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와 장기이식 보고서 입니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사와 장기이식 보고서 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in Subject

ⅰ) 신중한 뇌사판정의 필요

ⅱ) 장기기증문화의 꽃을 피우기 위한 방안

ⅲ) 뇌사와 장기 이식에 관련된 영화의 감상

Ⅲ. Conclusion

본문내용

와 아빠를 고소하기로 결심했다.
제목 : 굿모닝프레지던트 (2009)
Goodmorning President
감독 : 장진
주연 : 이순재, 장동건, 고두심
로또 당첨금 244억 앞에 속앓이 하는 대박 대통령, 이순재. 강렬한 카리스마, 그러나 첫사랑 앞에선 한없이 소심한 꽃미남 싱글 대통령, 장동건. 서민남편의 대책없는 내조로 이혼위기에 처한 여자대통령, 고두심이 펼치는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지만 아무도 모르는 장진의 유쾌한 청와대 비하인드 스토리.
Movie No. 1 - 마이시스터즈키퍼
백혈병에 걸린 언니 케이트를 위해 맞춤 아기로 제작된 안나는 태어나자마자 언니에게 제대혈을 제공해야 했고, 언니의 건강에 필요한 것이 생기면 어릴때부터 자신의 것을 나눠줘야 했다. 언니의 신체와 비슷해지기 위하여 성장호르몬주사까지 맞아가며 기증한다. 그러나 언니의 건강이 점점 악화되어 결국 안나의 신장까지 필요하게 되었다. 안나는 언니에게 신장을 줘야하는 상황이 되고, 그녀는 결국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부모를 상대로 소송을 건다.
장기기증에 대하여 조사하였을 때에도 조혈모세포기증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영화에서도 제대혈 기증이 나와서 잠깐 소개하자면, 불치의 병으로만 알려졌던 백혈병이나 암 환자들도 항암제나 방사선 등으로 자신의 병든 골수를 모두 소멸시킨 후 건강한 타인의 조혈모세포(조혈모세포는 피를 만드는 줄기세포라는 뜻으로 골수나 말초혈, 제대혈 속에 포함되어 있다)를 공급받으면 완치될 수 있다고 한다. 조혈모세포이식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환자와 기증자의 조직적합항원(HLA)의 일치 여부이다. 두 사람의 HLA가 일치할 가능성은 형제 자매간에도 4명중 1명 정도이지만 타인의 경우에는 수천~수만 명 중 한 사람이다. 따라서 영화에서 케이트가 오빠와 맞지 않아서 동생을 낳으면 HLA가 일치할 가능성이 높을거라며 의사가 부모에게 케이트의 동생을 낳으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 한가지, 어린나이에도 장기 기증을 할 수 있는지가 궁금해져서 조사하였더니 장기 기증하는데에는 나이 제한이 없으며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부모님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한다.
그 뒤의 내용은 장기기증과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어 간략하게 말하겠다.
안나의 신체의 자유를 찾기 위한 마지막 공판날 안나가 소송을 건 이유가 케이트의 부탁이였던 것이 밝혀진다. 케이트는 수차례 죽고싶다고 말했으나 엄마인 사라에게는 들리지 않았던 것이다. 케이트는 이미 죽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사라는 결국 케이트를 놓아주게 된다.
장기기증과는 상관없는 내용지만, 영화를 보면서 케이트의 심정을 너무나 잘 이해할 수 있게한 '병은 나만을 아프게 하는게 아니라 우리 가족 전체를 아프게 하고 있었다'라는 대사가 가장 인상깊었다.
Movie No. 2 - 굿모닝 프레지던트
굿모닝 프레지던트는 세명의 대통령에게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두 번째 차기 대통령인 꽃미남 싱글 차지욱 대통령(장동건)에서 장기기증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북한 해역을 침범한 일본 자위군으로 인해 북한이 군사적 움직임을 보이자 백악관에서는 대한민국의 상공으로 미군을 투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국가안보는 비상에 걸리고 민심은 갈수록 흉흉해 질 때 민심수습을 위해 찾은 시장에서 한 청년(박해일)이 대통령에게 신장기증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다소 황당한 사건이 벌어진다. “대통령님! 저희 아버지를 살려주십시오. 당신의 신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도 신장기증에 대한 몇 가지 오류를 범하고 말았다. 정치인이었던 차지욱(장동건)의 아버지가 생전에 쓰셨던 자서전에 대통령의 특이체질을 보고 무작정 자신의 아버지와 신장이 맞을 거라며 다소 무모하게 일을 추진했던 청년과 신장이식은 혈액형만 맞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HLA typing(조직 적합성 검사)이 맞아야지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혈액만을 보내 신장기증이 결정됐던 영화와는 달리 소변검사, CT 촬영, 핵의학 검사 등 많은 검사를 거쳐야만 비로소 신장 기증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수술당일 침대차나 휠체어를 타고 수술실까지 이동하는 현실과 달리 기증인 스스로 수술실로 걸어서 들어가는 모습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모습이었다.
이 영화는 신장기증에 대한 오류를 범하기는 했지만 ‘한 나라를 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당장 죽어가는 한 국민을 구하지 못한다면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말하며 생명나눔을 실천하는 대통령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영화의 큰 목표가 대통령도 한 인간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는 걸 생각할 때 신장기증을 하는 것은 한 인간의 모습이다. 따라서 우리의 모습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Ⅲ. Conclusion
지난주 안락사에 관하여 조사하였을 때 느꼈던 것처럼, 이번 주는 뇌사에 관하여 조사하는데 나는 정말 겉핥기식으로 공부?를 하여서 그런지 조사하면서 “아 이런 뜻이였구나”를 연발하였다. 익숙해서 그런지 뜻을 당연히 안다고 생각했었지만 막상 누군가가 물어보면 대답을 못했을 것이 뻔하였다. 보고서를 쓰면서 많은걸 배우고 있다는 걸 느끼고 있다.
어차피 한 줌의 재가 될 거, 위에 첨부한 장기기증 홍보포스터처럼 장기를 먼지가 되도록 두지 말고 필요한 이들에게 새 생명을 주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면서 정작 나 자신은 장기기증서약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 부끄러웠다.
생각하는 것이 쉽지만 행동하는 것이 어려운 것처럼, 나처럼 장기기증을 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직접 장기기증을 서약한 사람을 별로 없다고 생각된다.
병원에서 본인이 장기기증서약을 했어도, 유족들이 반대를 한다면 장기 적출을 못하는 상황이 많았다는 것을 알았을 때,(지금은 제도가 바뀌어서 유족의 반대가 있어도 가능하다) 왜 장기기증을 반대하냐며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았었다. 하지만 내 가족이 갑자기 사망하여 의사가 장기기증서약에 동의해달라고 한다면 나도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아직 죽었다는 사실도 믿기지 않은 상태에서 장기기증을 물어보는 것은 조금 아닌 것 같다.
따라서 주민등록증을 발급할 때 본인이 꼭 가야하는데 그 때 장기기증에 관하여 물어보는 것이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6.10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