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기중반~8세기신라와 발해왕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7세기중반~8세기신라와 발해왕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7세기중반~8세기신라와 발해왕국

본문내용

유민에 의해 698년 건국된 발해는 제 3대 문왕의 통치기에 국력이 신장되어 큰 왕국으로 성장했고 중국에서도 발해를 인접한 독립국으로 인정하여 교린을 가졌다. 발해 사회 지배층은 고구려의 유민들이었지만 피지배층은 지역 토착민인 말갈민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런 이중적인 민족 구성은 왕국 자체의 문화적 특징을 만들어 갔다고 생각된다.
왕국 초기에 발해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산성에 의지한 도시 생활을 하였지만 곧 중국 당나라 제도를 모방한 도성을 건설하였다. 이런 도성은 오히려 당나라보다 더 철저한 중국식 도성계획의 원칙에 입각한 것이었다. 도성 내 궁전 역시 철저한 직선축과 좌우 대칭 원칙을 가진 중국식 건물이었다.
발해는 전국 주요 다섯 도시를 통치의 기본 단위로 하였다. 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의 오경이 발해왕국의 중요 행정 중심부였다.
길림성 장백현에 있는 영광탑은 몇 안되는 발해의 벽돌탑이다.
무덤은 발해 유적이 고구려와 유사성을 보이는 가장 분명한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경 등 일부 대도시의 지하 유적에 국한된 것이지만 발해의 건축은 외형상으로는 철저한 중국 건축 원리를 수용한 것이라 하겠다. 특히 지배층의 건축은 채색 기와를 덮거나 장식적인 부재를 가미하여 건물의 위엄을 높이려고 하였다, 이런 현상은 이민족을 기층에 둔 고구려 지배층이 중국의 우월한 문명을 내세워 이민족 통치의 방편으로 삼은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반면 실제 지배층의 생활을 지탱하는 주택이나 사후 세계를 반영한 무덤은 고구려를 계승하였다. 이런 양면성 속에서 건축은 한반도 북부 넓은 지역에서 약 2백년간 지속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6.02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