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3세 유아의 또래놀이 참여과정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3세 유아의 또래놀이 참여과정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A. 혼자놀이
1) 혼자놀이의 유형
B. 유아의 또래관계
1) 또래관계의 중요성
2) 또래놀이 참여과정
C. 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개입
1) 교사의 개입
2) 놀이 개입에 따른 교사의 유형

본문내용

특히나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놀이 개입에 따른 교사의 유형
교사는 때로는 놀이에 직접 참여하거나 적절한 제언을 하여 놀이를 발전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놀이에 참여하지 못하는 유아나 한 가지 놀이만 계속하는 유아와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놀이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해야 한다(이숙재, 2004).
유아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개입 전략을 필요로 하는데 유아의 놀이를 촉진하는 교사의 개입방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Wolfgang, Mackender와 Wolfgang(1981)이 제시한 교사 개입 연속 모형(TBC : Teacher Behavior Continuum)은 어린이 중심의 개방적인 놀이 개입에서 교사 중심의 구조화된 개입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조처를 취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이숙재, 2004).
Johnson, Christie 와 Yawkey(1999)는 교사가 어린이의 놀이에 개입하는 방법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즉 교사가 놀이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 방법으로부터 방관자, 무대감독자, 공동놀이자, 놀이 리더, 학습지도자의 역할로 점차 개입의 강도를 높여 가는 일련의 연속적 개입 방법을 제시하였다(이숙재, 2004).
마지막으로 사회적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사의 개입 전략으로 Katz와 McCellan(1997)은 유아의 공감과 이타심을 유발시키기, 타인의 감정과 관심을 의식하도록 돕기, 타인의 감정을 다양하게 해석하도록 돕기, 유아가 토론에 적절하게 참여하도록 돕기, 유아가 공통의 관심사를 발견하도록 돕기, 유아들 간에 일어나는 건설적인 피드백을 격려해주기, 언어적 의사소통 강화하기, 차례 바꾸기 기술을 강화하기, 협상과 타협의 기술을 발달시키도록 돕기, 유아가 부드러운 주장과 거절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 친구를 귀찮게 굴지 않도록 돕기, 유아를 짝지움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참 고 문 헌
강영식(2000). 유아의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어린이집 아동의 놀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고문숙 외(2005). 어린이 놀이지도. 경기 파주: 양서원.
김민정(2004). 혼자서 놀던 만 4세 유아의 놀이 참여 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김송이(1994). 유치원 아동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행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순환(1998).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극놀이 참여형태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희(1990).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 영역 선택 및 놀이 형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무경(2005).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또래관계를 중심으로. 서울: 창지사.
박은미(2007).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한양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찬옥 외(2003). 유아사회교육. 서울: 정민사.
송미선(1995). 놀이개입 상황에 있어서 유아의 또래 지위에 따른 사회적 행동과 의
사소통 기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송영혜(2007). 또래관계:진단과 치료. 서울: 집문당.
양옥승(2003). 영유아보육개론. 서울: 학지사.
오영희 외(2005). 유아를 위한 놀이이론과 실제. 경기 파주: 21세기사.
오채선(2000). 유치원에서 유아들의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이해.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이근영(1999). 또래간 상호작용 유형과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
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사임(1994). 유아의 또래 간 인기도에 따른 놀이형태 및 놀이행동.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숙재(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창지사.
장혜순(2004).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전미영(1994). 자유 놀이 상황에서 나타난 유치원 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석란(2002). 어린이의 또래관계. 다음세대
최세진(2003). 만 3, 4, 5세 유아의 친구관계 형성과 놀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주희(1998). 친구관계의 친밀도에 따른 유아의 또래 놀이집단 가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sendropf, J. B. (1991). Development of inhibited children's coping with
unfamiliarity. Child Development, 62, 1460-1474.
Coplan, R. J., & Rubin, K. H., Fox, N. A., Calkins, S. D., & Stewart, S. L.
(1994). Being Alone, Playing Alone, and Acting Alone: Ditinguishing
among Reticent and Passive and Active Solitude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5. 129-137.
Gottman, J. M. (1991). Finding the Roots of Children's Problems with Other
Childre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 441-448.
Lloyd, B. & Howe, N. (2003). Solitary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 22-41.
Putallaz. M. (1983). Predicting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form their
behavior. Child Development, 54, 1417-1426
Rubin, K. H. (1982). Nonsocial play in preschoolers: Necessarily Evil. Child
Development, 53, 16-2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6.1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