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개념 그리고 그 다양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의 개념 그리고 그 다양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 과정의 개념 - 요약
교육 과정의 개념 - Group Exercise
교육 과정의 개념 - Self Reflection

본문내용

게 되면 학습의 결과만 중요시하는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위에서 제시된 성취기준으로서의 교육과정을 본다면 찬성하는 입장이다. 물론 이러한 교육과정에 문제가 있긴 하지만 성취기준을 명확하게 정립한다면 아주 많은 동기 부여가 되어서 학습에 효율성이 더욱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 과정의 개념 - Self Reflection>
교육과정이라는 용어를 처음 들었을 때, 내가 알고 있는 사실은 제 7차 교육과정,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이라는 단어 밖에 없었다. 이 수업을 듣는 다는 것 자체가 좀 생소했다. 교육과정이라는 과목명을 들었을 때, 제 7차 교육과정이나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이나 뭐 그런 것을 배울 것이라 생각했는데, 생각과는 많이 다른 수업이었다.
오리엔테이션을 제외하고 첫 수업이었는데, 교육과정의 개념을 들었다. 교육과정이라는 것이 이렇게 많은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인지 몰랐다. 내가 알고 있고 떠올리고 있던 교육과정의 개념은 교육 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이었다. 국가와 주 수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 내가 말해 왔던 교육과정이다. 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교육과정이 많았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교육 과정은 학습 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과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이었다.
교육과정을 텍스트 문서 그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즉 학생의 경험의 총체를 교육과정으로 본다는 것이 신기했다. 어쩌면 시점의 전환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늘 가르치는 자의 입장에서만 교육과정을 접하다가, 학생의 중심으로 전환 한 것이니 말이다.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은 어떻게 말하면 좀 충격적이기도 하였다. 사실 내가 수업을 들으면서, 특히나 사회 수업을 들으면서 느껴왔던 것이 그러면 우리에게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이념이 가장 최선이고 최적의 이념인데 왜 우리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현실은 이리도 불평등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종종해 왔었다. 그런데 그것이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이었다고 생각하니, 그럼 그렇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개념에 대해서 공부하고 나니 더욱 가르치는 이의 사상이나 가르치는 이의 가치관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르치는 이가 교육과정을 교육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고 가르치면 학생들에게 전달되는 것은 그저 교육 내용으로서의 교육 과정 밖에 없을 것이고, 교사가 정치적 텍스트로서 교육과정을 인식을 하지 못한 채 가르친다면, 교재에 나온 모든 내용이 진실이거나 진리라 생각하고 현재 적용 되고 있는 이데올로기가 가장 최적의 이데올로기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렇게 공부한 학생들은 그 이념에 갇히게 되어 새로운 이념을 받아 들이는 게 힘들어 질 것이다.
아직은 첫 수업이라 어리둥절한 부분이 많다. 1교시는 발표수업으로 진행되고 2교시는 그룹 활동을 한다는 것이 새롭다. 한 학기 내내 이렇게 그룹 활동을 하는 수업은 처음 듣는다. 쉽지 않은 수업이 될 것 같지만, 왠지 내가 갖고 갈 수 있는 것이 많을 것 같이 기대 되는 수업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06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