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람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감정과 욕구를 나타내는 경우도 많다.
7) 사람
인물화는 피검사자에게 경계심을 품게하고 자기를 방어하려는 생각을 높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자기의 모습을 왜곡시켜 나타내며 자기 이외의 인간의 모습을 그리는 경우도 많다.
인물화는 자기의 현실상이나 이상상을 나타내며 자기에게 의미하는 사람 혹은 인간 일반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 가를 나타낸다.
8) 꽃
꽃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한다. 또 개화에서 결실에 이르는 최초의 단계이기 때문에 성장 발달의 상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스러움을 의미하고 강조하는 경우에 그리는 일이 많다.
그러나 높은 산봉우리의 꽃, 새 빨간색으로 길가에 피어있는 꽃 등은 그대로 자신의 영혼을 공감하는 꽃이며, 양친의 죽음을 애도하는 그림에서 많이 나타난다. 꽃에 색칠을 안한 경우는 감정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하나의 표현으로 주로 정신분열증환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9) 동 물
동물 그 자체가 상징성을 나타낸다. 팬더, 기린, 공작 등 눈에 띄는 것, 코알라, 애견, 고양이와 같이 귀여운 동물, 뱀, 돼지 등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동물 등 각 동물이 지닌 속성을 중심으로 부여되는 인간의 여러 가지 이미지와 동물의 새심한 특성과 생태, 신화, 전설들에 그 의미를 맞출 수 있다,
집, 나무, 사람, 산, 강, 길을 전부 안쪽 밑에 아주 작게 그리고 동물을 크게 그리는 환자의 경우는 작아져 있는 현실을 보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앞으로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하는 것이 치료목표가 될 수 있다. 동물의 크기는 기준을 인간에게 둔다. 인간을 1로 하여 1보다 크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크다. 1보다 적으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적다.
분열증 환자나 대인공포증 환자는 토끼를 좋아하며 그리는 경우가 있다. 혹은 싸워서 상처를 입은 고슴도치, 매, 사자 등을 많이 표현하기도 한다. 등교거부아동은 자주 소나 말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 내 폭력 소년은 고양이에게 몰려있는 듯한 쥐 모습을 그린다.
10) 돌
돌의 의미는 상당히 주요하다. 그 속성은 단단함, 냉정, 불변성이다. 돌은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무수히 많은 것으로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것이 큰돌이나 큰 바위로서 전방을 가로막고 있으면 장애가 되고 큰짐이 되며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큰돌이라 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를 준다
7) 사람
인물화는 피검사자에게 경계심을 품게하고 자기를 방어하려는 생각을 높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자기의 모습을 왜곡시켜 나타내며 자기 이외의 인간의 모습을 그리는 경우도 많다.
인물화는 자기의 현실상이나 이상상을 나타내며 자기에게 의미하는 사람 혹은 인간 일반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 가를 나타낸다.
8) 꽃
꽃은 아름다움과 사랑을 상징한다. 또 개화에서 결실에 이르는 최초의 단계이기 때문에 성장 발달의 상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여성스러움을 의미하고 강조하는 경우에 그리는 일이 많다.
그러나 높은 산봉우리의 꽃, 새 빨간색으로 길가에 피어있는 꽃 등은 그대로 자신의 영혼을 공감하는 꽃이며, 양친의 죽음을 애도하는 그림에서 많이 나타난다. 꽃에 색칠을 안한 경우는 감정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하나의 표현으로 주로 정신분열증환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9) 동 물
동물 그 자체가 상징성을 나타낸다. 팬더, 기린, 공작 등 눈에 띄는 것, 코알라, 애견, 고양이와 같이 귀여운 동물, 뱀, 돼지 등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동물 등 각 동물이 지닌 속성을 중심으로 부여되는 인간의 여러 가지 이미지와 동물의 새심한 특성과 생태, 신화, 전설들에 그 의미를 맞출 수 있다,
집, 나무, 사람, 산, 강, 길을 전부 안쪽 밑에 아주 작게 그리고 동물을 크게 그리는 환자의 경우는 작아져 있는 현실을 보상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앞으로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 하는 것이 치료목표가 될 수 있다. 동물의 크기는 기준을 인간에게 둔다. 인간을 1로 하여 1보다 크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크다. 1보다 적으면 인간이 지닌 에너지의 총량이 적다.
분열증 환자나 대인공포증 환자는 토끼를 좋아하며 그리는 경우가 있다. 혹은 싸워서 상처를 입은 고슴도치, 매, 사자 등을 많이 표현하기도 한다. 등교거부아동은 자주 소나 말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학교 내 폭력 소년은 고양이에게 몰려있는 듯한 쥐 모습을 그린다.
10) 돌
돌의 의미는 상당히 주요하다. 그 속성은 단단함, 냉정, 불변성이다. 돌은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무수히 많은 것으로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것이 큰돌이나 큰 바위로서 전방을 가로막고 있으면 장애가 되고 큰짐이 되며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큰돌이라 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를 준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구려시대 회화미술][백제시대 회화미술][신라시대 회화미술][조선시대 회화미술][회화미술...
과제 분석과 계열화를 위한 단순화 조건법의 원리와 절차
미술치료의 개념과 심리이론별 모형, 현상학적미술치료, 게슈탈드, 인간중심, 행동주의 미술...
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
박태원의 <천변풍경> 연구
르네상스미술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바로크미술 루벤스, 로코코미술 와토, 신고전주의미술...
레지오 에밀리아(Reggio Emilia) 접근법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 접근법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색채이미지의 구성에 대한 이해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장단점과 적용 방법 - 미술치료 역사, 미술치료 목적, 미술치료 장점,...
[미술치료의 적용] 미술치료실의 물리적 환경, 미술치료의 진행과 시간, 미술치료자의 태도, ...
[미술요법] 미술치료(미술요법)의 이론적 배경 - 미술요법(미술치료)의 개념과 발전배경(역사...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C형]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