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알칼리성에서 잘 자라지만, 호산성인 세균도 있으며, pH0 부근에서 잘 자라는 Thiobacillus thiooxdance 와 같은 편성 호산성균 obligate acidophile 도 있다. 대부분의 호산성균은 중성에서도 자랄 수 있으나, 편성 호산성균은 중성 상태에서는 자랄 수 없다. 이와 같은 호산성균에는 Thiobacillus, Sulfolobus, Thermoplasma 등이 있으며, 특히 Thiobacillus와 Sulfolobus는 sulfide를 산화하여 황산을 생성한다. 편성 호산성균이 중성 상태에 처하면 세포막이 터지게 된다. 그러므로 편성 호산성 세균은 세포막의 안정을 위하여 높은 수소 이온 농도가 필요 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은 폭넓은 pH 범위에서 자라고 있지만 미생물 세포 내의 pH는 대략 중성에 가깝다. 미생물은 pH 값을 중성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세포 내로 들어오는 H+이온을 못들어오게 저지하든가 또는 들어온 H+를 급속히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엽록소나 DNA, ATP 등은 산성에서 분해 되며, RNA나 인지질은 알카리성에서 분해 된다. 세포질 내부의 효소들은 중성 부근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세포 외성효소 extra cellular enzyme나 주변 세포질 효소들은 주변 환경의 pH에 가까운 부근에서 최적 pH 값을 가진다.
pH는 배지 중의 유기물의 이온화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은 유기물은 이온화하지 않은 편이 이온화한 것에 비하여 세포 내로 투과하기 쉽다. 염기물질의 경우 이들 물질은 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세포 내로 물질이 쉽게 투과 한다.
미생물은 자기 자신의 활동을 통해서 환경의 pH를 변화 시킨다. 예를 들면 포도당을 방효하여 젖산을 생산하는 세균은 환겨으이 pH를 저하 시킨다. 효모는 H+이온을 활발하게 배지 중으로 방출하여 pH를 저하시킨다. 때에 따라서 pH가 상승하는 때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함질소 화합물이 탈아미노 반응에 의해서 NH3를 배지로 내놓으면 환경의 pH가 상승한다. 환경 pH 변화는 미생물의 선택적 영양 섭취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즉 NH3 상태 질소로써 성장하는 미생물은 NH4+ 이온을 섭취하여 배지의 pH를 저하시킨다. 질산염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은 NO3-를 섭취하여 배지의 pH를 상승시킨다.
미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담당교수 : 이시경 교수님
응용생물화학과
024194 신경진
이와 같이 미생물은 폭넓은 pH 범위에서 자라고 있지만 미생물 세포 내의 pH는 대략 중성에 가깝다. 미생물은 pH 값을 중성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세포 내로 들어오는 H+이온을 못들어오게 저지하든가 또는 들어온 H+를 급속히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엽록소나 DNA, ATP 등은 산성에서 분해 되며, RNA나 인지질은 알카리성에서 분해 된다. 세포질 내부의 효소들은 중성 부근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세포 외성효소 extra cellular enzyme나 주변 세포질 효소들은 주변 환경의 pH에 가까운 부근에서 최적 pH 값을 가진다.
pH는 배지 중의 유기물의 이온화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은 유기물은 이온화하지 않은 편이 이온화한 것에 비하여 세포 내로 투과하기 쉽다. 염기물질의 경우 이들 물질은 알칼리성 용액 중에서 세포 내로 물질이 쉽게 투과 한다.
미생물은 자기 자신의 활동을 통해서 환경의 pH를 변화 시킨다. 예를 들면 포도당을 방효하여 젖산을 생산하는 세균은 환겨으이 pH를 저하 시킨다. 효모는 H+이온을 활발하게 배지 중으로 방출하여 pH를 저하시킨다. 때에 따라서 pH가 상승하는 때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함질소 화합물이 탈아미노 반응에 의해서 NH3를 배지로 내놓으면 환경의 pH가 상승한다. 환경 pH 변화는 미생물의 선택적 영양 섭취 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즉 NH3 상태 질소로써 성장하는 미생물은 NH4+ 이온을 섭취하여 배지의 pH를 저하시킨다. 질산염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은 NO3-를 섭취하여 배지의 pH를 상승시킨다.
미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담당교수 : 이시경 교수님
응용생물화학과
024194 신경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