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도표식평정척도법
1. 평정의 목표설정
2. 평정요소의 선택
3. 평정요소의 수
4. 평정요소의 가중치
II. 행태기준평정척도법
1. 행태적 사건의 수집․기록
2. 직무국면별 집단화
3. 척도화
4. 전형적 사건의 선택
III. 목표관리법
1. 목표의 설정
2. 참여
3. 환류
1. 평정의 목표설정
2. 평정요소의 선택
3. 평정요소의 수
4. 평정요소의 가중치
II. 행태기준평정척도법
1. 행태적 사건의 수집․기록
2. 직무국면별 집단화
3. 척도화
4. 전형적 사건의 선택
III. 목표관리법
1. 목표의 설정
2. 참여
3. 환류
본문내용
정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삼는다. 여기서 목표란 비교적 단기적이며 구체적이고 예측가능한 직무수행기준을 말한다.
2. 참여
부하가 수행할 목표는 상관과 부하의 협의를 거쳐 설정한다. 피평정자의 직무수행목표는 참여의 과정을 통해 피평정자와 평정자가 함께 결정하는 것이다.
3. 환류
목표에 비추어 직무수행실적을 평가하고 이를 피평정자에게 환류시킨다.
2. 참여
부하가 수행할 목표는 상관과 부하의 협의를 거쳐 설정한다. 피평정자의 직무수행목표는 참여의 과정을 통해 피평정자와 평정자가 함께 결정하는 것이다.
3. 환류
목표에 비추어 직무수행실적을 평가하고 이를 피평정자에게 환류시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