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해삼의 발생과 종류
1. 해삼류의 발생 과정
2. 해삼류의 종류
1) 광삼(光蔘)
2) 돌리올라리아유생(Doliolaria Larva)
3) 모나카리해삼
4) 바퀴해삼류
5) 뱀눈검정 해삼
6) 오리쿨라리아유생(Auricularia)
7) 돌리올라리아유생
8) 흰해삼속살이게
10) 판족목(板足目) 해파리해삼과의 해삼류
Ⅱ. 해삼의 체제
Ⅲ. 해삼의 서식
Ⅳ. 해삼의 경제성
Ⅴ. 해삼의 영양성
Ⅵ. 해삼의 양식
참고문헌
1. 해삼류의 발생 과정
2. 해삼류의 종류
1) 광삼(光蔘)
2) 돌리올라리아유생(Doliolaria Larva)
3) 모나카리해삼
4) 바퀴해삼류
5) 뱀눈검정 해삼
6) 오리쿨라리아유생(Auricularia)
7) 돌리올라리아유생
8) 흰해삼속살이게
10) 판족목(板足目) 해파리해삼과의 해삼류
Ⅱ. 해삼의 체제
Ⅲ. 해삼의 서식
Ⅳ. 해삼의 경제성
Ⅴ. 해삼의 영양성
Ⅵ. 해삼의 양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간 낮고 휴면중인 여름에는 91% 이상으로 된다. 또 칼로리는 큰가리비나 게류의 1/6 정도로 이상할 정도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수분 함량이 높은 탓만은 아니고 지방함량이 다른 어패류와 비교해 매우 낮기 때문인 것도 있다. 게다가 생선육의 소화율도 고기의 98%에 대해 해삼에서는 63%로 상당히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삶거나 식초에 담그게 하는 등 조리를 하면 소화율도 80-86%로 정도로 오른다.
해삼의 영양분은 여름의 휴면기「단식」에 대비하여 체벽(殼)에 축적하여 두고 영양을 자가소비함에 따라 각에 함유한 수분 함유량이 높게 된다. 따라서 해삼의 영양성분 조성은 계절에 따라 현저하게 변화하게 된다.
아울러 91.6%의 수분 함유 표본에 따라 영양분석값(가식부 100g 당)은 다음 같이 나타낸다.
해삼의 각은 양질의 단백질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트립토판(필수아미노산), 시스틴,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아르기닌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A, B1, B2, 니코틴산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고 C 및 D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Ⅵ. 해삼의 양식
해삼양식은 타 양식품종의 어려움 속에서도 금후 유망한 양식산업으로 급속히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해삼양식이 타 양식산업의 전철을 밟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완전한 기술개발이 확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양식에 참여하는 것도 늦지 않으며, 전복 양식과 같이 무분별하게 경쟁적으로 양식에 뛰어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해삼 종묘생산은 현재와 같이 육상수조식, 축제식 및 씨뿌림양식 등이 활성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대량 생산이 급속히 확대될 경우 오히려 과잉생산(종묘수요량 약 2천만 마리로 예상하고 있으나 실제는 약 5,000만 마리가 생산됨)에 의한 종묘생산 어업인의 손실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양식의 활성화 추이를 보아가면서 확대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양식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종묘수급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생존율이 낮고 질병 등의 우려가 있는 중국산 종묘의 사용을 억제해야 하며, 불법유통을 철저히 차단해야 만 한다.
또한 대단위 축제식 양식 및 씨뿌림 양식 등에 있어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양식장 적지선정과 양식장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삼양식은 국내 양식산업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미래 양식품종으로 사료비가 적게 들고 고가로 판매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육상수조식 및 씨뿌림, 축제식에 의한 양식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산업화로 정착시키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생산자의 자율적 통제에 의해서 시장 상황을 면밀히 검토한 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국립 수산 진흥원 여천 종묘 배양장(1993), 패류 양식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1996),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부산 수산 대학(1996), 천해 양식
제주대학교(1998), 수산양식(하), 대한교과서(주)
해삼의 영양분은 여름의 휴면기「단식」에 대비하여 체벽(殼)에 축적하여 두고 영양을 자가소비함에 따라 각에 함유한 수분 함유량이 높게 된다. 따라서 해삼의 영양성분 조성은 계절에 따라 현저하게 변화하게 된다.
아울러 91.6%의 수분 함유 표본에 따라 영양분석값(가식부 100g 당)은 다음 같이 나타낸다.
해삼의 각은 양질의 단백질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트립토판(필수아미노산), 시스틴,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등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아르기닌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A, B1, B2, 니코틴산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고 C 및 D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Ⅵ. 해삼의 양식
해삼양식은 타 양식품종의 어려움 속에서도 금후 유망한 양식산업으로 급속히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해삼양식이 타 양식산업의 전철을 밟지 않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완전한 기술개발이 확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양식에 참여하는 것도 늦지 않으며, 전복 양식과 같이 무분별하게 경쟁적으로 양식에 뛰어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해삼 종묘생산은 현재와 같이 육상수조식, 축제식 및 씨뿌림양식 등이 활성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대량 생산이 급속히 확대될 경우 오히려 과잉생산(종묘수요량 약 2천만 마리로 예상하고 있으나 실제는 약 5,000만 마리가 생산됨)에 의한 종묘생산 어업인의 손실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양식의 활성화 추이를 보아가면서 확대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양식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종묘수급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생존율이 낮고 질병 등의 우려가 있는 중국산 종묘의 사용을 억제해야 하며, 불법유통을 철저히 차단해야 만 한다.
또한 대단위 축제식 양식 및 씨뿌림 양식 등에 있어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양식장 적지선정과 양식장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삼양식은 국내 양식산업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미래 양식품종으로 사료비가 적게 들고 고가로 판매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육상수조식 및 씨뿌림, 축제식에 의한 양식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산업화로 정착시키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생산자의 자율적 통제에 의해서 시장 상황을 면밀히 검토한 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국립 수산 진흥원 여천 종묘 배양장(1993), 패류 양식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1996),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부산 수산 대학(1996), 천해 양식
제주대학교(1998), 수산양식(하), 대한교과서(주)
추천자료
전복양식업(전복양식어업)의 실태와 문제점, 전복과 해삼의 공동양식업(공동양식어업, 복합양...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필요성, 복합양식어업(복합양식업)의 법적규정, 넙치(광어)와 전...
[해삼 생태][해삼 서식][해삼 식성][해삼양식][해삼양식시설][중국해삼][양식]해삼의 특징, ...
[해삼][해삼 먹이][해삼 번식][해삼 내장토출][해삼 영양][해삼 효능][해삼 활동]해삼의 특성...
[해삼][해삼 생태][해삼 번식][해삼 산란][양식][양식업][양식어업][해삼 사업전망]해삼의 생...
[해삼][해삼 생식][해삼 저항성][해삼 인공종묘생산][인공종묘생산]해삼의 유형, 해삼의 성, ...
[해삼][해삼의 의미][해삼의 특성][해삼의 운동][해삼의 약효][해삼의 독성][해삼의 가공]해...
[해삼][해삼양식][해삼의 탄생][해삼의 개념][해삼의 특징][해삼의 분류][해삼의 발생과정][...
[해삼][해삼 영양성분][해삼 증식][해삼 가공][해삼 양식현황][한국 해삼양식 사례][중국 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