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와 장기이식 보고서 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사와 장기이식 보고서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Ⅰ

(1) 뇌사란

A. 뇌사의 정의

B. 뇌사의 판정 기준

(2) 장기 이식이란

A. 장기 이식의 정의

B. 장기 이식의 절차

(3) 뇌사와 장기이식에 관한 기사

(4) 장기 이식의 현황과 문제점

A. 장기 이식의 현황

B. 장기 이식에 관한 법률

C. 장기이식의 문제점

part Ⅱ

(1) 영화 줄거리

(2) 나의 견해

Reference

본문내용

사망시간에 대한 규정도 없다. 뇌사자는 장기 적출로 사망하는 것이 아니라, 뇌사가 판정된 시간이 사망시간으로 기록되어져야 할 것이다.
② 뇌전체가 불가역적으로 기능을 상실한 경우, 죽음으로 보아 사망진단을 내리는 것이며, 뇌사판정은 장기적출과 무관한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이 법률은 뇌사판정이 시종일관 장기이식을 위한 것인 양 구성되어 있다.
③ 뇌사판정은 사망진단이므로 (진단의 확실성을 위해 장기이식과 무관한 2인 정도의) 전문의의 진단에 맡기면 될 것을 뇌사 판정위를 만들어 의사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있다.
면역거부반응
타인의 장기를 이식할 경우 언제든지 면역 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인간 의 몸에는 자신의 조직이 아닌 외부의 이 물질이 들어올 경우, 이를 식별해 제거하 거나 공격하는 방어시스템이 있다. 이 시 스템을 면역계라고 하는데, 면역계가 인 체에 들어온 이물질을 침입자로 여겨 받아들이지 않고 공격하는 현상이 바로 면역거부반응이다.
면역거부반응에는 몇 분 또는 몇 시간 만에 나타나는 초급성 면역거부반응, 7~10일 뒤에 발생하는 급성 면역거부반응, 몇 개월에서 몇 년 뒤에 발생하는 만성 면역거부반응 등이 존재한다.
part Ⅱ
(1) 영화줄거리
이번 주제인 장기이식에 관하여 ‘굿모닝 프레지던트’라 는 영화를 보았다. 영화 내용이 장기기증에 관한 것은 아 니지만, 중간에 신장을 이식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는 세 명의 대통령에게 일어나 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한 가지 이야기를 다루지 않고 대통령으로서의 여러 가 지 모습을 모여준 것이 흥미로웠다.
첫 번째 에피소드는 대통령 김정호(이 순재)가 행사장에서 로또 번호를 적으며 ‘만약 1등에 당첨된다면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실제로 로또 1등에 당첨되면서 전전긍긍한 날들을 보 낸다.
두 번째 대통령은 차지욱 대통령 (장동 건)이다. 북한 해역을 침범한 일본으로 인해 전쟁의 낌새가 보이자 미국에서는 대한민국의 상공으로 미군을 투입하려 고 한다.
국가의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사람들이 혼란에 빠지자 차지욱 (장동건)은 민심 을 사기위해 시장을 둘러보러 간다. 그 때 시장에서 한 청년이 ‘대통령님의 신장이 필요합니다’ 라는 플랜카드를 펼쳐보인다. 이 청년의 아버지는 신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로 신장이식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차지욱 (장동건) 대통령은 그 일에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경호원 중 한명이 일단은 그 제안을 받아들여서 민심을 사자고 한다. 그 말을 듣고 대통령은 조직검사를 했고, 결과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온다.
차지욱은 결과를 듣고 고민 하게 된다. 그가 세상에서 가 장 무서워 하는 것 중에 하나 가 주사를 맞는 것이었고, 자 신의 신체 일부분을 떼어주는 것은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일 이었다.
차지욱 대통령은 결국 ‘지금 살릴 수 있는 한 국민의 목숨을 구하지 못한다면 수천 수만 국민도 책임질 수 없다’ 라고 말하며 수술대에 오른다.
세 번째 에피소드는 후임 대통령 한경자 대통령 (고두심) 이야기이다. 한경자는 대한민국 첫 여자 대통령이다. 대통령은 임기 중 부동산 법에 대해서 추진한다. 그러나 남편 (임하룡)이 노후를 위해 사놓은 땅이 재개발 지역으로 선포되어 투기 의심을 받고 탄핵의 위기에 놓인다. 그래서 결국 남편(임하룡)은 아내의 생일에 이혼하자고 한다. 한경자는 고민에 빠지게 되고, 대통령 전문 요리사를 찾아가 조언을 듣는다.
결국 한경자는 ‘한 사람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면 국민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없다’ 라는 것을 깨닫고 남편 을 찾아가 관계를 회복하는 것으로 영화는 끝이난다.
(2) 나의 견해
이번에 다룰 내용은 뇌사와 장기이식이다. 뇌사는 뇌의 활동을 멈춘 것을 말한다. 뇌사는 식물인간과는 달리 인공호흡기 없이 스스로 호흡할 수 없다. 그래서 나는 뇌사상태를 죽은 것과 같다고 생각하므로 뇌사환자의 장기이식에 대해서 찬성하는 입장이다. 장기이식을 함으로써 죽어가는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뇌사는 살아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가족들에게 정신적이나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장기기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불법으로 이루어지는 장기매매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뇌사 환자의 장기이식 반대 입장에서는 뇌사 환자의 생명 존중의 이야기가 나오지만, 장기 이식을 받아야만 살 수 있는 사람의 생명도 소중하기 때문에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의 입장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사실 내가 보호자가 된 입장에서 생각해야 하는 문제라면 쉽지 않을 것 같지만 결국에는 위와 같은 판단을 내릴 것 같다.
그러나 나는 무조건 뇌사환자의 장기를 이식하자는 입장은 아니고, 뇌사환자의 보호자의 승낙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의사는 섣불리 뇌사 판정을 내려서 장기이식을 권유하기보다는 정확하게 판단한 후에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Reference
http://health.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B%87%8C%EC%82%AC
http://kost.tistory.com/127
http://health.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C%9E%A5%EA%B8%B0%20%EC%9D%B4%EC%8B%9D#medical_info2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A1660&PROM_NO=09932&PROM_DT=20100118&HanChk=Y
http://www.mekorea.org/journal/9-2/10-1(234-245%20).PDF
http://www.medicalobserver.co.kr/news/news_view.aspx?Cid=H1117&Cno=31034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edwdkim&folder=109&list_id=10724858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6.1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