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벽고택의 위치.
연혁
규모
구조
형태
연혁
규모
구조
형태
본문내용
군 파천면 중평리 378
면적 104㎡
분류 가옥
연혁
1993년 11월 30일 경상북도민속자료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이 고택은 동리의 얕은 산을배경으로 한 동남향의 ㅁ자형 건물로서, 신효승이 소유, 관리한다. 원래 고려시대 개국공신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장군의 31세손이며 판사공 휘현(諱賢)의 14세손 신한창(申漢昌)이 분가하면서 지은 5칸 규모의 세간집이었다. 그뒤 1739년(영조 15)에 증손 신치구(申致龜)가 조선 영조(英祖) 15년에 확장, 증축하고 신한창의 서벽(棲碧)이라는 호를 따서 서벽고택(棲碧古宅)이라 칭(稱)하였다.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홑처마 정자지붕집이며 대문채와 안채, 동익사, 서익사가 맞붙어 있는데 안채의 2칸은 대청으로 꾸며 놓았다. 丁자형의 배치과 사랑부분의 구성, 창호의 배치법, 수장공간의 활용법 등 경북 북부지방에 남아 있는 ''자형 전통가옥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104㎡이며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납도리 3량가이다. 고택은 공간의 활용도와 구성에서 소박한 선비의 단아한 성품이 엿보이는 가옥으로 근래까지 문중의 자손이 기거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비어 있다.
<건물 전면>
면적 104㎡
분류 가옥
연혁
1993년 11월 30일 경상북도민속자료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이 고택은 동리의 얕은 산을배경으로 한 동남향의 ㅁ자형 건물로서, 신효승이 소유, 관리한다. 원래 고려시대 개국공신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장군의 31세손이며 판사공 휘현(諱賢)의 14세손 신한창(申漢昌)이 분가하면서 지은 5칸 규모의 세간집이었다. 그뒤 1739년(영조 15)에 증손 신치구(申致龜)가 조선 영조(英祖) 15년에 확장, 증축하고 신한창의 서벽(棲碧)이라는 호를 따서 서벽고택(棲碧古宅)이라 칭(稱)하였다.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홑처마 정자지붕집이며 대문채와 안채, 동익사, 서익사가 맞붙어 있는데 안채의 2칸은 대청으로 꾸며 놓았다. 丁자형의 배치과 사랑부분의 구성, 창호의 배치법, 수장공간의 활용법 등 경북 북부지방에 남아 있는 ''자형 전통가옥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전체 면적은 104㎡이며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납도리 3량가이다. 고택은 공간의 활용도와 구성에서 소박한 선비의 단아한 성품이 엿보이는 가옥으로 근래까지 문중의 자손이 기거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비어 있다.
<건물 전면>
소개글