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百濟王室交代論
Ⅲ. 百濟支配勢力의 變遷
1) 漢城時代의 支配勢力
2) 웅진시대의 지배세력
3) 사비시대의 지배세력
Ⅳ. 맺음말
Ⅱ. 百濟王室交代論
Ⅲ. 百濟支配勢力의 變遷
1) 漢城時代의 支配勢力
2) 웅진시대의 지배세력
3) 사비시대의 지배세력
Ⅳ. 맺음말
본문내용
발하게 중앙정계로 진출하여 지배계층의 중추 세력을 이룬다. 이때의 신진 세력들은 대부분 금강유역 및 영산강유역의 문화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한 집단으로 자신들의 근거지에 상당한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주군 반달면 고분군의 경우 당시 그 지역의 지배세력의 규모가 어느 정도였는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렇다면 중앙에 진출한 신진세력들 은 자신들의 근거지와 어떤 관계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었을까, 그리고 성장하는 신진세력에 대한 백제왕실의 견제정책은 구체적으로 그 근거지가 된 지방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지 못함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딛고 백제사에 대한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중요한 연구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하며 이 글을 맺는다.
【 참고문헌 】
노중국, 1988,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노중국, 1978, 백제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한국사롭 4, 서울대 국사학과
노중국, 1981, 사비시대 백제지배체제의 변천, 한우근박사 정년기념 사학논총
이기백, 1978, 웅진시대 백제와 귀족세력, 백제연구 9
이기동, 1981, 백제왕실 교대론에 대하여, 백제연구 12
【 참고문헌 】
노중국, 1988,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노중국, 1978, 백제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한국사롭 4, 서울대 국사학과
노중국, 1981, 사비시대 백제지배체제의 변천, 한우근박사 정년기념 사학논총
이기백, 1978, 웅진시대 백제와 귀족세력, 백제연구 9
이기동, 1981, 백제왕실 교대론에 대하여, 백제연구 12
추천자료
사국(백제, 가야, 신라, 고구려)의 음악
신라의 삼국통일과 남북국 그리고 삼국통일의 의의
고구려 백제 신라의 동류의식과 문화차이
익산의 백제유적들/무왕의 천도설
건국신화(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총정리!!!
사비 시대 백제 토기와 철기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속 백제와 왜의 조공·헌상 관계
신라의 삼국통일, 삼국의 화합인가
본시수업안 백제(발표용)
백제의 제도정비와 해외진출
신라의 삼국통일 레포트 : 신라의 삼국통일에 관한 고찰 레포트
한국복식문화)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시대의 공복제도...
한성시대 백제의 전투원 포로 처리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