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2.PROCESS
3.PRINCIPLE
4.DATA&RESULTS
5.DISCUSSION
2.PROCESS
3.PRINCIPLE
4.DATA&RESULTS
5.DISCUSSION
본문내용
SULTS
용수철 질량 : 42.2g
추받침 질량 : 61.0g
용수철 길이 : 18.0mm
추받침 길이 : 150mm
실과 용수철을 합한 질량 : 42.5g
실험1. 용수철 상수의 측정
용수철 질량(kg)
추받침 위치(m)
변위(m)
용수철 상수(N/m)
0
0.457
0
0.02
0.457
0.029
6.8
0.05
0.457
0.043
11.4
0.07
0.457
0.097
7.1
0.10
0.457
0.141
7.0
0.12
0.457
0.173
6.8
0.17
0.457
0.243
6.9
0.20
0.457
0.287
6.8
Mean
7.2
varience
1.6
실험2. 상하운동시 주기의 측정
m=0.05kg
T=0.71(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857
0.856
0.855
0.860
0.857
0.857
0.0019
m=0.1kg
T=0.88(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012
1.014
1.013
1.013
1.012
1.012
0.00084
m=0.15kg
T=1.03(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151
1.152
1.153
1.152
1.150
1.151
0.0011
m=0.2kg
T=1.15(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269
1.268
1.271
1.270
1.268
1.269
0.0018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095
0.71
0.598
0.598
0.602
0.600
0.598
0.599
0.0017
3.고정된 용수철에서의 주기 측정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102
0.759
0.606
0.605
0.605
0.607
0.606
0.606
0.008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107
0.76
0.610
0.612
0.611
0.611
0.611
0.611
0.001
5.DISCUSSION
용수철 상수의 측정에서 0.05kg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값이 6.8에 근사한다.
상하운동시의 주기측정에서도 이론치와 측정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그러나 실험치는 이론치보다 크게 나왔는데 이는 주기가 길다는 뜻이다. 이론상 추와 추받침은 용수철끝에 고정된 질점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용수철과 추받침은 고리로 연결된 것이고 추도 추받침에 붙어 있는 것이 아니다. 탄성계수가 큰 용수철이라면 추가 하강하지 않을 때 용수철은 이미 하강한다. 즉 추가 공중에 뜬다는 이야기다.추받침도 마찬가지다. 이때 용수철을 당기는 힘은 용수철에 대한 중력뿐이다.따라서 하강속도는 감소한다.또 한가지 경로가 길어지면 주기가 길어진다. 즉 수직 경로가 아니고 약간 기울어 진다면 회전하면서 수직하강 상승을 하게되고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측정시간에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고정된 용수철의 측정에서는 약 두배 이상의 오차가 발생했다. 용수철의 추와 추받침을 하나의 질점으로 가정했기 때문일 것이다.
용수철 질량 : 42.2g
추받침 질량 : 61.0g
용수철 길이 : 18.0mm
추받침 길이 : 150mm
실과 용수철을 합한 질량 : 42.5g
실험1. 용수철 상수의 측정
용수철 질량(kg)
추받침 위치(m)
변위(m)
용수철 상수(N/m)
0
0.457
0
0.02
0.457
0.029
6.8
0.05
0.457
0.043
11.4
0.07
0.457
0.097
7.1
0.10
0.457
0.141
7.0
0.12
0.457
0.173
6.8
0.17
0.457
0.243
6.9
0.20
0.457
0.287
6.8
Mean
7.2
varience
1.6
실험2. 상하운동시 주기의 측정
m=0.05kg
T=0.71(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857
0.856
0.855
0.860
0.857
0.857
0.0019
m=0.1kg
T=0.88(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012
1.014
1.013
1.013
1.012
1.012
0.00084
m=0.15kg
T=1.03(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151
1.152
1.153
1.152
1.150
1.151
0.0011
m=0.2kg
T=1.15(이론치)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1.269
1.268
1.271
1.270
1.268
1.269
0.0018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095
0.71
0.598
0.598
0.602
0.600
0.598
0.599
0.0017
3.고정된 용수철에서의 주기 측정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102
0.759
0.606
0.605
0.605
0.607
0.606
0.606
0.008
질량(Kg)
질량중심위치(m)
T
이론치
T
실험치
평균
표준편차
data
0.05
0.107
0.76
0.610
0.612
0.611
0.611
0.611
0.611
0.001
5.DISCUSSION
용수철 상수의 측정에서 0.05kg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값이 6.8에 근사한다.
상하운동시의 주기측정에서도 이론치와 측정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그러나 실험치는 이론치보다 크게 나왔는데 이는 주기가 길다는 뜻이다. 이론상 추와 추받침은 용수철끝에 고정된 질점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용수철과 추받침은 고리로 연결된 것이고 추도 추받침에 붙어 있는 것이 아니다. 탄성계수가 큰 용수철이라면 추가 하강하지 않을 때 용수철은 이미 하강한다. 즉 추가 공중에 뜬다는 이야기다.추받침도 마찬가지다. 이때 용수철을 당기는 힘은 용수철에 대한 중력뿐이다.따라서 하강속도는 감소한다.또 한가지 경로가 길어지면 주기가 길어진다. 즉 수직 경로가 아니고 약간 기울어 진다면 회전하면서 수직하강 상승을 하게되고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측정시간에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다.
고정된 용수철의 측정에서는 약 두배 이상의 오차가 발생했다. 용수철의 추와 추받침을 하나의 질점으로 가정했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