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해제
2. 줄거리
3. 참고자료
2. 줄거리
3.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녀가 찾아왔다. 부모님의 뜻에 따라 결혼은 했지만 마음으로는 늘 그만을 생각하다가 이렇게 찾아왔다는 것이다. 그는 기뻐하며 그녀를 데리고 고향으로 가서 살림을 시작하였다. 40여 년 동안 깊은 정을 나누고 살면서 자식 5남매를 거느리게 되었으나 가난으로 사방을 떠돌아다니면서 10년 동안 걸식하였다. 결국 첫아이가 굶어 죽자 길가에 묻었고 초막을 짓고 살다가 늙고 병들어, 부부가 따로 헤어져 아이 둘씩을 데리고 남북으로 정처 없이 떠나려던 참에 꿈에서 깨어났다. 이에 조신이 크게 깨달아 꿈에 아이를 묻었던 곳에 찾아가 땅을 파 보니 돌미륵이 나와 거기에 절을 짓고 불도에 정진하였다. 꿈을 통하여 애욕(愛慾)의 무상함을 깨친다는 내용의 설화로 (三國遺事)에 전한다.
*작품의 이해
인생의 욕망과 집착은 한 순간의 꿈이요, 고통의 근원이라는 불교의 주제가 담긴 전설로서 꿈을 주요 모티브로 삼아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이런 설화를 환몽설화라 한다. 이 설화는 세규사와 정토사라는 구체적 증거물로 구체적 시대가 나타나므로 전설에 해당한다. 한편 절의 건립 내력을 보여 주는 사원 연기 설화이기도 하다.
*조신설화의 구성
현실
→ 꿈
→ 현실
입몽(入夢) 각몽(覺夢)
*작품의 이해
인생의 욕망과 집착은 한 순간의 꿈이요, 고통의 근원이라는 불교의 주제가 담긴 전설로서 꿈을 주요 모티브로 삼아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이런 설화를 환몽설화라 한다. 이 설화는 세규사와 정토사라는 구체적 증거물로 구체적 시대가 나타나므로 전설에 해당한다. 한편 절의 건립 내력을 보여 주는 사원 연기 설화이기도 하다.
*조신설화의 구성
현실
→ 꿈
→ 현실
입몽(入夢) 각몽(覺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