각 도서관 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세미나를 무료 또는 저렴한 입장료를 받고 개최하며, 저자와의 만남, 도서소개 행사, 작문 대회, 공연 등을 개최한다. 또, 초보자를 위한 간단한 인터넷 교육, 정보 검색법 및 도서관 이용법 강좌도 마련하고 있다.
* 벤쿠버에 대한 나의 생각
레포트를 하기 전, 벤쿠버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는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개최지라는 것 뿐이었다. 여러 도시들을 조사하다보니 벤쿠버가 문화시설이나 사람들의 도시 선호도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사실을 바탕으로 여러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한 결과 왜 사람들이 벤쿠버를 선호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 캐나다 내에서 가장 큰 상공업 도시임에도불구하고 스탠리파크라는 공원이 자리 잡고 있어서 사람들이 숨을 쉴 수 있고, 여가를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놓았다. 이렇게 시민들을 위해 꾸며진 도시라면 어느 누구라도 벤쿠버에서 살고 싶어 할 것이다.
결론
‘살기 좋은 도시’라는 주제의 결론은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나 국가에서 여러 가지 정책들을 마련하여 사람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먼저 도시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고 참여하는 것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가장 빠르고 올바른 길이라고 생각한다. 레포트를 하면서 도시 내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서 벤쿠버의 ‘그린웨이(Green ways)’나 서울의 ‘차 없는 날’ 같은 정책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이 서울이나 대도시권만이 아닌 다른 도시들에도 시행이 됐으면 하는게 나의 바람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연환경 보존이나 사람들의 정신, 육체적인 건강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매체들을 통해서 전국으로 홍보하고 전국에서 시행을 한다면 우리나라도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트 유니트(EIU)'에서 조사하는 ‘세계에서 가장 살고 싶은 도시’랭킹에 순위권 안에 들 수 있는 도시들이 무궁무진하게 많다고 생각한다.
출처
- 서울시청 홈페이지
- mercer survey
- 네이버 백과사전
▲ 왼쪽의 티켓은 Monthly Ticket이라 한다. 요금은 우리나라 전철의 1구간 2구간 같은 Zone(구간)으로 책정한다. 한번 차표를 사면 1시간 30분 동안은 택시를 제외한 3가지 종류(Bus, Seabus, Skytrain)의 대중교통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매일 오후 6시30분 이후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Zone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 즉, 1 Zone Ticket을 가지고서도 2, 3 Zone 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 벤쿠버의 시장
- 벤쿠버의 가장 유명한 시장으로는 퍼플릭시장(Public Market, 공설시장)이 있다. 이곳은 휴일이 없는 시장으로 생선, 야채, 과일, 꽃 등의 다양한 상점들이 모여 있는 시장이다. 관광객들의 필수 코스이기도 하다.
각 동네에서 주말마다 장을 열어 많은 사람들에게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 벤쿠버의 문화시설 - Vancouver Public Library
콜로세움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외관으로 건물 전체가 탁 트인 외관으로 도서관이라는 고정관념을 벗고 커뮤니티 주민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봉사하는 교육의 현장이기도 하다.
120만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자료를 개가식으로 이용할 수 있고, PC와 비디오자료 그리고 마이크로 필름 등이 구비되어 주민들이 언제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세미나룸이 따로 마련되어 미리 예약을 하면 학생들이 모여 세미나를 할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각국의 신문을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각 도서관 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세미나를 무료 또는 저렴한 입장료를 받고 개최하며, 저자와의 만남, 도서소개 행사, 작문 대회, 공연 등을 개최한다. 또, 초보자를 위한 간단한 인터넷 교육, 정보 검색법 및 도서관 이용법 강좌도 마련하고 있다.
* 벤쿠버에 대한 나의 생각
레포트를 하기 전, 벤쿠버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는 2010년 벤쿠버 동계올림픽 개최지라는 것 뿐이었다. 여러 도시들을 조사하다보니 벤쿠버가 문화시설이나 사람들의 도시 선호도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 사실을 바탕으로 여러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한 결과 왜 사람들이 벤쿠버를 선호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 캐나다 내에서 가장 큰 상공업 도시임에도불구하고 스탠리파크라는 공원이 자리 잡고 있어서 사람들이 숨을 쉴 수 있고, 여가를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놓았다. 이렇게 시민들을 위해 꾸며진 도시라면 어느 누구라도 벤쿠버에서 살고 싶어 할 것이다.
결론
‘살기 좋은 도시’라는 주제의 결론은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시나 국가에서 여러 가지 정책들을 마련하여 사람들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먼저 도시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고 참여하는 것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가장 빠르고 올바른 길이라고 생각한다. 레포트를 하면서 도시 내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서 벤쿠버의 ‘그린웨이(Green ways)’나 서울의 ‘차 없는 날’ 같은 정책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이 서울이나 대도시권만이 아닌 다른 도시들에도 시행이 됐으면 하는게 나의 바람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자연환경 보존이나 사람들의 정신, 육체적인 건강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매체들을 통해서 전국으로 홍보하고 전국에서 시행을 한다면 우리나라도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트 유니트(EIU)'에서 조사하는 ‘세계에서 가장 살고 싶은 도시’랭킹에 순위권 안에 들 수 있는 도시들이 무궁무진하게 많다고 생각한다.
출처
- 서울시청 홈페이지
- mercer survey
- 네이버 백과사전
추천자료
중국 환경오염 현황과 진출방안
김천관광개발
지역사회문제파악 및 해결방안
실버 관광 산업
철학적 관점으로 본 영화 - 모던 타임즈
[신년사][신년사 사례][신년사 예문][새해][신년][시민][회사사원][공직자][불특정다수]시민...
[행정학] 한강 르네상스 정책의 과정과 내용 분석-정책학원론
관광개발과 지역경제활성화
일본지역연구 후쿠오카현
[두레][두레의 발달배경][두레의 개념][두레의 특성][두레의 의의][두레의 놀이]두레의 발달...
대전관광지 소개 및 관광상품
유비쿼터스 적용분야
스테프니 메이어의 '트와일라잇'을 읽고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지역사회 만들기(마을만들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