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취업규칙 작성 및 변경
Ⅱ. 취업규칙의 신고 및 주지의무
Ⅲ. 취업규칙의 제한
Ⅱ. 취업규칙의 신고 및 주지의무
Ⅲ. 취업규칙의 제한
본문내용
도 법령/단협에 반할 수는 없다.
2. 감급의 제한
징계의 종류 등은 법령/단협에 위반되지 않는 한 사용자가 자유로이 정할 수 있으나 징계의한 종류인 감급에 있어서 근로자의 생계수단이라는 임금의 중요성 감안하여 특별한 제한을 설정하고 있다. 이는 감액은 1회의 액이 평임의 1일분의 1/2, 총액이 1임금지급기에 있어서 임금총액 1/10 초과하지 못한다.
2. 감급의 제한
징계의 종류 등은 법령/단협에 위반되지 않는 한 사용자가 자유로이 정할 수 있으나 징계의한 종류인 감급에 있어서 근로자의 생계수단이라는 임금의 중요성 감안하여 특별한 제한을 설정하고 있다. 이는 감액은 1회의 액이 평임의 1일분의 1/2, 총액이 1임금지급기에 있어서 임금총액 1/10 초과하지 못한다.
추천자료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대표의 법적 지위
준법투쟁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법적과제와 개선사항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에 관하여
IT업체 취업규칙 (주 40시간 근로)
근로계약 · 취업규칙 · 단체협약 사이의 관계 연구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과 취업규칙의 효력에 대한 검토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및 휴게 파트 중간 기말 시험 대비 총정리
근로기준법의 적용 제외 검토
연소근로자(청소년근로자)의 개념과 규정, 연소근로자(청소년근로자)의 복지와 보호필요성, ...
[노동조합법]노동조합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의 특징, 설립요건, 노동조합법(노동조합...
[해사법규] 선원법 - 어선원의 임금
해사법규 report - 어선원의 임금
근로기준법 개요 및 적용관계- 근로기준법의 목적 및 특징, 상시 근로자 수에 따른 적용원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